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盤 소반 반

1. 개다리소반 (개다리小盤) [개:다리소:반]

한자: 小(작을 소:), 盤(소반 반)

상다리 모양이 개의 다리처럼 휜 막치 소반.

용례:

개다리소반에 받쳐 온 건 샛노란 조밥 반 그릇에 시퍼런 열무김치 한 탕기뿐이었다.≪박완서, 미망≫

2. 건반 (鍵盤) [건:반]

한자: 鍵(자물쇠/열쇠 건:), 盤(소반 반)

피아노, 오르간 따위에서 손가락으로 치도록 된 부분을 늘어놓은 면.

용례:

  • 건반을 누르다.
  • 건반을 두드리다.

3. 검은건반 (검은鍵盤) [거믄건반]

한자: 鍵(자물쇠/열쇠 건:), 盤(소반 반)

피아노, 오르간 따위의 건반 악기에서 반음을 내는 검은색의 건반. 한 옥타브 열두 개의 건반 가운데 다섯 개를 차지한다.

4. 골반 (骨盤) [골반]

한자: 骨(뼈 골), 盤(소반 반)

몸통의 아래쪽 부분을 이루는 뼈. 양쪽 볼기뼈와 척추뼈 가운데 엉치뼈와 꼬리뼈로 구성된다.

5. 과반 (果盤) [과:반]

한자: 果(실과 과:), 盤(소반 반)

과실 따위를 담는 쟁반.

용례:

  • 과반엔 복숭아와 포도 등 여름 과일이 가득 담겨 있었다.
  • 선생님께 절을 드리고 나자 사모님께서는 아담한 과반에 과일과 유과를 내오셨다.

6. 기반 (基盤) [기반]

한자: 基(터 기), 盤(소반 반)

기초가 되는 바탕. 또는 사물의 토대.

용례:

  • 기반을 다지다.
  • 기반을 닦다.
  • 판소리는 전승되는 설화에 기반을 두고 형성되었다.
  • 서울에 온 지 10년 만에야 생활의 기반을 잡았다.
  • 서구의 시민 계급이라면 중산층의 경제적 기반 위에 이루어진 건데, 우리나란 어디 중산층이 있나요.≪김원일, 불의 제전≫

7. 나침반 (羅針盤) [나침반]

한자: 羅(벌릴 라), 針(바늘 침(:)), 盤(소반 반)

항공, 항해 따위에 쓰는 지리적인 방향 지시 계기. 자침(磁針)이 남북을 가리키는 특성을 이용하여 만든다.

용례:

  • 강 대위는 작전 지도를 펼쳐 들고 그 위에 나침반을 놓아 방위를 정치시킨 뒤, 지휘봉으로 등고선을 짚어 보였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 한 시간에 한 번 정도 그것도 어둠 속에서 잠시 불을 비춰 지도와 나침반을 보는 것으로 그는 마치 아는 길을 가듯 부대원들을 목적지로 인솔했다.≪이문열, 영웅시대≫

8. 낙반 (落盤) [낙빤]

한자: 落(떨어질 락), 盤(소반 반)

광산 따위의 갱내에서, 천장이나 벽의 암석이 떨어짐. 또는 그 암석.

용례:

  • 낙반 사고.
  • 그 인부는 작업 중에 낙반으로 다리를 크게 다쳤다.

9. 다각반 (多角盤) [다각빤]

한자: 多(많을 다), 角(뿔 각), 盤(소반 반)

테두리가 여러 각으로 된 소반. 보통은 여덟 개나 열두 개의 모로 된 것을 이른다.

용례:

숭늉 그릇을 미리 놓여 있던 다각반 위에 내려놓으며 아내는 나직하게 말하였다.

10. 다반 (茶盤) [다반]

한자: 茶(차 다), 盤(소반 반)

다기를 담는 조그마한 쟁반.

용례:

  •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데 조그만 계집아이가 다반에 차를 내왔다.
  • 안자가 다기를 올려놓은 다반을 들고 왔다.≪박경리, 토지≫
  • 앞에 선 시녀는 고려 명공의 솜씨로 만든 자개 다반에 화려한 은대접을 받쳐 들어오고….≪박종화, 다정불심≫

11. 대반 (對盤) [대:반]

한자: 對(대할 대:), 盤(소반 반)

전통 혼례에서, 신랑이나 신부 또는 후행(後行) 온 사람을 옆에서 접대하는 일. 또는 그 일을 맡은 사람.

