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간적 (奸賊) [간적]
한자: 奸(간사할 간), 賊(도둑 적)
간악한 도적.
용례:
정해년에 간적이 난을 일으키자 신을 가리켜 말을 하였는데….≪번역 성종실록≫
2. 거적 (巨賊) [거:적]
한자: 巨(클 거:), 賊(도둑 적)
큰 도둑.
용례:
- 거적을 토벌하다.
- 황제의 기대와는 달리 남북의 거적들은 갈수록 쇠퇴하기는커녕 오히려 강성해졌고….≪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3. 곡적 (穀賊) [곡쩍]
한자: 穀(곡식 곡), 賊(도둑 적)
곡식의 까끄라기가 목구멍에 걸려 목에 열이 나고 부으며 아픈 병.
4. 공적 (公賊) [공적]
한자: 公(공평할 공), 賊(도둑 적)
공금(公金)이나 공물(公物)을 훔친 도둑.
5. 과적 (科賊) [과적]
한자: 科(과목 과), 賊(도둑 적)
과거에 합격하기 위하여 온갖 부정행위를 하는 사람.
6. 관적 (官賊) [관적]
한자: 官(벼슬 관), 賊(도둑 적)
관군(官軍)과 적군(賊軍)을 아울러 이르는 말.
7. 구적 (寇賊) [구적]
한자: 寇(도적 구), 賊(도둑 적)
나라를 침범하는 외적.
용례:
정족도, 옹도 등지에 숨어서 노리던 구적들의 기습을 받기도 십상이었다.≪김주영, 객주≫
8. 국적 (國賊) [국쩍]
한자: 國(나라 국), 賊(도둑 적)
나라를 어지럽히는 역적. 또는 나라에 해를 끼치는 자.
용례:
- 국적으로 몰다.
- 그는 나라를 망친 국적이었다.
- 국적이 안 되려면 당장 군대에 들어가란 말이야.≪손창섭, 혈서≫
9. 극적 (劇賊) [극쩍]
한자: 劇(심할 극), 賊(도둑 적)
범행의 규모가 큰 도둑.
용례:
장길산은 여덟 명의 극적 중 하나로서 구월산을 근거로 활동하였다.
10. 난적 (亂賊) [난:적]
한자: 亂(어지러울 란:), 賊(도둑 적)
세상을 어지럽히는 무리나 도둑.
용례:
우리가 죽인 자는 법국인이 아니라 조선의 난신적자요. 난적을 죽인 게 어찌 죄가 됩니까?≪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11. 날도적 (날盜賊) [날도적]
한자: 盜(도둑 도(:)), 賊(도둑 적)
「1」몹시 악독한 도둑.
「2」몹시 악독하게 남의 것을 훔치거나 빼앗는 짓.
용례:
「1」“요새 아이들은 아, 사뭇 날도적 녀석들 아닙니까?” “그래, 감잘 안 캐 가나? 고구말 안 캐 가나?”≪안회남, 농민의 비애≫
12. 남적 (南賊) [남적]
한자: 南(남녘 남), 賊(도둑 적)
고려 중엽에, 남부 지방에서 민란을 일으킨 무리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무신 정권 아래서 사회가 불안하고 정치가 혼란한 틈을 타서 각지의 농민과 노예들이 계급 타파와 무신 정권의 타도를 부르짖으며 난을 일으켰는데, 명종 때 일어난 석영사(石令史)의 난, 망이·망소이의 난, 김사미의 난, 효심(孝心)의 난 따위가 있다.
13. 낮도적 (낮盜賊) [낟또적]
한자: 盜(도둑 도(:)), 賊(도둑 적)
「1」대낮에 물건을 훔치는 사람.
「2」염치도 체면도 없이 욕심을 부리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4. 내적 (內賊) [내:적]
한자: 內(안 내:), 賊(도둑 적)
「1」내부의 적.
「2」나라나 사회 안의 도둑이나 역적.
용례:
- 「1」군데군데 도사리고 있는 내적들을 조심하라.
- 「1」눈에 보이지 않는 내적이 더 무서운 법이다.
- 「2」나라를 좀먹는 내적들을 퇴치하자.
- 「2」나라를 팔아먹은 내적들은 역사에 길이 악명을 남기고 있다.
15. 대적 (大賊) [대:적]
한자: 大(큰 대(:)), 賊(도둑 적)
「1」큰 도둑.
「2」크게 떼를 지은 도둑.
「3」매우 나쁜 사람.
용례:
「1」좀도둑도 채 되기 전에 벌써 흉악한 대적이 된 모양일세.≪홍명희, 임꺽정≫
16. 도적 (盜賊) [도적]
한자: 盜(도둑 도(:)), 賊(도둑 적)
남의 물건을 훔치거나 빼앗는 따위의 나쁜 짓. 또는 그런 짓을 하는 사람.
용례:
- 도적의 무리에게 재물을 빼앗기다.
- 도적을 물리치다.
- 산속에서 도적을 만났다.
- 그러면 처음부터 경관이라고 할 일이지, 아무 말도 없이 들어와서 폭행을 하니까 도적으로 알았소그려.≪한용운, 흑풍≫
- 새 포도대장이 어찌나 도적을 잘 잡는지 몇 달 사이에 백 명을 잡아 죽였다니….≪박완서, 미망≫
17. 두적 (蠹賊) [두적]
한자: 蠹(좀 두), 賊(도둑 적)
좀먹듯이 사물이나 일을 해침. 또는 그런 사람.
