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본적 (假本籍) [가:본적]
한자: 假(거짓 가:), 本(근본 본), 籍(문서 적)
8·15 광복 때에 38선 이북에 본적이 있으나 이남에 거주한 사람에 대하여 가호적을 제정한 경우에 그 가호적이 있는 장소를 이르던 말. 1960년에 호적법의 시행에 따라 본적으로 바꾸었으므로 쓰지 않게 되었다.
용례:
현 거주지에서 신고하면 거기가 가본적이 되도록 돼 있어요.≪최인훈, 회색인≫
2. 가적 (家籍) [가적]
한자: 家(집 가), 籍(문서 적)
한집안의 호적.
용례:
- 부부의 가적.
- 임의 가적.
- 동일 가적 내에 없는 사람에게는 상속분이 적게 돌아간다.
3. 가호적 (假戶籍) [가:호적]
한자: 假(거짓 가:), 戶(집 호:), 籍(문서 적)
호적법에서, 본적지가 아닌 곳을 임시로 본적지로 정하여 만든 호적을 이르던 말.
용례:
그분들을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 맞은 이상 어디서건 가호적을 올려 대한민국 국민임을 증명해 주자는 것입니다.≪홍성원, 육이오≫
4. 경적 (經籍) [경적]
한자: 經(지날/글 경), 籍(문서 적)
옛 성현들이 유교의 사상과 교리를 써 놓은 책. ≪역경≫·≪서경≫·≪시경≫·≪예기≫·≪춘추≫·≪대학≫·≪논어≫·≪맹자≫·≪중용≫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용례:
이 행장은…봉상시로 보내지고, 거기서 다시 삼사의 하나로 경적에 대한 일을 관할하는 옥당 홍문관으로 전하여졌다.≪최명희, 혼불≫
5. 고서적 (古書籍) [고:서적]
한자: 古(예 고:), 書(글 서), 籍(문서 적)
아주 오래전에 간행된 책. 주로 한적(漢籍)의 모습을 한 책들을 이른다.
6. 교양서적 (敎養書籍) [교:양서적]
한자: 敎(가르칠 교:), 養(기를 양:), 書(글 서), 籍(문서 적)
교양을 쌓는 데 도움이 되는 책.
용례:
그들이 읽고 있는 책을 살펴보았더니 열에 아홉은 상당히 고상한 교양서적들이라 그들의 버르장머리 없는 행실과는 좀 다른 일면이었습니다.≪서기원, 마록 열전≫
7. 교적 (敎籍) [교:적]
한자: 敎(가르칠 교:), 籍(문서 적)
「1」종교의 교의(敎義)를 적은 책.
「2」신도의 소속을 밝히는 등록 문건. 또는 등록되어 있는 법적 근거.
용례:
「2」각 성당에는 영세 받은 분들의 교적이 있게 마련이고 그건 영구 보존 되는 것입니다.≪윤후명, 별보다 멀리≫
8. 국적 (國籍) [국쩍]
한자: 國(나라 국), 籍(문서 적)
「1」한 나라의 구성원이 되는 자격.
「2」배나 비행기 따위가 소속되어 있는 나라.
「3」한 나라의 특색을 나타내는 것.
용례:
- 「1」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다.
- 「1」과거가 다르고 국적이 달라서 두 사람 사이의 거리감은 어쩌면 숙명적인 것인지도 모른다.≪홍성원, 육이오≫
- 「2」국적 불명의 비행기.
- 「3」그들이 지금 먹고 있는 음식은 아직까지는 이 세상에서 단 한 번도 만들어 본 일이 없는 국적 불명의 음식이었다.≪홍성원, 육이오≫
- 「3」내 사고와 체질·습성이 점점 국적 불명이 되어 간다고 그가 말한 적이 있다.≪조세희, 내 그물로 오는 가시고기≫
9. 귀적 (鬼籍) [귀:적]
한자: 鬼(귀신 귀:), 籍(문서 적)
「1」저승에 있다고 하는 귀신들의 명부.
「2」절에서, 죽은 이들의 속명(俗名)·법명(法名)·죽은 날짜 따위를 적어 두는 장부.