용례:

신부가 대반들의 부축을 받으며 첫 번째 절을 하고 다소곳이 일어서고 있을 때였다.≪하근찬, 야호≫

12. 두리반 (두리盤) [두리반]

한자: 盤(소반 반)

여럿이 둘러앉아 먹을 수 있는, 크고 둥근 상.

용례:

넷이서 두리반에 둘러앉아 밥을 먹었다.

13. 명반 (名盤) [명반]

한자: 名(이름 명), 盤(소반 반)

이름나거나 훌륭한 음반.

용례:

이 앨범은 음악가들에게서 명반으로 손꼽힌다.

14. 모반 (모盤) [모반]

한자: 盤(소반 반)

여섯 개의 모나 여덟 개의 모로 된, 음식을 담아 나르는 나무 그릇.

용례:

할머니는 모반에 강정이며 약과를 담아 내놓으셨다.

15. 문자반 (文字盤) [문짜반]

한자: 文(글월 문), 字(글자 자), 盤(소반 반)

컴퓨터, 타자기, 시계, 계량기 따위에서 글자나 숫자, 기호가 그려진 면.

용례:

시계의 문자반을 회전하는 시침.

16. 배반 (杯盤) [배반]

한자: 杯(잔 배), 盤(소반 반)

「1」술상에 차려 놓은 그릇. 또는 거기에 담긴 음식.
「2」흥취 있게 노는 잔치.

용례:

  • 「1」푸짐한 배반을 갖추고 손님을 청하였다.
  • 「1」어머니는 배반을 준비하느라 바쁘시다.
  • 「2」배반이 낭자하다.
  • 「2」배반이 벌어지고 풍악이 울려 진연이 시작될 때 연산이 자리를 둘러보니….≪박종화, 금삼의 피≫

17. 배선반 (配線盤) [배:선반]

한자: 配(나눌/짝 배:), 線(줄 선), 盤(소반 반)

「1」전화 교환국에서, 전화 선로를 연결하기 전에 우선 통제하기 위하여 달아 놓은 장치.
「2」라디오 수신기에서, 진공관이나 코일 따위의 여러 부품을 달아 놓는 선반.

18. 배전반 (配電盤) [배:전반]

한자: 配(나눌/짝 배:), 電(번개 전:), 盤(소반 반)

발전소나 변전소 또는 전기 시설이 되어 있는 건물 같은 곳에 장치한 반(盤). 안전장치, 계기, 표시등, 계전기, 개폐기 따위를 배치하여 전로(電路)의 개폐나 기기(機器)의 제어와 감시를 쉽게 한다.

19. 벽옥반 (碧玉盤) [벼곡빤]

한자: 碧(푸를 벽), 玉(구슬 옥), 盤(소반 반)

짙푸른 빛깔의 옥반.

용례:

벽옥반에 담은 붉은 과일.

20. 복화반 (覆花盤) [보콰반]

한자: 覆(다시 복), 花(꽃 화), 盤(소반 반)

꽃무늬가 거꾸로 놓인 화반.

용례:

그 절의 극락전은 섬세한 복화반을 쓰고 있었다.

21. 소반 (小盤) [소:반]

한자: 小(작을 소:), 盤(소반 반)

자그마한 밥상.

용례:

  • 둥근 소반.
  • 팔각 소반.
  • 그가 소반 위에 놓인 장부책에다 수판을 맞추는 걸 보고….≪윤흥길, 완장≫
  • 아이들이 그릇 하나씩을 차지하고 소반도 없이 식사를 하고 있었다.≪이정환, 샛강≫

22. 솔소반 (솔小盤) [솔소반]

한자: 小(작을 소:), 盤(소반 반)

작은 소반.