18. 떼도적 (떼盜賊) [떼도적]
한자: 盜(도둑 도(:)), 賊(도둑 적)
떼를 지어 도둑질을 하는 무리.
용례:
떼도적이 출몰해서 마을을 휩쓸어 갔다.
19. 마적 (馬賊) [마:적]
한자: 馬(말 마:), 賊(도둑 적)
말을 타고 떼를 지어 다니는 도둑. 주로 청나라 말기에 만주 지방에서 활동하였다.
용례:
- 마적에게 몽땅 털렸다.
- 옛날의 만주처럼 처처에 마적이 굉장히 많이 퍼져 함부로 다니지를 못한다더라.≪채만식, 소년은 자란다≫
20. 매국적 (賣國賊) [매:국쩍]
한자: 賣(팔 매(:)), 國(나라 국), 賊(도둑 적)
사사로운 이익을 위하여 남의 나라에 나라와 민족을 팔아먹는 반역자.
용례:
오천 년 내려오는 사기를 다 뒤져 보아도 일진회 같은 매국적이 또 어디 있으리오.≪대한매일신보≫
21. 명화적 (明火賊) [명화적]
한자: 明(밝을 명), 火(불 화(:)), 賊(도둑 적)
「1」떼를 지어 돌아다니며 재물을 마구 빼앗는 사람들의 무리.
「2」조선 철종 때에 창궐하였던 도적의 무리.
22. 모적 (蟊賊) [모적]
한자: 蟊(해충 모), 賊(도둑 적)
백성의 재물을 빼앗거나 좀먹는 탐관오리를 이르는 말.
23. 묘적 (墓賊) [묘:적]
한자: 墓(무덤 묘:), 賊(도둑 적)
「1」무덤을 파헤치고 그 속의 물건을 훔쳐 가는 도둑.
「2」송장을 파내어 감추고 금품을 강요하는 도둑.
24. 반적 (叛賊) [반:적]
한자: 叛(배반할 반:), 賊(도둑 적)
자기 나라를 배반한 역적.
용례:
- 반적을 처단하다.
- 그 때문에 여삼은 어머니와 누이와 함께 반적의 가족이라 하여 잡혀갔고 노예로 팔렸던 것이다.≪유현종, 들불≫
25. 밤도적 (밤盜賊) [밤또적]
한자: 盜(도둑 도(:)), 賊(도둑 적)
밤에 남의 물건을 훔치는 짓. 또는 그런 짓을 하는 사람.
용례:
밤도적이 들다.
26. 봉적 (逢賊) [봉적]
한자: 逢(만날 봉), 賊(도둑 적)
도적을 만남.
용례:
몰이꾼들이 열댓이나 패를 지어 몰려다녀야 겨우 봉적을 면할까 말까였다.≪김주영, 객주≫
27. 비적 (匪賊) [비:적]
한자: 匪(비적 비:), 賊(도둑 적)
무장을 하고 떼를 지어 다니면서 사람들을 해치는 도둑.
용례:
- 비적이 들끓다.
- 비적을 소탕하다.
- 북촌은 비적들의 약탈이 심해서 모두 떠나고 빈집만 남았다.
28. 산적 (山賊) [산적]
한자: 山(메 산), 賊(도둑 적)
산속에 근거지를 두고 드나드는 도둑.
용례:
산적의 소굴.
29. 살적 (殺賊) [살쩍]
한자: 殺(죽일 살), 賊(도둑 적)
사람을 죽이거나 물건을 빼앗음.
30. 삼적 (蔘賊) [삼적]
한자: 蔘(삼 삼), 賊(도둑 적)
밭에 있는 인삼을 훔치는 도둑.
용례:
그들 삼적은 대부분 일본 낭인들이었으며 일본도로 무장하고 작당하여 토굴에 임하였다.≪박완서, 미망≫
31. 생도적 (生盜賊) [생도적]
한자: 生(날 생), 盜(도둑 도(:)), 賊(도둑 적)
「1」억울하게 도둑의 누명을 뒤집어쓴 사람.
「2」몹시 악독한 도둑.
32. 서적 (鼠賊) [서:적]
한자: 鼠(쥐 서:), 賊(도둑 적)
자질구레한 물건을 훔치는 도둑.
33. 소도적 (소盜賊) [소도적]
한자: 盜(도둑 도(:)), 賊(도둑 적)
소를 훔치는 짓. 또는 그런 짓을 한 도둑.
용례:
소도적이 도망가다가 경찰에 잡혔다.
34. 소모적 (小毛賊) [소:모적]
한자: 小(작을 소:), 毛(터럭 모), 賊(도둑 적)
자질구레한 물건을 훔치는 도둑.
35. 소적 (小賊) [소:적]
한자: 小(작을 소:), 賊(도둑 적)
자질구레한 물건을 훔치는 도둑.
용례:
천하의 군대가 일제히 도착했으니 소적 따위는 평정하고 말 것도 없습니다. 국왕은 안심하소서.≪번역 선조실록≫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賊 도둑 적 - 2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