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소동정 (小洞庭) [소:동정]
한자: 小(작을 소:), 洞(골 동:), 庭(뜰 정)
강원도 통천군 학이면과 학삼면 사이에 있는 두 개로 된 석호(潟湖). 중국의 동정호와 비슷하다 하여 생긴 이름이다. 면적은 5.12㎢.
32. 송정 (訟庭) [송:정]
한자: 訟(송사할 송:), 庭(뜰 정)
예전에, 송사(訟事)를 처리하던 곳.
33. 신가정 (新家庭) [신가정]
한자: 新(새 신), 家(집 가), 庭(뜰 정)
「1」신혼부부의 가정.
「2」새로운 시대의 가정.
용례:
- 「1」신가정을 이루다.
- 「2」신가정의 남편들은 가사 분담을 당연시한다.
34. 액정 (掖庭) [액쩡]
한자: 掖(낄/겨드랑이 액), 庭(뜰 정)
고려 시대에, 왕명의 전달 및 궁궐 관리를 맡아보던 관아. 성종 14년(995)에 액정원을 고친 것으로, 충선왕 복위년(1308)에 내알사로 고쳤다가 1년 뒤 복구하였으며, 충선왕 2년(1310)에 항정국으로 고쳤다가 고려 말에 다시 환원하였다.
35. 양정 (養庭) [양:정]
한자: 養(기를 양:), 庭(뜰 정)
‘양가’(양자로 들어간 집.)의 높임말.
36. 영정 (營庭) [영정]
한자: 營(경영할 영), 庭(뜰 정)
영문 안에 있는 마당.
37. 옥정 (玉庭) [옥쩡]
한자: 玉(구슬 옥), 庭(뜰 정)
궁중의 뜰.
38. 옥정 (獄庭) [옥쩡]
한자: 獄(옥[囚舍] 옥), 庭(뜰 정)
감옥의 뜰.
39. 외정 (外庭) [외:정]
한자: 外(바깥 외:), 庭(뜰 정)
집 바깥쪽에 있는 뜰. 또는 바깥채에 딸린 뜰.
40. 원정 (園庭) [원정]
한자: 園(동산 원), 庭(뜰 정)
집 안에 있는 뜰이나 꽃밭.
41. 이내정 (裏內庭) [이:내정]
한자: 裏(속 리:), 內(안 내:), 庭(뜰 정)
경외 기혈의 하나. 발바닥 쪽에서 둘째와 셋째 발가락 사이의 도드라진 끝이 닿는 곳이다.
42. 입정 (立庭) [입쩡]
한자: 立(설 립), 庭(뜰 정)
「1」의정대신이 아래 벼슬아치를 뜰 아래 세워 두던 가벼운 벌.
「2」승지가 액정서의 사알(司謁) 등을 뜰 아래 세워 두던 벌.
43. 작서지정 (雀鼠之庭) [작써지정]
한자: 雀(참새 작), 鼠(쥐 서:), 之(갈 지), 庭(뜰 정)
사람들이 가기 꺼려 하는 곳. 법정 따위를 이른다.
44. 전정 (前庭) [전정]
한자: 前(앞 전), 庭(뜰 정)
「1」집채의 앞에 있는 뜰.
「2」속귀에서 앞쪽은 달팽이관, 뒤쪽은 반고리관과 통해 있는 달걀 모양의 공간.
45. 전정 (殿庭) [전:정]
한자: 殿(전각 전:), 庭(뜰 정)
궁전의 뜰.
용례:
왕도 더 볼 수가 없어서 드디어 윤 씨를 폐하고 사사(賜死)를 하려고, 그 의논 때문에 신하들을 전정으로 불렀다.≪김동인, 운현궁의 봄≫
46. 중정 (中庭) [중정]
한자: 中(가운데 중), 庭(뜰 정)
「1」마당의 한가운데.
「2」집 안의 건물과 건물 사이에 있는 마당.
용례:
「2」큰길로 면한 가게와 가겟방은 중정을 끼고 안채와 통하게 돼 있었다.≪박완서, 미망≫
47. 질전정 (膣前庭) [질전정]
한자: 膣(음도 질), 前(앞 전), 庭(뜰 정)
‘질어귀’(여성의 바깥 생식 기관에서 소음순 사이의 공간. 이곳으로 요도와 질이 열린다.)의 전 용어.
48. 천정 (天庭) [천정]
한자: 天(하늘 천), 庭(뜰 정)
「1」별의 이름.
「2」천제(天帝)가 사는 궁궐. 삼태성, 삼형성, 태미성 따위를 이른다.
「3」관상에서, 두 눈썹의 사이 또는 이마의 복판을 이르는 말.
49. 초정 (椒庭) [초정]
한자: 椒(산초나무 초), 庭(뜰 정)
산초나무 열매의 가루를 바른 방이라는 뜻으로, 왕비가 거처하는 방이나 궁전 따위를 이르는 말. 산초나무는 온기가 있고 열매가 많은 식물로서, 자손이 많이 퍼지라는 뜻에서 왕비의 방 벽에 발랐다.
50. 추정 (趨庭) [추정]
한자: 趨(달아날 추), 庭(뜰 정)
자식이 부모의 가르침을 받음.
51. 축정 (築庭) [축쩡]
한자: 築(쌓을 축), 庭(뜰 정)
정원을 쌓아서 꾸밈.
52. 춘정 (春庭) [춘정]
한자: 春(봄 춘), 庭(뜰 정)
아버지를 달리 이르는 말. ‘정(庭)’은 공자의 아들 이(鯉)가 뜰에서 아버지의 가르침을 받은 일을 이른다.
53. 친정 (親庭) [친정]
한자: 親(친할 친), 庭(뜰 정)
결혼한 여자의 부모가 사는 집. 또는 그 부모의 집안.
용례:
- 친정 부모.
- 시집온 후 처음으로 친정 나들이를 갔다.
- 일이 많은 철인 걸 알면서도 명환이 안사람을 친정에 보낸 지도 근 열흘이 되어 간다.≪한수산, 유민≫
54. 한정 (寒庭) [한정]
한자: 寒(찰 한), 庭(뜰 정)
겨울빛이 가득 차서 쓸쓸해 보이는 뜰.
55. 한정 (閑庭) [한정]
한자: 閑(한가할 한), 庭(뜰 정)
조용하거나 한적한 정원.
56. 항정 (巷庭) [항:정]
한자: 巷(거리 항:), 庭(뜰 정)
고려 시대에, 왕명을 전달하거나 왕이 쓰는 붓과 벼루 따위를 관리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충선왕 2년(1310)에 액정국을 고친 것이다.
57. 호정 (戶庭) [호:정]
한자: 戶(집 호:), 庭(뜰 정)
집 안에 있는 뜰이나 마당.
58. 황인정 (皇仁庭) [황인정]
한자: 皇(임금 황), 仁(어질 인), 庭(뜰 정)
일본에 전한 고구려 탈춤의 하나. 또는 그 음악.
59. 황정 (荒庭) [황정]
한자: 荒(거칠 황), 庭(뜰 정)
버려두어 거칠고 못 쓰게 된 뜰.
60. 후정 (後庭) [후:정]
한자: 後(뒤 후:), 庭(뜰 정)
「1」집 뒤에 있는 뜰이나 마당.
「2」주되는 궁궐의 뒤쪽에 있는 궁궐.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庭 뜰 정 - 1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