용례:

주인이 저녁상을 가지고 들어왔는데 키 얕은 솔소반에 놓인 것이 밥 한 사발 장찌개 한 그릇뿐이었다.≪홍명희, 임꺽정≫

23. 승로반 (承露盤) [승노반]

한자: 承(이을 승), 露(이슬 로(:)), 盤(소반 반)

하늘에서 내리는 장생불사의 감로수를 받아먹기 위하여 만들었다는 쟁반.

용례:

진시황의 불사약도 소용없고 한 무제의 승로반도 다 허사다.≪박종화, 금삼의 피≫

24. 식반 (食盤) [식빤]

한자: 食(밥/먹을 식), 盤(소반 반)

음식을 차려 놓는 상.

용례:

  • 자반고등어를 구워 식반에 올리다.
  • 때때로 재수 좋은 날은 파인애플 조각이나 바나나를 식반에다 마련한다.≪박영한, 머나먼 송바강≫

25. 신반 (新盤) [신반]

한자: 新(새 신), 盤(소반 반)

새로 나온 음반.

용례:

신반을 사다.

26. 암반 (巖盤) [암반]

한자: 巖(바위 암), 盤(소반 반)

다른 바위 속으로 돌입하여 불규칙하게 굳어진 큰 바위.

용례:

암반을 뚫고 지하수를 퍼 올렸다.

27. 예반 (예盤) [예반]

한자: 盤(소반 반)

나무나 쇠붙이 따위를 둥글고 납작하게 만들어 칠한 그릇.

용례:

앞집에서 가져온 돌떡이라고 식모아이가 예반에다 받친 떡 접시를 들고 들어와서 보인다.≪염상섭, 우주 시대 전후의 아들딸≫

28. 옥소반 (玉小盤) [옥쏘반]

한자: 玉(구슬 옥), 小(작을 소:), 盤(소반 반)

옥으로 만든 소반.

용례:

  • 금동이의 아름다운 술은 일만 백성의 피요, 옥소반의 아름다운 안주는 일만 백성의 기름이라.
  • 이때…별안간 노랫소리가 맑고 맑게 구슬을 옥소반 위에 굴리듯 들려왔다.≪박종화, 임진왜란≫

29. 옥쟁반 (玉錚盤) [옥쨍반]

한자: 玉(구슬 옥), 錚(쇳소리 쟁), 盤(소반 반)

옥으로 만든 쟁반.

용례:

옥쟁반에 구슬 굴러가는 듯한 목소리.

30. 원반 (圓盤) [원반]

한자: 圓(둥글 원), 盤(소반 반)

「1」접시 모양으로 둥글고 넓적하게 생긴 물건.
「2」원반던지기에서 쓰는 기구. 둥글넓적한 모양으로 나무에 금속으로 심을 넣고 테를 둘렀다. 근대 올림픽 경기에서는 남자용은 무게 2kg, 지름 219mm이고, 여자용은 무게 1kg, 지름 180mm이다.

용례:

  • 「1」원반 모양의 은하수.
  • 「1」정각에서 삼십 분 전, 양광 초침이 파란 빛깔을 그으면서 아라비아 숫자가 나열된 동그란 원반 위를 움직이고 있었다.≪오상원, 모반≫
  • 「2」원반이나 창을 경계선 바로 전에서 던지고 나서 앞으로 쏠리는 몸을 경계선 밖으로 나가지 않게 멈추는….≪황순원, 늪≫

31. 은반 (銀盤) [은반]

한자: 銀(은 은), 盤(소반 반)

「1」은으로 만든 쟁반.
「2」‘달’(지구의 위성(衛星))이나 ‘얼음판’(물이 얼어서 마당처럼 된 곳.)을 아름답게 이르는 말.

용례:

  • 「1」은반 위에 놓인 먹음직스러운 포도.
  • 「2」은반 위의 요정.

32. 은족반 (隱足盤) [은족빤]

한자: 隱(숨을 은), 足(발 족), 盤(소반 반)

다리가 없고 밑이 편평한 둥근 소반.

용례:

어머니는 은족반에 상을 차리셨다.

