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1

1. 간정 (姦情) [간:정]

한자: 姦(간음할 간:), 情(뜻 정)

「1」간통한 실정(實情).
「2」간사한 마음.

용례:

「1」간정이 탄로 나다.

2. 간정 (懇情) [간:정]

한자: 懇(간절할 간:), 情(뜻 정)

간절한 마음.

3. 감정 (感情) [감:정]

한자: 感(느낄 감:), 情(뜻 정)

어떤 현상이나 일에 대하여 일어나는 마음이나 느끼는 기분.

용례:

  • 감정이 풍부하다.
  • 복받치는 감정을 억누르다.
  • 감정이 메마르다.
  • 음악은 사람의 감정을 순화한다.
  • 그는 자신의 감정을 좀처럼 드러내지 않았다.
  • 어머님은 슬픈 감정을 참지 못하고 눈물을 흘리셨다.
  • 그는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했다.
  • 유 선달은 솟구치는 감정을 누르려고 큰기침을 해 가며 손수건으로 입을 씻었다.≪이기영, 봄≫
  • 박 동무는 눈물도 흔하고, 너무 감정에 사로잡혀 탈이란 말이야.≪김원일, 불의 제전≫

4. 감정 (憾情) [감:정]

한자: 憾(섭섭할 감:), 情(뜻 정)

원망하거나 성내는 마음.

용례:

  • 감정이 섞인 말투.
  • 감정을 품다.
  • 그는 그녀에게 감정이 있다.
  • 서로 감정을 풀고 화해해라.

5. 강정 (強情) [강정]

한자: 強(강할 강(:)), 情(뜻 정)

고집이 세고 완고한 성질.

용례:

취후에는 반드시 쓸데없는 고집과 강정을 피우는 나였는지라….≪변영로, 명정 40년≫

6. 개인감정 (個人感情) [개:인감:정]

한자: 個(낱 개(:)), 人(사람 인), 感(느낄 감:), 情(뜻 정)

「1」개인들 서로 간의 감정. 흔히 좋지 못한 감정을 이른다.
「2」집단이나 단체에 대하여 자신을 먼저 생각하는 마음.

용례:

  • 「1」공무를 개인감정을 가지고 처리해서는 안 된다.
  • 「1」왜 이러시오! 개인감정이 있으면 밖에 나가서 조용히 이야기하시고, 여기는 교장실입니다.≪장용학, 위사가 보이는 풍경≫
  • 「2」죽음을 각오하고, 고문을 이겨 낼 힘을 기르고, 개인감정은 일체 죽여 버릴 각오가 있어야 한다.≪이문열, 영웅시대≫

7. 객정 (客情) [객쩡]

한자: 客(손 객), 情(뜻 정)

객지에서 느끼게 되는 울적하고 쓸쓸한 느낌.

8. 격정 (激情) [격쩡]

한자: 激(격할 격), 情(뜻 정)

강렬하고 갑작스러워 누르기 어려운 감정.

용례:

  • 격정을 누르다.
  • 격정에 사로잡히다.
  • 간신히 대꾸한 그녀는 느닷없이 불쑥 치밀어 오르는 어떤 격정 때문에 도무지 다음 말을 이을 수가 없었다.≪이동하, 도시의 늪≫
  • 젊은이들은 의분에 불타오르는 격정을 누를 수가 없어서 주먹으로 흐르는 눈물을 씻으며 애원하는 사람까지 있었다.≪박종화, 임진왜란≫

9. 견정 (遣情) [견:정]

한자: 遣(보낼 견:), 情(뜻 정)

어떤 생각을 나타냄.

10. 경정 (徑情) [경정]

한자: 徑(지름길/길 경), 情(뜻 정)

절제가 없이 마음 내키는 대로 행함.

11. 고정 (故情) [고:정]

한자: 故(연고 고(:)), 情(뜻 정)

오랫동안 사귀어 온 두터운 정분.

