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 열절 (烈節) [열쩔]
한자: 烈(매울 렬), 節(마디 절)
「1」장하게 지키는 곧은 절개.
「2」열녀의 정절.
용례:
「1」문충공 정몽주의 정충과 열절은 백세 아래서도 사람들로 하여금 크게 감동되게 한다.≪번역 순조실록≫
82. 염절 (廉節) [염절]
한자: 廉(청렴할 렴), 節(마디 절)
청렴하고 강직한 절개.
용례:
충효와 염절을 지닌 신하로서 많은 사람의 신망을 받고….≪번역 광해군일기≫
83. 예의범절 (禮儀凡節) [예이범:절]
한자: 禮(예도 례:), 儀(거동 의), 凡(무릇 범(:)), 節(마디 절)
일상생활에서 갖추어야 할 모든 예의와 절차.
용례:
- 예의범절에 어긋나다.
- 예의범절에 맞다.
- 몸에 밴 구식 예의범절로 어른을 대하는 양갓집 자제다움 역시 그의 특징이었던 것이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 역시 집안이 출중해서 그러는지 심덕이 온순하고 후하기 그지없고 예의범절이 분명하다고 하데.≪한승원, 해일≫
84. 예절 (禮節) [예절]
한자: 禮(예도 례:), 節(마디 절)
예의에 관한 모든 절차나 질서.
용례:
- 예절을 지키다.
- 예절을 갖추다.
- 학교에서의 선후배 예절은 엄격하다.
- 음식을 장만한 사람에게 맛있다는 인사는 최소한의 예절이다.
- 시아버지 될 사람도 말이 상사람이지 예절 바르고 염치 차릴 줄 알고 착한 사람입니다.≪박경리, 토지≫
85. 오순절 (五旬節) [오:순절]
한자: 五(다섯 오:), 旬(열흘 순), 節(마디 절)
「1」고대 팔레스타인에서 히브리인들이 지내던 추수 감사절. 보릿단을 바치고 난 후 50일째 되는 날에 지낸다.
「2」부활절 후 50일째 되는 날. 성령 강림을 기념하는 날이다.
86. 외교사절 (外交使節) [외:교사:절]
한자: 外(바깥 외:), 交(사귈 교), 使(하여금/부릴 사:), 節(마디 절)
국가 간의 외교 교섭을 위하여 외국에 파견되는 국가의 대표자 또는 대표 기관. 대사(大使), 공사(公使), 대리 공사 등의 상주(常駐) 외교 사절과 국제회의 따위에 참가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외국에 주재하는 사절이나 특파 전권 대사와 같은 임시 외교 사절이 있다.
87. 위국충절 (爲國忠節) [위국충절]
한자: 爲(하/할 위(:)), 國(나라 국), 忠(충성 충), 節(마디 절)
나라를 위한 충성스러운 절개.
용례:
이순신 장군의 위국충절은 후세인들의 귀감이 되고 있다.
88. 유월절 (逾越節) [유월쩔]
한자: 逾(넘을 유), 越(넘을 월), 節(마디 절)
이스라엘 민족이 이집트에서 탈출한 일을 기념하는 유대교의 축제일. 하늘의 천사가 밤중에 이집트의 각 집의 맏아들을 죽일 때, 이스라엘 사람들의 집에는 어린양의 피를 문설주에 발랐기 때문에 그대로 지나가서 재앙을 받지 않은 일을 기념한 데서 유래한다.
89. 음절 (音節) [음절]
한자: 音(소리 음), 節(마디 절)
「1」하나의 종합된 음의 느낌을 주는 말소리의 단위. 몇 개의 음소로 이루어지며, 모음은 단독으로 한 음절이 되기도 한다. ‘아침’의 ‘아’와 ‘침’ 따위이다.
「2」음률의 곡조.
90. 인공관절 (人工關節) [인공관절]
한자: 人(사람 인), 工(장인 공), 關(관계할 관), 節(마디 절)
합성수지, 금속, 세라믹 따위의 인공적인 재료를 이용하여 만든 관절.