용례:
「1」젊어서 얻은 친구들 중에도 이미 귀적에 든 친구가 있고, 오다가다 뜻하지 않은 일로 서로 멀어진 친구도 적지 않다.≪이양하, 이양하 수필선≫
10. 기적 (妓籍) [기:적]
한자: 妓(기생 기:), 籍(문서 적)
예전에, 기생으로 등록되어 있던 소속. 또는 기생들을 등록해 놓은 대장.
용례:
- 아버지가 세상을 뜨자 장성한 상매는 어머니의 전철을 밟아 기적에다 이름을 올렸었다.≪유주현, 대한 제국≫
- “그 매환가 하는 애를 기적에서 빼도록 네 알아서 해라.” “분부대로 거행하겠소이다.”≪서기원, 조선백자 마리아상≫
11. 낙적 (落籍) [낙쩍]
한자: 落(떨어질 락), 籍(문서 적)
「1」병적, 학적 따위에서 이름과 기록이 빠짐.
「2」기적(妓籍)에서 이름이 빠짐.
용례:
「1」병적부를 열람하여 낙적 여부를 알아보아라.
12. 다국적 (多國籍) [다국쩍]
한자: 多(많을 다), 國(나라 국), 籍(문서 적)
여러 나라가 참여하거나 여러 나라의 것이 섞여 있음. 또는 그런 것.
용례:
- 다국적 자본.
- 다국적 문화 산업.
- 이번 영화제의 심사 위원들은 다국적으로 구성되었다.
13. 당적 (黨籍) [당적]
한자: 黨(무리 당), 籍(문서 적)
당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문서.
용례:
- 당적을 옮기다.
- 그는 국회 의원이 되었지만 당에서 제명되어 당적을 잃었다.
14. 동적 (洞籍) [동:적]
한자: 洞(골 동:), 籍(문서 적)
행정 구역인 동(洞) 안에 사는 사람들의 이름, 생년월일, 주소, 가족 관계, 직업 따위의 신상에 관한 기록.
용례:
자동차 면허를 동적에 올리다.
15. 맹적 (盟籍) [맹적]
한자: 盟(맹세 맹), 籍(문서 적)
동맹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장부.
용례:
맹적에 오르다.
16. 명적 (名籍) [명적]
한자: 名(이름 명), 籍(문서 적)
어떤 일에 관련된 사람의 이름, 주소, 직업 따위를 적어 놓은 장부.
용례:
인하여 우선 체차하도록 명하고, 또 명적에서 빼 버리고 영원히 사판에서 삭제하도록 하였다.≪번역 영조실록≫
17. 묘적 (墓籍) [묘:적]
한자: 墓(무덤 묘:), 籍(문서 적)
등록되어 있는 묘지의 적.
용례:
묘적을 옮기다.
18. 무국적 (無國籍) [무국쩍]
한자: 無(없을 무), 國(나라 국), 籍(문서 적)
「1」한 개인이 어느 나라의 국적도 가지지 않는 일.
「2」특정 국가와 관련된 특징이 없음.
용례:
「2」국민 소득을 미국의 화폐 단위인 달러로 가르치는 무국적 교육에 나는 픽 실소를 흘렸다.
19. 무적 (無籍) [무적]
한자: 無(없을 무), 籍(문서 적)
국적, 학적 따위가 해당 문서에 기록되어 있지 아니함.
용례:
무적 선수.
20. 문적 (文籍) [문적]
한자: 文(글월 문), 籍(문서 적)
일정한 목적, 내용, 체재에 맞추어 사상, 감정, 지식 따위를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하여 적거나 인쇄하여 묶어 놓은 것.
용례:
- 규장각은 본래 역대 국왕의 문적을 수집하고 보관하기 위한 곳이었다.
- 대마도는 경상도 계림에 소속되어 있어 본시 우리나라 땅이다. 이것은 문적에 실려 있어 밝히 고증할 수 있다.≪박종화, 임진왜란≫
21. 민적 (民籍) [민적]
한자: 民(백성 민), 籍(문서 적)
예전에, ‘호적’(호주(戶主)를 중심으로 하여 그 집에 속하는 사람의 본적지, 성명, 생년월일 따위의 신분에 관한 사항을 기록한 공문서. 2008년 호적법 폐지에 따라 폐지되고, ‘가족 관계 등록부’가 이를 대체하게 되었다.)을 달리 이르던 말.