12. 고정 (苦情) [고정]

한자: 苦(쓸[味覺] 고), 情(뜻 정)

괴로운 심정이나 사정.

13. 고정 (高情) [고정]

한자: 高(높을 고), 情(뜻 정)

「1」고상한 마음.
「2」남이 자기에게 베푼 정을 높여 이르는 말.

용례:

「2」선생님께서 베풀어 주신 고정, 정말 감사합니다.

14. 교정 (交情) [교정]

한자: 交(사귈 교), 情(뜻 정)

사귀는 정. 또는 사귀어 온 정.

용례:

친구와의 교정을 생각해서 더 이상 추궁을 하지 않았다.

15. 교정 (矯情) [교정]

한자: 矯(바로잡을 교:), 情(뜻 정)

「1」진심을 속이고 거짓으로 꾸밈.
「2」마음속에서 우러나오는 감정을 억눌러 나타내지 않음.

16. 구정 (舊情) [구:정]

한자: 舊(예 구:), 情(뜻 정)

지난날에 사귄 정.

용례:

  • 구정이 돈독한 사이.
  • 신정이 좋기로 구정이야 잊을 리가 있겠나?≪채만식, 탁류≫

17. 국민감정 (國民感情) [궁민감:정]

한자: 國(나라 국), 民(백성 민), 感(느낄 감:), 情(뜻 정)

국민 대부분이 가지는 공통적인 감정.

용례:

미국이란 워낙 큰 나라이고 보니까 소소한 감정에 사로잡혀 있을 수가 없는 데다가 국민감정을 하나의 방향으로 집결하기엔 너무나 점착력이 부족해.≪이병주, 행복어 사전≫

18. 국정 (國情) [국쩡]

한자: 國(나라 국), 情(뜻 정)

나라의 정세나 형편.

용례:

  • 국정 불안.
  • 국정 시찰.
  • 국정을 살피다.
  • 나라가 날로 쇠퇴해 가니 어찌 국정이 어지러워지지 않을 것이며….≪최명희, 혼불≫

19. 국정 (鞠情) [국쩡]

한자: 鞠(성(姓)/국문할 국), 情(뜻 정)

추국(推鞠)을 당할 만한 중죄.

20. 군정 (軍情) [군정]

한자: 軍(군사 군), 情(뜻 정)

군대 내의 정세나 형편.

용례:

군정을 시찰하다.

21. 기정 (欺情) [기정]

한자: 欺(속일 기), 情(뜻 정)

겉으로만 꾸미고 속마음은 드러내지 않음.

용례:

상대방이 진심을 솔직하게 전하는데 내가 굳이 기정을 할 필요는 없었다.

22. 나정 (懶情) [나:정]

한자: 懶(게으를 라:), 情(뜻 정)

게으름을 부리는 마음.

23. 남정 (男情) [남정]

한자: 男(사내 남), 情(뜻 정)

남자의 정(情). 또는 남자의 정욕(情欲).

24. 내정 (內情) [내:정]

한자: 內(안 내:), 情(뜻 정)

내부의 사정.

용례:

  • 적국의 내정을 살피다.
  • 첩자를 보내어 적군의 내정을 염탐했다.
  • 그 부장은 회사의 내정에 밝았다.

25. 내정 (來情) [내정]

한자: 來(올 래(:)), 情(뜻 정)

앞으로의 사정.

용례:

다가올 내정에 짐작이 가는 거라도 있느냐?

26. 냉정 (冷情) [냉:정]

한자: 冷(찰 랭:), 情(뜻 정)

‘냉정하다’
(태도가 정다운 맛이 없고 차갑다.)의 어근.

27. 다정 (多情) [다정]

한자: 多(많을 다), 情(뜻 정)

정이 많음. 또는 정분이 두터움.