91. 인사범절 (人事凡節) [인사범:절]
한자: 人(사람 인), 事(일 사:), 凡(무릇 범(:)), 節(마디 절)
인사법의 질서나 절차.
용례:
- 인사범절을 차리다.
- 그는 나를 위하고 인사범절도 그만하면 흠잡을 것은 없는 아내라고 나는 믿소.≪이광수, 유정≫
92. 인용절 (引用節) [이뇽절]
한자: 引(끌 인), 用(쓸 용:), 節(마디 절)
남의 말이나 글에서 직접 또는 간접으로 따온 절.
93. 장막절 (帳幕節) [장막쩔]
한자: 帳(장막 장), 幕(장막 막), 節(마디 절)
유대인들의 삼대 명절 가운데 하나. 이스라엘 사람들이 이집트에서 나와 광야에 장막을 치고 살았던 일을 기념하는 날로, 그들의 추수 감사절이다.
94. 절절 (節節) [절절]
한자: 節(마디 절), 節(마디 절)
글이나 말의 한 마디 한 마디.
용례:
어머니의 편지에는 절절마다 자식에 대한 애틋함이 들어 있다.
95. 정절 (貞節) [정절]
한자: 貞(곧을 정), 節(마디 절)
여자의 곧은 절개.
용례:
- 정절을 지키다.
- 할 짓 못 할 짓 다 해 봤어도 정절 하나만은 송죽같이 지키고 살아온 내 배 속에서 어쩌다 저런 계집애가 태어났을꼬.≪박완서, 도시의 흉년≫
- 대저 정절 높은 여인이 두 지아비를 섬길 수 없고….≪최명희, 혼불≫
96. 제절 (諸節) [제절]
한자: 諸(모두 제), 節(마디 절)
「1」듣는 이의 집안 식구들의 기거동작을 높여 이르는 말.
「2」손윗사람의 기거동작을 높여 이르는 말.
용례:
- 「1」그간 댁내 제절이 다 만강하오신지….≪주요섭, 미완성≫
- 「1」아버님! 저의 일신상에 대해서는 조금도 원려치 마시기를 바라오며 끝으로 댁내 제절이 두루 안녕하옵기를 주소로 천만 축수하옵나이다.≪이기영, 신개지≫
97. 제헌절 (制憲節) [제:헌절]
한자: 制(절제할 제:), 憲(법 헌:), 節(마디 절)
우리나라의 헌법을 제정·공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제정한 국경일. 7월 17일이다.
98. 조절 (調節) [조절]
한자: 調(고를 조), 節(마디 절)
「1」균형이 맞게 바로잡음. 또는 적당하게 맞추어 나감.
「2」눈의 망막과 수정체의 거리를 알맞게 맞추거나 수정체의 모양을 바꾸어 외계(外界)의 상(像)을 망막 위에 맺도록 하는 작용.
용례:
- 「1」인구 조절.
- 「1」너에게는 식사량 조절과 적절한 운동 등 체중 관리가 필요하다.
- 「1」그 선수는 컨디션 조절에 실패하여 중도에서 탈락했다.
99. 죽절 (竹節) [죽쩔]
한자: 竹(대 죽), 節(마디 절)
「1」대의 마디.
「2」대로 만든 값싼 비녀.
용례:
「2」구름 같은 머리 쪽엔 백옥 죽절이 맵자하게 가로 꽂혔다.≪박종화, 다정불심≫
100. 중양절 (重陽節) [중:양절]
한자: 重(무거울 중:), 陽(볕 양), 節(마디 절)
세시 명절의 하나로 음력 9월 9일을 이르는 말. 이날 남자들은 시를 짓고 각 가정에서는 국화전을 만들어 먹고 놀았다.
용례:
- 중양절에는 국화주, 밤단자 등을 즐겨 먹는다.
