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정 (家庭) [가정]
한자: 家(집 가), 庭(뜰 정)
「1」한 가족이 생활하는 집.
「2」가까운 혈연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생활 공동체.
용례:
- 「1」유럽 여행 중 우연히 독일인 가정에 초대받았다.
- 「2」결혼하여 한 가정을 이루다.
- 「2」지아비를 사랑하면서 따뜻한 가정을 꾸려 가고 싶은 욕심은 그녀의 현재의 생존 형편에서는 하나의 꿈이고 사치고 신기루이다.≪김원우, 짐승의 시간≫
- 「2」이런 일일수록 동네 사람들은 동네 사람들끼리 단합을 잘해야 하고 또 가정에서는 가정대로 화목해야 합니다.≪송기숙, 암태도≫
- 「2」현장 사람들 중에는 총각 때 경험 삼아 일하러 나왔다는 축도 없지 않았으나, 가정을 가진 사람은 거의 모두가 돈 때문에 나온 사람들이었다. ≪윤후명, 별보다 멀리≫
- 「2」그분은 바로 어느 시골의 엄한 가정에 태어나 그 당시의 관습대로 어렸을 때 장가를 들었다. ≪박종홍, 새날의 지성≫
2. 결손가정 (缺損家庭) [결쏜가정]
한자: 缺(이지러질 결), 損(덜 손:), 家(집 가), 庭(뜰 정)
부모의 한쪽 또는 양쪽이 죽거나 이혼하거나 따로 살아서 미성년인 자녀를 제대로 돌보지 못하는 가정.
3. 경정 (逕庭) [경정]
한자: 逕(길 경), 庭(뜰 정)
매우 심한 차이.
용례:
그는 원음에 가깝게 음독하였으나 그 원의와는 엄청난 경정이 있다.
4. 계정 (階庭) [계정]
한자: 階(섬돌 계), 庭(뜰 정)
층계 앞에 있는 뜰.
5. 공정 (公庭) [공정]
한자: 公(공평할 공), 庭(뜰 정)
예전에, 관가의 뜰을 이르던 말.
6. 공정 (空庭) [공정]
한자: 空(빌 공), 庭(뜰 정)
텅 빈 뜰.
용례:
무대 전면은 공정. 그 우편에는 출입문이 있다.
7. 관정 (官庭) [관정]
한자: 官(벼슬 관), 庭(뜰 정)
예전에, 관가의 뜰을 이르던 말.
용례:
- 무고한 농민들이 관정으로 끌려왔다.
- 대정 화전민들은 곧 영문에 통첩을 보내 삼 일 내로 약조를 지키지 않으면 삼읍(三邑) 민인을 모아 관정 돌입도 불사하겠다고 다그쳤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8. 교정 (校庭) [교:정]
한자: 校(학교 교:), 庭(뜰 정)
학교의 마당이나 운동장.
용례:
- 개학을 나흘 앞두고 있는 방학 중이라 교정은 쓸쓸히 비어 있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 수업 종료를 알리는 종이 세 번씩 교정에 울려 퍼졌다.≪한수산, 유민≫
9. 구정 (毬庭) [구정]
한자: 毬(제기/공 구), 庭(뜰 정)
궁중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의 큰 집에 있던 넓은 격구장.
용례:
고려 태조의 궁궐 안에 구정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10. 궁정 (宮庭) [궁정]
한자: 宮(집 궁), 庭(뜰 정)
궁궐 안의 마당.
용례:
궁정에서 연회가 열리다.
11. 남정 (南庭) [남정]
한자: 南(남녘 남), 庭(뜰 정)
「1」집 안의 남쪽에 있는 뜰.
「2」성균관의 명륜당 남쪽에 있는 뜰. 승학시를 보는 유생들이 앉던 곳이다.
12. 내정 (內庭) [내:정]
한자: 內(안 내:), 庭(뜰 정)
궁궐의 안.
용례:
강본과 추원을 내정으로 들여보내 궁성의 위급을 고하게 하고 대원군을 끌어내 오도록 명했다.≪유현종, 들불≫
13. 내정 (內庭) [내:정]
한자: 內(안 내:), 庭(뜰 정)
「1」부녀자가 거처하는 곳을 점잖게 이르는 말.
「2」안채에 있는 뜰.
14. 내정 (內庭) [내:정]
한자: 內(안 내:), 庭(뜰 정)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에 속하는 혈(穴) 이름. 둘째 발가락과 셋째 발가락이 갈라진 곳의 조금 위쪽에 있다.