용례:

난초꽃 향기를 맡는 듯한 고상하면서도 딱딱하지 않은, 부드럽고도 우아한 다정이 이 침실을 휩싸고 돈다.≪박종화, 금삼의 피≫

28. 단정 (斷情) [단:정]

한자: 斷(끊을 단:), 情(뜻 정)

정이나 사랑을 끊음.

29. 당정 (黨情) [당정]

한자: 黨(무리 당), 情(뜻 정)

정당 안의 돌아가는 사정.

용례:

  • 당정을 파악하다.
  • 당정을 면밀히 살피다.

30. 덧정 (덧情) [덛쩡]

한자: 情(뜻 정)

「1」끌리는 마음.
「2」한곳에 깊은 정을 붙여서 그에 딸린 것까지 사랑스럽게 여기게 된 마음.

용례:

  • 「1」학교가 통 마음에 들지 않아 다닐수록 덧정 없는 일뿐이다.
  • 「1」김산이도 다리가 아파서 밤길 걸을 덧정이 없는 판이라….≪홍명희, 임꺽정≫
  • 「2」덧정이 나다.
  • 「2」덧정이 떨어지다.
  • 「2」선생님을 좋아하다 보면 덧정이 생겨서 그 과목을 잘하게 되기도 한다.

31. 도정 (盜情) [도정]

한자: 盜(도둑 도(:)), 情(뜻 정)

남의 물건을 훔치려는 마음.

32. 동정 (同情) [동정]

한자: 同(한가지 동), 情(뜻 정)

「1」남의 어려운 처지를 자기 일처럼 딱하고 가엾게 여김.
「2」남의 어려운 사정을 이해하고 정신적으로나 물질적으로 도움을 베풂.

용례:

  • 「1」동정이 가다.
  • 「1」동정을 느끼다.
  • 「1」동정을 보이다.
  • 「1」주위 사람의 동정을 끌다.
  • 「1」어쩌다 서로 이야기가 통하게 된 여자들은 “어머, 참 불쌍한 사람이야.” 하며 동정 어린 눈으로 그를 바라보았던 것이다.≪한수산, 부초≫
  • 「2」동정을 구하다.
  • 「2」동정을 베풀다.
  • 「2」따뜻한 동정의 손길이 아쉽다.
  • 「2」그나마 주위의 동정이 끊어지니 살길이 막막하다.

33. 되사정 (되事情) [되사정]

한자: 事(일 사:), 情(뜻 정)

사정을 하는 사람에게 도리어 사정함. 또는 그렇게 하는 사정.

34. 득정 (得情) [득쩡]

한자: 得(얻을 득), 情(뜻 정)

죄를 저지른 실정(實情)을 알아냄.

용례:

모든 사람들을 문초하시어 천천히 득정을 하신 뒤에 다시 김덕령을 국문하시는 것이 가한 줄로 아뢰오.≪박종화, 임진왜란≫

35. 망정 (妄情) [망:정]

한자: 妄(망령될 망:), 情(뜻 정)

미망(迷妄)의 감정이나 의식.

36. 면정 (面情) [면:정]

한자: 面(낯 면:), 情(뜻 정)

면분(面分)과 정의(情誼)를 아울러 이르는 말.

37. 모정 (母情) [모:정]

한자: 母(어미 모:), 情(뜻 정)

자식에 대한 어머니의 정.

용례:

아무리 집안 망신을 시킨 딸이라 하지만 모정은 어쩔 수 없는지 어머니는 딸을 용서했다.

38. 모정 (慕情) [모:정]

한자: 慕(그릴 모:), 情(뜻 정)

그리워하는 심정.

39. 몰인정 (沒人情) [모린정]

한자: 沒(빠질 몰), 人(사람 인), 情(뜻 정)

인정이 전혀 없음.

40. 몰정 (沒情) [몰쩡]

한자: 沒(빠질 몰), 情(뜻 정)

‘몰정하다’
(전혀 정이 없다.)의 어근.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5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