용례:
- 민적을 옮기다.
- 민적에 올리다.
22. 반적 (班籍) [반적]
한자: 班(나눌 반), 籍(문서 적)
양반의 호적.
용례:
반적에 들다.
23. 병적 (兵籍) [병적]
한자: 兵(병사 병), 籍(문서 적)
「1」군인으로서의 기록.
「2」군인 개개인의 신분에 관한 사항을 기록해 놓은 장부.
용례:
「1」병적 증명서.
24. 복적 (復籍) [복쩍]
한자: 復(회복할 복), 籍(문서 적)
호적법에서, 이혼이나 파양(罷養) 따위로 친가 또는 생가의 호적으로 다시 돌아가는 일을 이르던 말.
용례:
만주를 들어갈 때 적이 소멸된 뒤 다시는 복적을 시키지 않았던 것이다.≪전상국, 외딴길≫
25. 본적 (本籍) [본적]
한자: 本(근본 본), 籍(문서 적)
호적법에서, 호적이 있는 지역을 이르던 말.
용례:
- 본적과 성명을 쓰고 도장만 찍으면 충분합니다.≪장용학, 위사가 보이는 풍경≫
- 내가 둘째인 관계로 분가를 하면서 본적마저 서울로 옮겨 버렸다.≪황순원, 일월≫
26. 부적 (符籍) [부:적]
한자: 符(부호 부(:)), 籍(문서 적)
잡귀를 쫓고 재앙을 물리치기 위하여 붉은색으로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려 몸에 지니거나 집에 붙이는 종이.
용례:
- 부적을 간직하다.
- 부적을 써 붙이다.
27. 불온서적 (不穩書籍) [부론서적]
한자: 不(아닐 불), 穩(편안할 온), 書(글 서), 籍(문서 적)
불온한 사상을 내용으로 하는 책.
용례:
- 불온서적으로 낙인찍히다.
- 불온서적을 유포하다.
- 윤한용은 일본 경응 대학 재학 중 방학에 귀성해 있다가 불온서적을 소유하고 있는 사실이 발각되어 대전 형무소에 수감되었다.≪이병주, 지리산≫
28. 서적 (書籍) [서적]
한자: 書(글 서), 籍(문서 적)
일정한 목적, 내용, 체재에 맞추어 사상, 감정, 지식 따위를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하여 적거나 인쇄하여 묶어 놓은 것.
용례:
이 서점에서는 중고 서적을 전문으로 판다.
29. 선적 (船籍) [선적]
한자: 船(배 선), 籍(문서 적)
배의 국적.
용례:
- 파나마 선적 화물선.
- 그 고기잡이배는 선적을 알 수 없는 배에 부딪쳐 가라앉았다.
30. 세적 (稅籍) [세:적]
한자: 稅(세금 세:), 籍(문서 적)
세무서에 비치하는 납세자의 기본 대장(臺帳).
용례:
세적 관리.
31. 승적 (僧籍) [승적]
한자: 僧(중 승), 籍(문서 적)
승려의 신분을 등록함. 또는 그런 문서.
용례:
- 승적에 들다.
- 승적에 올리다.
- 파계를 하고 승적을 박탈당한 사람을 받을 수 없으니 그리 알고 법운 수좌도 그런 사람과 가까이하지 마요.≪김성동, 만다라≫
32. 신서적 (新書籍) [신서적]
한자: 新(새 신), 書(글 서), 籍(문서 적)
새로 나온 책.
용례:
- 신서적을 구입하다.
- 신학기가 시작되자 구내 서점은 신서적으로 가득 채워졌다.
33. 안적 (案籍) [안:적]
한자: 案(책상 안:), 籍(문서 적)
호적 따위의 기록 대장.
용례:
호(戶)마다 증거가 될 만한 문서를 주고 안적을 만들게 하고….≪번역 세종실록≫
34. 양적 (良籍) [양적]
한자: 良(어질 량), 籍(문서 적)
양민의 호적.
용례:
노비는 근저가 하나인데 어떤 때는 천인으로 삼고 어떤 때는 양인으로 삼으며, 양인으로서 양적에도 없고….≪번역 태종실록≫
35. 원적 (原籍) [원적]
한자: 原(언덕 원), 籍(문서 적)
「1」호적법에서, 혼인이나 입양 따위로 적을 옮기기 전의 본래의 호적을 이르던 말.