- 예로부터 중양절은 양수(陽數)인 9가 두 번 겹치는 날이라고 해서 일 년 중, 양의 기운이 가장 충만하다고 믿었다.
101. 중추가절 (仲秋佳節) [중추가:절]
한자: 仲(버금 중(:)), 秋(가을 추), 佳(아름다울 가:), 節(마디 절)
「1」음력 팔월 보름의 좋은 날이라는 뜻으로, ‘추석’(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팔월 보름날이다. 신라의 가배(嘉俳)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며, 햅쌀로 송편을 빚고 햇과일 따위의 음식을 장만하여 차례를
지낸다.)을 달리 이르는 말.
「2」음력 팔월의 좋은 가을철.
용례:
「2」추석 명절만은 신곡이 풍부한 데다가 기후가 중추가절이어서, 집집마다 떡방아 소리로 밤을 새우기가 예사요….≪정비석, 비석과 금강산의 대화≫
102. 중추절 (仲秋節) [중추절]
한자: 仲(버금 중(:)), 秋(가을 추), 節(마디 절)
음력 팔월에 있는 명절이라는 뜻으로 ‘추석’(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팔월 보름날이다. 신라의 가배(嘉俳)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며, 햅쌀로 송편을 빚고 햇과일 따위의 음식을 장만하여 차례를 지낸다.)을 달리 이르는 말.
용례:
중추절을 앞둔 달은 대낮같이 밝았다.≪한수산, 부초≫
103. 지절 (志節) [지절]
한자: 志(뜻 지), 節(마디 절)
지조와 절개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선생의 고결한 지절은 우리 마음속에 오래 남을 것이다.
104. 지절 (枝節) [지절]
한자: 枝(가지 지), 節(마디 절)
「1」나무의 가지와 마디.
「2」곡절이 많은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2」지절이 나다.
105. 천중가절 (天中佳節) [천중가:절]
한자: 天(하늘 천), 中(가운데 중), 佳(아름다울 가:), 節(마디 절)
좋은 명절이라는 뜻으로, ‘단오’(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5월 5일로, 단오떡을 해 먹고 여자는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그네를 뛰며 남자는 씨름을 한다.)를 달리 이르는 말.
용례:
창포를 사시오, 천중가절인 오월 단오에 창포물을 끓여 목욕을 하시오.≪박종화, 임진왜란≫
106. 천중절 (天中節) [천중절]
한자: 天(하늘 천), 中(가운데 중), 節(마디 절)
좋은 명절이라는 뜻으로, ‘단오’(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5월 5일로, 단오떡을 해 먹고 여자는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그네를 뛰며 남자는 씨름을 한다.)를 달리 이르는 말.
용례:
대왕대비는 귀중한 손자를 위하여 오 월 오 일 천중절에 송악산에 큰 치성을 드리기로 작정하고….≪홍명희, 임꺽정≫
107. 체온조절 (體溫調節) [체온조절]
한자: 體(몸 체), 溫(따뜻할 온), 調(고를 조), 節(마디 절)
정온 동물이 그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작용. 추울 때에는 피부의 혈관이 수축하여 체온의 발산을 방지하고, 더울 때에는 발한이나 호흡이 왕성해져서 체온을 내린다.
108. 초막절 (草幕節) [초막쩔]
한자: 草(풀 초), 幕(장막 막), 節(마디 절)
유대인의 추수 경축절. 후에는 광야를 방랑할 때 하나님이 인도한 일을 기념하는 명절이 되었다.
109. 초종범절 (初終凡節) [초종범:절]
한자: 初(처음 초), 終(마칠 종), 凡(무릇 범(:)), 節(마디 절)
초상이 난 뒤부터 졸곡까지 치르는 모든 절차.
용례:
- 초종범절을 치르다.
