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견방적 (絹紡績) [견방적]
한자: 絹(비단 견), 紡(길쌈 방), 績(길쌈 적)
고치실을 원료로 하여 실을 만드는 일.(견사방적)
2. 경영성적 (經營成績) [경영성적]
한자: 經(지날/글 경), 營(경영할 영), 成(이룰 성), 績(길쌈 적)
기업의 경영 활동의 성과. 이익액이나 이윤율로써 나타낸다.
3. 고적 (考績) [고적]
한자: 考(생각할 고(:)), 績(길쌈 적)
고려·조선 시대에, 관리의 근무 성적을 평가하여 결정하던 일. 승진과 좌천, 포상과 처벌에 반영하였다.
4. 공적 (功績) [공적]
한자: 功(공[勳] 공), 績(길쌈 적)
노력과 수고를 들여 이루어 낸 일의 결과.
용례:
- 공적을 쌓다.
- 불후의 공적을 남기다.
- 선인의 공적을 기리는 것은 후손들의 앞날을 위해서도 좋은 일이다.
- 밤을 새워 한 일이 아무런 공적도 없게 되었다.
5. 기적 (奇績) [기적]
한자: 奇(기특할 기), 績(길쌈 적)
세상에 드문 신기로운 공적.
6. 기적 (記績) [기적]
한자: 記(기록할 기), 績(길쌈 적)
공적을 기록함.
7. 노적 (勞績) [노적]
한자: 勞(일할 로), 績(길쌈 적)
「1」애써 이룬 공적.
「2」중국 청나라 때에, 이룩한 공적에 따라 관리를 등용하던 제도.
용례:
「1」노적을 치하하다.
8. 마방적 (麻紡績) [마방적]
한자: 麻(삼 마(:)), 紡(길쌈 방), 績(길쌈 적)
삼에서 올실을 뽑아내는 일.(대마방적)
9. 면방적 (綿紡績) [면방적]
한자: 綿(솜 면), 紡(길쌈 방), 績(길쌈 적)
면섬유에서 실을 뽑는 일.(면사방적,목면방적)
10. 모방적 (毛紡績) [모방적]
한자: 毛(터럭 모), 紡(길쌈 방), 績(길쌈 적)
털을 가공하여 방적사를 만드는 일.
11. 미적 (美績) [미:적]
한자: 美(아름다울 미(:)), 績(길쌈 적)
훌륭한 공적.
12. 방적 (紡績) [방적]
한자: 紡(길쌈 방), 績(길쌈 적)
「1」동식물의 섬유나 화학 섬유를 가공하여 실을 뽑는 일.
「2」섬유 원료로 실을 뽑아 피륙을 짜 내기까지의 모든 일.
용례:
「1」방적 공장.
13. 비적 (丕績) [비:적]
한자: 丕(클 비), 績(길쌈 적)
훌륭하게 여길 만한 큰 공적.
14. 사적 (事績) [사:적]
한자: 事(일 사:), 績(길쌈 적)
일의 실적이나 공적.
용례:
후세 사람들은 그를 지나치게 높인 나머지 그의 사적을 과장하거나 심하면 왜곡하기까지 했다.
15. 삼방적 (삼紡績) [삼방적]
한자: 紡(길쌈 방), 績(길쌈 적)
삼섬유를 원료로 하여 방적실을 만드는 일.
16. 성적 (成績) [성적]
한자: 成(이룰 성), 績(길쌈 적)
「1」하여 온 일의 결과로 얻은 실적.
「2」학생들이 배운 지식, 기능, 태도 따위를 평가한 결과.
용례:
- 「1」판매 성적.
- 「1」근무 성적이 좋다.
- 「1」올림픽에서 우리 선수단은 기대 이상의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 「2」성적이 오르다.
- 「2」성적이 떨어지다.
- 「2」우수한 성적을 거두다.
- 「2」형이 줄곧 일 등을 하는 데 비해 동생의 성적은 말이 아니었다.≪조정래, 태백산맥≫
17. 성적 (聲績) [성적]
한자: 聲(소리 성), 績(길쌈 적)
명성(名聲)과 공적(功績)을 아울러 이르는 말.
18. 수적 (殊績) [수적]
한자: 殊(다를 수), 績(길쌈 적)
뛰어난 공적.
19. 실적 (實績) [실쩍]
한자: 實(열매 실), 績(길쌈 적)
실제로 이룬 업적이나 공적.
용례:
- 수출 실적.