15. 내정 (來庭) [내정]
한자: 來(올 래(:)), 庭(뜰 정)
조정에 와서 임금을 뵈는 일.
16. 다문화가정 (多文化家庭) [다문화가정]
한자: 多(많을 다), 文(글월 문), 化(될 화(:)), 家(집 가), 庭(뜰 정)
국적과 문화적 배경이 서로 다른 사람들로 이루어진 가정.
용례: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증가하면서 한국에도 다문화 가정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17. 동정 (東庭) [동정]
한자: 東(동녘 동), 庭(뜰 정)
「1」집 안의 동쪽에 있는 뜰.
「2」성균관의 명륜당 동쪽에 있는 뜰. 승학시를 보는 유생들이 앉던 곳이다.
18. 만공정 (滿空庭) [만:공정]
한자: 滿(찰 만(:)), 空(빌 공), 庭(뜰 정)
빈 뜰에 가득 참.
19. 만정 (滿庭) [만:정]
한자: 滿(찰 만(:)), 庭(뜰 정)
뜰에 무엇이 가득함. 또는 그 뜰.
20. 모자가정 (母子家庭) [모:자가정]
한자: 母(어미 모:), 子(아들 자), 家(집 가), 庭(뜰 정)
아버지가 없이 어머니와 자식만으로 된 가정.
21. 묘정 (廟庭) [묘:정]
한자: 廟(사당 묘:), 庭(뜰 정)
「1」종묘와 명당을 아울러 이르는 말.
「2」공로 있는 신하가 죽은 뒤에 종묘 제사에 부제(祔祭)하던 일.
22. 문정 (門庭) [문정]
한자: 門(문 문), 庭(뜰 정)
대문이나 중문 안에 있는 뜰.
용례:
문사를 좋아하였으나 함부로 사귀고 접하지 아니하므로, 문정이 고요하고 거마가 들레지 아니하였다.≪번역 성종실록≫
23. 법정 (法庭) [법쩡]
한자: 法(법 법), 庭(뜰 정)
법원이 소송 절차에 따라 송사를 심리하고 판결하는 곳.
용례:
- 법정 진술.
- 법정에 서다.
- 법정에 출두하다.
- 피고인으로 법정에 세우다.
- 지금 말한 내용을 법정에서도 진술할 수 있습니까?
24. 부정 (不庭) [부정]
한자: 不(아닐 불), 庭(뜰 정)
「1」지방 관아의 신하가 임금을 뵈러 오지 아니함. 또는 그 신하.
「2」속국이 종주국에게 예물을 바치지 아니함. 또는 그 속국.
25. 북정 (北庭) [북쩡]
한자: 北(북녘 북), 庭(뜰 정)
「1」집 안의 북쪽에 있는 뜰.
「2」성균관의 명륜당 북쪽에 있는 뜰. 승학시(陞學試)를 보는 유생들이 앉던 곳이다.
26. 산정 (山庭) [산정]
한자: 山(메 산), 庭(뜰 정)
콧등의 마루가 진 부분.
27. 삼보정 (三步庭) [삼보정]
한자: 三(석 삼), 步(걸음 보:), 庭(뜰 정)
세 걸음밖에 안 되는 마당이라는 뜻으로, 아주 좁은 마당을 이르는 말.
28. 생정 (生庭) [생정]
한자: 生(날 생), 庭(뜰 정)
「1」‘생가’(生家)를 높여 이르는 말.
「2」목련과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10미터 정도이며, 잎은 거꾸로 된 달걀 모양이고 넓다. 가지는 굵으며 털이 없고 많이 갈라진다. 이른 봄에 크고
향기 있는 흰 꽃이 잎보다 먼저 피고, 열매는 골돌과(蓇葖果)이다. 나뭇결이 치밀하여 기구재나 건축재로 쓰고, 꽃은 향수의 원료로 쓰며 꽃망울과 나무껍질은 약용한다. 한국의 제주, 일본 등지에 야생종이
있으며 각지에서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29. 서정 (西庭) [서정]
한자: 西(서녘 서), 庭(뜰 정)
「1」집 안의 서쪽에 있는 뜰.
「2」성균관의 명륜당 서쪽에 있는 뜰. 승학시를 보는 유생들이 앉던 곳이다.
30. 성가정 (聖家庭) [성:가정]
한자: 聖(성인 성:), 家(집 가), 庭(뜰 정)
성모 마리아, 요셉, 예수로 이루어진 거룩한 가정.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庭 뜰 정 - 2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