「2」호적법에서, 호적이 있는 지역을 이르던 말.
용례:
- 「1」동빈은 받아 보니 일현의 호적 등본이었다. 동빈은 어차피 받은 김이라 원적을 보고 곧 호주가 누군가를 보았다.≪이태준, 화관≫
- 「2」고향은 전라남도 나주군 어디였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대학교 입학 때에 쫓아다닌 그의 원적이었다.≪이상문, 황색인≫
36. 이적 (移籍) [이적]
한자: 移(옮길 이), 籍(문서 적)
「1」호적을 옮김.
「2」운동선수가 소속 팀으로부터 다른 팀으로 적을 옮기는 일.
37. 입적 (入籍) [입쩍]
한자: 入(들 입), 籍(문서 적)
「1」호적법에서, 호적에 올리는 일을 이르던 말.
「2」어떤 곳에 적(籍)을 올림.
용례:
「1」결혼 후 칠팔 년이 지난 여태까지 입적도 시키지 않고 있다는 것이 아닌가.≪한무숙, 돌≫
38. 재적 (在籍) [재:적]
한자: 在(있을 재:), 籍(문서 적)
학적, 병적 따위의 명부(名簿)에 이름이 올라 있음.
용례:
- 재적 명단.
- 재적 인원.
- 이 학교에는 재적 학생이 서른 명이다.
- 재적 의원 중 과반수가 출석하지 않아 회의를 열지 못했다.
- 국문학이 전공인 그는 서울의 모 대학에 재적 중이다.
39. 전적 (轉籍) [전:적]
한자: 轉(구를 전:), 籍(문서 적)
「1」호적법에서, 호적을 다른 곳으로 옮기는 일을 이르던 말.
「2」학적(學籍) 따위를 다른 곳으로 옮김.
용례:
- 「1」전적 신고서.
- 「1」5·16 군사 혁명이 일어난 지 얼마 안 돼 호적의 전적 수속이 간편해지자 그는 누구보다 앞서 전적을 했고….≪이문구, 장한몽≫
40. 제적 (除籍) [제적]
한자: 除(덜 제), 籍(문서 적)
학적, 당적 따위에서 이름을 지워 버림.
용례:
그는 학생답지 못한 행동으로 제적 처리되었다.
41. 진적 (珍籍) [진적]
한자: 珍(보배 진), 籍(문서 적)
진귀한 책.
용례:
거풍 안 하면, 명주 비단은 물론이고 천하 진서, 진적도 다 곰팡 나기 쉽지.≪최명희, 혼불≫
42. 차적 (車籍) [차적]
한자: 車(수레 차), 籍(문서 적)
자동차에 관한 내용을 기록한 문서.
용례:
방치된 차량의 차적을 조회하여 차 주인을 알아냈다.
43. 판적 (版籍) [판적]
한자: 版(판목 판), 籍(문서 적)
「1」‘책’(冊)을 달리 이르는 말.
「2」일제 강점기에, 집의 수효와 각 집의 식구를 조사하여 적은 책.
44. 학적 (學籍) [학쩍]
한자: 學(배울 학), 籍(문서 적)
학교에 비치하는 학생에 관한 기록. 학생의 성명, 생년월일, 성별, 주소, 성적, 입학, 졸업, 보호자, 보증인, 환경, 신체 상황 따위를 내용으로 한다.
용례:
그는 법과에 학적을 두고 있다.
45. 호적 (戶籍) [호:적]
한자: 戶(집 호:), 籍(문서 적)
호주(戶主)를 중심으로 하여 그 집에 속하는 사람의 본적지, 성명, 생년월일 따위의 신분에 관한 사항을 기록한 공문서. 2008년 호적법 폐지에 따라 폐지되고, ‘가족 관계 등록부’가 이를 대체하게 되었다.
용례:
- 호적을 옮기다.
- 그는 양자를 들여 자기 호적에 올렸다.
- 만약 작은아버지를 죽인 빨갱이의 자식이 작은아버지의 호적에 오른다면 자기 호적을 파 가지고 나가 버리겠다면서 동식 형은 입에 거품을 물었다.≪윤흥길, 무지개는 언제 뜨는가≫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