- 판매 실적 1위.
- 실적을 올리다.
- 각 회사별 매출 실적을 조사하는 중이다.
- 그 회사는 실적에 따라 급여를 책정한다.
20. 업적 (業績) [업쩍]
한자: 業(업 업), 績(길쌈 적)
어떤 사업이나 연구 따위에서 세운 공적.
용례:
- 위대한 업적을 남긴 위인.
- 업적을 쌓다.
- 회사에서는 개인별로 업적을 평가하여 인사에 반영한다.
- 그는 조국 광복에 탁월한 업적이 있는 독립투사다.
21. 위적 (偉績) [위적]
한자: 偉(클 위), 績(길쌈 적)
훌륭하고 뛰어난 공훈이나 업적.
용례:
무혈로 역사의 국민을 일신해 버리는 위적을 행할 수도 있을 수 있지 않았겠는가.≪이병주, 지리산≫
22. 의적 (懿績) [의적]
한자: 懿(아름다울 의), 績(길쌈 적)
훌륭하고 뛰어난 공적.
23. 이적 (貽績) [이:적]
한자: 貽(줄[與] 이), 績(길쌈 적)
남긴 공적.
24. 전적 (前績) [전적]
한자: 前(앞 전), 績(길쌈 적)
이전에 이루어 놓은 업적.
용례:
전적이 화려하다.
25. 전적 (戰績) [전:적]
한자: 戰(싸움 전:), 績(길쌈 적)
상대와 싸워서 얻은 실적.
용례:
그 팀과는 3전 전승의 전적이 있다.
26. 정적 (政績) [정적]
한자: 政(정사(政事) 정), 績(길쌈 적)
정치에서의 업적.
27. 주적 (紬績) [주적]
한자: 紬(명주 주), 績(길쌈 적)
실을 뽑아내는 일.
28. 치적 (治績) [치적]
한자: 治(다스릴 치), 績(길쌈 적)
잘 다스린 공적. 또는 정치상의 업적.
용례:
그가 여기 관찰사로 있을 때는 크게 선정을 베풀었던지 그 치적이 오래도록 이 지방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려….≪송기숙, 녹두 장군≫
29. 패적 (敗績) [패:적]
한자: 敗(패할 패:), 績(길쌈 적)
자기 나라가 싸움에 짐을 이르는 말.
용례:
패적을 논하여 벌을 내리다.
30. 학업성적 (學業成績) [하겁썽적]
한자: 學(배울 학), 業(업 업), 成(이룰 성), 績(길쌈 적)
학생이 학교에서 공부하여 이룬 성과. 흔히 성적표에 표시된 성적을 이른다.
31. 학적 (學績) [학쩍]
한자: 學(배울 학), 績(길쌈 적)
「1」학문에서의 업적.
「2」‘학업 성적’(학생이 학교에서 공부하여 이룬 성과. 흔히 성적표에 표시된 성적을 이른다.)을 줄여 이르는 말.
32. 행적 (行績) [행적]
한자: 行(다닐 행(:)), 績(길쌈 적)
「1」행위의 실적(實績)이나 자취.
「2」평생 동안 한 일이나 업적.
「3」나쁜 행실로 남긴 흔적.
용례:
- 「1」행적을 감추다.
- 「1」행적이 묘연하다.
- 「1」경찰은 사건 당시 용의자의 행적을 조사했다.
- 「1」정확히 3년 6개월의 행적이 이제는 더 추적조차 하기 어려운 어둠 속으로 자취를 감춰 버린 것이었다.≪이문열, 사람의 아들≫
- 「2」그는 음악계에 커다란 행적을 남겼다.
- 「2」두 대에 걸쳐 삼국 통일의 위업을 이룬 그 행적은 역사에 길이 남을 것이다.
- 「3」행적을 지우다.
- 「3」그 여자는 아들이 다니는 학교에 촌지를 돌리고 다닌 행적이 있었다.
33. 호성적 (好成績) [호:성적]
한자: 好(좋을 호:), 成(이룰 성), 績(길쌈 적)
좋은 성적.
용례:
- 호성적을 거두다.
- 발군의 호성적을 내다.
34. 환적 (宦績) [환:적]
한자: 宦(벼슬 환:), 績(길쌈 적)
벼슬에 있을 때의 행적.
35. 훈적 (勳績) [훈적]
한자: 勳(공(功) 훈), 績(길쌈 적)
노력과 수고를 들여 이루어 낸 일의 결과.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