- 초상 때 동네 인심도 있거니와 정 첨지가 도와주고 유복이가 힘을 써서 오주 아내의 초종범절은 과히 마련 없지 아니하였다.≪홍명희, 임꺽정≫
110. 추수감사절 (秋收感謝節) [추수감:사절]
한자: 秋(가을 추), 收(거둘 수), 感(느낄 감:), 謝(사례할 사:), 節(마디 절)
기독교 신자들이 한 해에 한 번씩 가을 곡식을 거둔 뒤에 하나님께 감사 예배를 올리는 날. 1620년에 영국 청교도들이 미국으로 이주한 다음 해 가을에 처음으로 거둔 수확으로 감사제를 지낸 데서 유래한다.
111. 충절 (忠節) [충절]
한자: 忠(충성 충), 節(마디 절)
충성스러운 절개.
용례:
- 충절의 고장.
- 충절을 기리다.
- 충절을 지키다.
- 계백 장군의 최후 역시도 그 우람스러운 기개와 충절에 값할 만한 영광을 조국에 바칠 수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이청준, 춤추는 사제≫
112. 층절 (層節) [층절]
한자: 層(층[層階] 층), 節(마디 절)
일의 많은 가닥이나 곡절 또는 변화.
용례:
- 층절이 많다.
- 아무리 너와 내가 부녀지간이라도 지금은 큰 층절이 있으니 이번에는 요행히 만났으나 이후에 또다시 만나기는 어려울 듯하다.≪이상협, 재봉춘≫
113. 턱관절 (턱關節) [턱꽌절]
한자: 關(관계할 관), 節(마디 절)
아래턱뼈를 머리뼈에 연결시키는 관절.
114. 팔절 (八節) [팔쩔]
한자: 八(여덟 팔), 節(마디 절)
한 해 동안에 있는 이십사절기 가운데 여덟 절기(節氣). 입춘, 춘분, 입하, 하지, 입추, 추분, 입동, 동지를 이른다.
용례:
일 년 사시 팔절에 마음 편할 날이 며칠인고.
115. 하절 (夏節) [하:절]
한자: 夏(여름 하:), 節(마디 절)
계절이 여름인 때.
용례:
- 하절 스포츠.
- 하절 위생 관리.
116. 한절 (寒節) [한절]
한자: 寒(찰 한), 節(마디 절)
추운 겨울철.
용례:
오랜만에 저녁 끼니는 때웠다 하나 한절에 들고부터 기한에 떨고 주린 창자로 신기를 잃어 왔으니 한 마당 연희에도 식은땀이 비 오듯 하는….≪김주영, 객주≫
117. 합절 (閤節) [합쩔]
한자: 閤(합문 합), 節(마디 절)
주로 편지글에서, 남의 가족을 높여 이르는 말.
용례:
귀문 당내 합절이며 곁사돈 가내 친지 두루 무사하옵시고….≪최명희, 혼불≫
118. 호시절 (好時節) [호:시절]
한자: 好(좋을 호:), 時(때 시), 節(마디 절)
좋은 때.
용례:
- 춘삼월 호시절.
- 이팔청춘 호시절도 한때다.
119. 환절 (換節) [환:절]
한자: 換(바꿀 환:), 節(마디 절)
「1」철이 바뀜.
「2」절조를 바꿈.
용례:
「1」감기가 기관지염이 되었습니다. 좀 쉬시면 괜찮으시겠습니다. 요새 환절에 조심 아니 하시면 병이 중해지십니다.≪이광수, 유정≫
120. 훼절 (毁節) [훼:절]
한자: 毁(헐 훼:), 節(마디 절)
절개나 지조를 깨뜨림.
용례:
- 잡배에게 겁간을 당하여 훼절을 당했다 할지라도 그에게 마음을 준 일이 없었겠으니….≪김주영, 객주≫
- 그의 두루춘풍식의 처세법을 잠시 훼절을 하고, 나를 위해 윤에게 싸움을 걸었던 것이었었다.≪채만식, 민족의 죄인≫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節 마디 절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節 마디 절 - 2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