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絕 끊을 절 - 1

1. 가절 (佳絕) [가:절]

한자: 佳(아름다울 가:), 絕(끊을 절)

‘가절하다’
(빼어나게 아름답다.)의 어근.

2. 거절 (拒絕) [거:절]

한자: 拒(막을 거:), 絕(끊을 절)

상대편의 요구, 제안, 선물, 부탁 따위를 받아들이지 않고 물리침.

용례:

  • 그녀의 거절에 나는 자존심이 상했다.
  • 친구의 부탁이라 거절도 못 했다.
  • 처음에는 그 말이 술술 나오지 않았으나 한 집에서 거절을 당하고 두 번째 집에서 퇴짜를 맞게 되자, 자존심 따위는 헌신짝처럼 내팽개쳤다.≪김용성, 도둑 일기≫

3. 격절 (隔絕) [격쩔]

한자: 隔(사이뜰 격), 絕(끊을 절)

서로 사이가 떨어져서 연락이 끊어짐.

4. 경절 (經絕) [경절]

한자: 經(지날/글 경), 絕(끊을 절)

여자가 폐경기가 되어 월경이 중지되는 일.

5. 계절 (繼絕) [계:절]

한자: 繼(이을 계:), 絕(끊을 절)

끊어진 것을 다시 이음.

6. 고절 (高絕) [고절]

한자: 高(높을 고), 絕(끊을 절)

‘고절하다’
(더할 수 없이 높고 뛰어나다.)의 어근.

7. 곤절 (困絕) [곤:절]

한자: 困(곤할 곤:), 絕(끊을 절)

가난하여 몹시 고생스러움.

8. 관절 (冠絕) [관절]

한자: 冠(갓 관), 絕(끊을 절)

‘관절하다’
(가장 뛰어나다.)의 어근.

9. 근절 (根絕) [근절]

한자: 根(뿌리 근), 絕(끊을 절)

다시 살아날 수 없도록 아주 뿌리째 없애 버림.

용례:

  • 부동산 투기 근절.
  • 사치 풍조 근절을 위해 노력하다.

10. 금절 (禁絕) [금:절]

한자: 禁(금할 금:), 絕(끊을 절)

엄중히 금하여 근절함.

11. 기절 (奇絕) [기절]

한자: 奇(기특할 기), 絕(끊을 절)

‘기절하다’
(아주 신기하고 기이하다.)의 어근.

12. 기절 (氣絕) [기절]

한자: 氣(기운 기), 絕(끊을 절)

「1」두려움, 놀람, 충격 따위로 한동안 정신을 잃음.
「2」병든 사람이 숨이 끊어져 죽음.
「3」갑자기 몹시 놀람.

용례:

  • 「1」기절 상태에 빠지다.
  • 「1」부인은 안간힘을 한 번 쓰고 거의 기절이나 한 사람 모양으로 뒤로 넘어질 뻔하였다.≪현진건, 무영탑≫

13. 기절 (棄絕) [기절]

한자: 棄(버릴 기), 絕(끊을 절)

신도로서의 자격을 빼앗고 종문(宗門)에서 내쫓는 일. 특히 가톨릭교에서 공식적으로 행하는 일이다.

14. 단절 (斷絕) [단:절]

한자: 斷(끊을 단:), 絕(끊을 절)

「1」유대나 연관 관계를 끊음.
「2」흐름이 연속되지 아니함.

용례:

  • 「1」대화의 단절.
  • 「1」바깥세상과의 철저한 단절을 지키면서 수도를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 「2」이러한 의식의 단절은 젊은 층과 기성세대라는 양분법만으로는 다 파악되지 않는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15. 돈절 (頓絕) [돈:절]

한자: 頓(조아릴 돈:), 絕(끊을 절)

편지나 소식 따위가 딱 끊어짐.

용례:

지난번 언쟁이 있은 후로 소식이 돈절인 것을 보니 그가 꽤 화가 난 모양이었다.

16. 두절 (杜絕) [두절]

한자: 杜(막을 두), 絕(끊을 절)

교통이나 통신 따위가 막히거나 끊어짐.

용례:

  • 연락 두절.
  • 교신 두절.
  • 통신 두절.
  • 항로의 두절.

17. 둔절 (遁絕) [둔:절]

한자: 遁(숨을 둔:), 絕(끊을 절)

소식이나 연락 따위가 영영 끊어짐.

18. 멸절 (滅絕) [멸쩔]

한자: 滅(꺼질/멸할 멸), 絕(끊을 절)

멸망하여 아주 없어짐. 또는 멸망시켜 아주 없애 버림.

19. 묘절 (妙絕) [묘:절]

한자: 妙(묘할 묘:), 絕(끊을 절)

‘묘절하다’
(더할 수 없이 교묘하다.)의 어근.

20. 민절 (泯絕) [민절]

한자: 泯(빠질 민), 絕(끊을 절)

자취나 흔적이 아주 없어짐.

21. 민절 (悶絕) [민절]

한자: 悶(답답할 민), 絕(끊을 절)

너무 기가 막혀 정신을 잃고 까무러침.

22. 부절 (不絕) [부절]

한자: 不(아닐 불), 絕(끊을 절)

끊이지 아니하고 계속됨.

23. 비절 (悲絕) [비:절]

한자: 悲(슬플 비:), 絕(끊을 절)

‘비절하다’
(더할 수 없이 슬프다.)의 어근.

24. 사절 (死絕) [사:절]

한자: 死(죽을 사:), 絕(끊을 절)

「1」숨이 끊어져 죽음.
「2」자손이 다 죽어 대(代)가 끊어짐.

25. 사절 (謝絕) [사:절]

한자: 謝(사례할 사:), 絕(끊을 절)

요구나 제의를 받아들이지 않고 사양하여 물리침.

용례:

  • 면회 사절.
  • 외상 사절.
  • 아버지는 대문 옆에 ‘신문 사절’이라고 크게 써 붙였다.

26. 사절 (辭絕) [사절]

한자: 辭(말씀 사), 絕(끊을 절)

사양하여 받지 아니함.

27. 삼절 (三絕) [삼절]

한자: 三(석 삼), 絕(끊을 절)

「1」공자가 주역을 즐겨 읽어 책의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는 뜻으로, 책을 열심히 읽음을 이르는 말. ≪사기≫의 <공자세가(孔子世家)>에서 유래한다.
「2」뛰어난 존재 세 가지.
「3」세 가지의 뛰어난 재주를 가진 사람.
「4」세 수(首)의 절구(絕句).

용례:

「2」유월례는 종이었으나 얼굴이 여간 예쁘지 않았다. 하학동 삼절이란 우스갯소리를 들을 만큼 얼굴이 절색이었다.≪송기숙, 녹두 장군≫

28. 소절 (紹絕) [소절]

한자: 紹(이을 소), 絕(끊을 절)

끊어진 혈통의 대(代)를 이어 줌.

용례:

그녀는 단지 그 집안의 소절을 위해서 들인 여자일 뿐이다.

29. 손절 (孫絕) [손절]

한자: 孫(손자 손(:)), 絕(끊을 절)

대를 이을 자손이 끊어짐.

30. 수절 (秀絕) [수절]

한자: 秀(빼어날 수), 絕(끊을 절)

‘수절하다’
(매우 뛰어나고 훌륭하다.)의 어근.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絕 끊을 절 - 2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