33. 음반 (音盤) [음반]

한자: 音(소리 음), 盤(소반 반)

전축이나 오디오 따위의 회전판에 걸어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만든 동그란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 음반 발표.
  • 음반 시장.
  • 가곡 음반.
  • 클래식 음반.
  • 음반 판매량.
  • 음반을 제작하다.
  • 음반을 취입하다.
  • 음반을 내다.
  • 음반을 틀다.
  • 아이들은 소형 전축과 전축 음반까지 반입하는 데 성공했다.≪조세희, 궤도 회전≫

34. 쟁반 (錚盤) [쟁반]

한자: 錚(쇳소리 쟁), 盤(소반 반)

운두가 얕고 동글납작하거나 네모난, 넓고 큰 그릇. 목재, 금속, 사기 따위로 만들며 보통 그릇을 받쳐 드는 데에 쓴다.

용례:

  • 과일 쟁반.
  • 어머니가 식사 후에 숭늉을 쟁반에 받쳐 들고 들어오셨다.
  • 윤희가 찻잔을 얹은 쟁반을 들고 들어왔다.≪이병주, 지리산≫

35. 제반 (祭盤) [제:반]

한자: 祭(제사 제:), 盤(소반 반)

제상에 올릴 음식을 나르는 소반.

용례:

작은 향상 한가운데 향로를 올리고, 그 오른쪽에는…퇴주 그릇을 제반에 받쳐 놓아두었다.≪최명희, 혼불≫

36. 제어반 (制御盤) [제:어반]

한자: 制(절제할 제:), 御(거느릴 어:), 盤(소반 반)

기계나 장치의 원격 조작에서, 제어용의 계기류나 스위치 따위를 일정한 곳에 집중적으로 설비한 판.

37. 종반 (終盤) [종반]

한자: 終(마칠 종), 盤(소반 반)

「1」바둑, 장기, 운동 경기 따위에서, 대전이 마무리되는 단계.
「2」어떤 일이나 일정한 기간의 마지막 단계.

용례:

  • 「1」경기 종반에 점수 차이를 내다.
  • 「1」바둑은 종반으로 치달았다.
  • 「2」90년대 종반에 이르다.
  • 「2」대회 종반에 접어들었을 때 사고가 일어났다.

38. 중반 (中盤) [중반]

한자: 中(가운데 중), 盤(소반 반)

「1」바둑, 장기, 운동 경기 따위에서, 대전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단계.
「2」어떤 일이나 일정한 기간의 중간 단계.

용례:

  • 「1」개표의 중반.
  • 「1」경기가 중반으로 접어들면서 관중들의 응원도 점점 더 열기를 띠어 갔다.
  • 「2」인생의 중반.
  • 「2」2월이 중반을 넘었는데도 어느 한곳 봄이 올 기색은 보이지 않았다.≪이병주, 지리산≫

39. 지반 (地盤) [지반]

한자: 地(따 지), 盤(소반 반)

「1」땅의 표면.
「2」일을 이루는 기초나 근거가 될 만한 바탕.
「3」성공한 지위 또는 장소.
「4」모든 건조물 따위의 가장 아랫도리가 되는 밑바탕.

용례:

  • 「1」지반의 균열.
  • 「1」지반이 약하다.
  • 「1」지반이 단단하다.
  • 「1」지반이 내려앉다.
  • 「1」배도수 씨는 붉은 벽돌로 지은 큰 창고 옆의 지반이 높은 곳으로 우리를 이끌었다.≪김원일, 노을≫
  • 「2」활동 지반.
  • 「2」지반을 다지다.
  • 「2」지반을 잃다.
  • 「2」잦은 회합으로 사회적 지반을 넓히다.
  • 「2」그는 이번 선거에서 이길 수 있는 확고한 지반을 갖고 있다.
  • 「2」결국 우리 세대는 희생되고 지반 닦아 주는 것 외에 아무것도 아닌 것 같아요. ≪박경리, 토지≫
  • 「3」그는 회장이라는 지반을 발판으로 국회 의원 선거에 뛰어들었다.
  • 「3」그의 지위가 확고부동한 지반 위에 서 있는 것은 아니다.

40. 차반 (차盤) [차반]

한자: 盤(소반 반)

다기를 담는 조그마한 쟁반.

용례:

  • 커피잔을 차반에 받치다.
  • 나는 부엌에 준비해 놓은 차반을 들고 응접실로 갔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41. 채반 (채盤) [채반]

한자: 盤(소반 반)

「1」껍질을 벗긴 싸릿개비나 버들가지 따위의 오리를 울과 춤이 거의 없이 둥글넓적하게 결어 만든 채그릇.
「2」새색시가 근친을 갈 때나, 시집에 올 때 해 오는 음식.

용례:

「1」생선 지느러미라든가 굵은 가시도 채반에 넣어 말려 튀기면 훌륭한 진미의 안주가 되는 것이었다.≪한무숙, 만남≫

42. 책상반 (冊床盤) [책쌍반]

한자: 冊(책 책), 床(상 상), 盤(소반 반)

책상과 모양이 비슷하게 만든 소반.

용례:

  • 책상반을 책상 대용으로 쓰다.
  • 책상반에 찻잔을 올려놓다.
  • 어머니께서 속이 불편하다고 하셔서 책상반에 잣죽과 김칫국을 차려서 갖다드렸다.

43. 천반 (天盤) [천반]

한자: 天(하늘 천), 盤(소반 반)

갱도나 채굴 현장의 천장.

용례:

굿 속으로 따라 들어가려 하였으나 바닥이 질고 천반에선 여기저기 기름과 철분에 시뻘건 샘물이 낙숫물 떨어지듯 하여….≪이태준, 영월 영감≫

44. 초반 (初盤) [초반]

한자: 初(처음 초), 盤(소반 반)

「1」바둑, 장기, 운동 경기 따위에서, 대전이 시작하는 단계.
「2」어떤 일이나 일정한 기간의 처음 단계.

용례:

  • 「1」초반 싸움에 승부를 걸다.
  • 「1」결승전에서 우리 팀은 초반에 두 골이나 앞섰으나 후반에 역전당하고 말았다.
  • 「2」90년대 초반.
  • 「2」초반 주식 시장.
  • 「2」30대 초반의 남자.
  • 「2」초반 개표 결과 무소속 후보의 승리가 예상된다.

45. 태반 (胎盤) [태반]

한자: 胎(아이밸 태), 盤(소반 반)

임신 중 태아와 모체의 자궁을 연결하는 기관. 태아에게 영양분을 공급하고 배설물을 내보내는 기능을 한다.

46. 통영반 (統營盤) [통:영반]

한자: 統(거느릴 통:), 營(경영할 영), 盤(소반 반)

경상남도 통영 지방에서 만든 소반. 또는 그런 양식으로 만든 소반. 아래위 두 개의 중대(中帶)가 있고 네 다리가 곧은 것이 특징이다.

용례:

방 안에는 혼사나 제사 때만 사용하는 정한 돗자리가 깔려 있었고 통영반에 간단한 음식이 차려져 있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47. 평면반 (平面盤) [평면반]

한자: 平(평평할 평), 面(낯 면:), 盤(소반 반)

「1」수평으로 왕복하는 대 위에 공작물을 고정해 놓고, 대가 왕복할 때마다 운동 방향에 직각이 되게 날을 내밀어서 넓은 평면을 깎아 내는 데 쓰는 공작 기계.
「2」주축대에 지름이 큰 척(chuck)을 장치한 선반.

48. 화반 (花盤) [화반]

한자: 花(꽃 화), 盤(소반 반)

「1」꽃을 담도록 만든 자기(瓷器). 운두가 낮고 위는 넓은 꽃 모양이다.
「2」초방 위에 장여를 받치기 위하여 끼우는 널조각. 화분, 연꽃, 사자 따위를 새긴다.

용례:

「1」화반에 가득 담긴 꽃이 분위기를 더욱 운치 있게 한다.

49. 회반 (灰盤) [회반]

한자: 灰(재 회), 盤(소반 반)

뭉쳐 굳어진 석회 조각.

용례:

석수장이를 들이대서 회반을 깨뜨리고 그 육중한 관을 뻐개고….≪박종화, 임진왜란≫

50. 흰건반 (흰鍵盤) [힌건반]

한자: 鍵(자물쇠/열쇠 건:), 盤(소반 반)

피아노, 오르간 따위의 건반 악기에서 흰색의 건반. 한 옥타브 열두 개의 건반 가운데 일곱 개를 차지한다.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