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격경쟁 (價格競爭) [가격꼉:쟁]
한자: 價(값 가), 格(격식 격), 競(다툴 경:), 爭(다툴 쟁)
기업들끼리 서로 가격을 낮추는 경쟁. 같은 종류의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들 사이에서 일어난다.
2. 간쟁 (諫爭) [간:쟁]
한자: 諫(간할 간:), 爭(다툴 쟁)
어른이나 임금에게 옳지 못하거나 잘못된 일을 고치도록 간절히 말함.
용례:
내왕의 과오가 있으면 죽음으로 간쟁도 해야 하고 그릇된 분부가 있으면 거역도 해야 할 겁니다.≪김동인, 대수양≫
3. 경쟁 (競爭) [경:쟁]
한자: 競(다툴 경:), 爭(다툴 쟁)
「1」같은 목적에 대하여 이기거나 앞서려고 서로 겨룸.
「2」생물이 환경을 이용하기 위하여 다른 개체나 종과 벌이는 상호 작용. 생물의 개체 수가 공간이나 먹이의 양에 비하여 많아지면 생긴다.
용례:
- 「1」완전 경쟁 시장.
- 「1」과열 경쟁.
- 「1」경쟁을 벌이다.
- 「1」경쟁이 붙다.
- 「1」경쟁이 치열하다.
- 「1」기술 개발 경쟁이 뜨겁다.
- 「1」세계 시장을 석권하려는 업체들 간의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4. 경제투쟁 (經濟鬪爭) [경제투쟁]
한자: 經(지날/글 경), 濟(건널 제:), 鬪(싸움 투), 爭(다툴 쟁)
노동자가 임금 인상이나 노동 조건 개선 따위의 경제적 이익을 얻기 위하여 자본가와 벌이는 투쟁.
용례:
남로당은 민중들의 경제 투쟁을 조직화하여 정치 투쟁으로 확산시키려고 했다.≪조정래, 태백산맥≫
5. 계쟁 (係爭) [계:쟁]
한자: 係(맬 계:), 爭(다툴 쟁)
문제를 해결하거나 목적물에 대한 권리를 얻기 위하여 당사자끼리 법적인 방법으로 다툼. 또는 그런 다툼.
용례:
태조 건국한 때부터 벌써 움이 트기 시작한 왕위 계쟁 문제가 지금 구르고 또 굴러서 자기의 아들의 앞에까지 이르렀지만….≪김동인, 운현궁의 봄≫
6. 골육상쟁 (骨肉相爭) [고륙쌍쟁]
한자: 骨(뼈 골), 肉(고기 육), 相(서로 상), 爭(다툴 쟁)
가까운 혈족끼리 서로 싸움.
용례:
- 골육상쟁의 참극.
- 그의 아들들은 재산 분배 문제를 놓고 고소니 맞고소니 하면서 골육상쟁을 벌였다.
7. 공개경쟁 (公開競爭) [공개경:쟁]
한자: 公(공평할 공), 開(열 개), 競(다툴 경:), 爭(다툴 쟁)
여러 사람이 공개된 자리에서 같은 조건으로 서로 겨루는 일.
용례:
- 공개경쟁을 붙이다.
- 체육 특기생을 공개경쟁을 통해 선발했다.
- 어차피 미군들이 버리고 갈 그러한 물품들을 공개경쟁에 의해 비싼 달러를 낭비해 가며 사들인다는 것은 억울한 노릇이었다.≪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8. 과당경쟁 (過當競爭) [과:당경:쟁]
한자: 過(지날 과:), 當(마땅 당), 競(다툴 경:), 爭(다툴 쟁)
같은 업종의 기업 사이에서 일반적인 자유 경쟁의 범위를 넘어 손해를 보면서까지 지나치게 하는 경쟁.
용례:
- 과당 경쟁을 벌이다.
- 과당 경쟁에 휘말리다.
9. 구라파전쟁 (歐羅巴戰爭) [구라파전:쟁]
한자: 歐(구라파/칠 구), 羅(벌릴 라), 巴(꼬리 파), 戰(싸움 전:), 爭(다툴 쟁)
「1」유럽에서 일어난 전쟁이라는 뜻으로, ‘제일 차 세계 대전’을 달리 이르는 말.
「2」소란스러운 싸움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배 속이 거북하여 소리가 심하게 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3」먹은 것이 안 좋은지 배 속에서 구라파전쟁이 일어났다.
10. 국경분쟁 (國境紛爭) [국꼉분쟁]
한자: 國(나라 국), 境(지경 경), 紛(어지러울 분), 爭(다툴 쟁)
서로 이웃한 두 나라 사이에 국경선이 잘못되었거나 명백하지 않은 데서 생기는 충돌.
용례:
- 국경 분쟁이 끊이지 않다.
- 국경 분쟁을 일으키다.
11. 국제분쟁 (國際紛爭) [국쩨분쟁]
한자: 國(나라 국), 際(즈음/가[邊] 제:), 紛(어지러울 분), 爭(다툴 쟁)
나라와 나라 사이의 분쟁. 법률적 분쟁과 정치적 분쟁이 있다.
용례:
- 국제 분쟁에 개입하다.
- 국제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다.
12. 국지전쟁 (局地戰爭) [국찌전:쟁]
한자: 局(판[形局] 국), 地(따 지), 戰(싸움 전:), 爭(다툴 쟁)
한정된 지역에서 일어나는 전쟁.
용례:
청일 전쟁, 노일 전쟁 그리고 만주 사변하고는 다르거든. 그건 국지 전쟁의 성격으로 틀 안에서 싸운 거고….≪박경리, 토지≫
13. 군비경쟁 (軍備競爭) [군비경:쟁]
한자: 軍(군사 군), 備(갖출 비:), 競(다툴 경:), 爭(다툴 쟁)
군사 시설이나 장비를 늘리거나 새로운 무기를 만들어 앞서고자 하는 나라들 간의 경쟁.
용례:
강대국 간의 군비 경쟁으로 세계는 전쟁의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
14. 권력투쟁 (權力鬪爭) [궐력투쟁]
한자: 權(권세 권), 力(힘 력), 鬪(싸움 투), 爭(다툴 쟁)
정치권력을 차지하기 위한 투쟁.
15. 극쟁 (劇爭) [극쨍]
한자: 劇(심할 극), 爭(다툴 쟁)
매우 격렬하게 다툼.
16. 극한투쟁 (極限鬪爭) [그칸투쟁]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限(한할 한:), 鬪(싸움 투), 爭(다툴 쟁)
어떤 목적을 이루고자 싸울 수 있는 데까지 있는 힘을 다하여 싸우는 일.
용례:
극한투쟁을 벌이다.
17. 남북전쟁 (南北戰爭) [남북쩐:쟁]
한자: 南(남녘 남), 北(북녘 북), 戰(싸움 전:), 爭(다툴 쟁)
미국에서, 노예 제도의 폐지를 주장하는 북부와 존속을 주장하는 남부 사이에 일어난 내전. 1860년에 링컨이 대통령에 당선되자 남부의 여러 주가 연방을 탈퇴하고 이것을 계기로 전쟁이 벌어졌는데 남부가 1865년에 항복함으로써 합중국의 통일이 유지되고 노예 제도는 폐지되었다.
18. 내부투쟁 (內部鬪爭) [내:부투쟁]
한자: 內(안 내:), 部(떼 부), 鬪(싸움 투), 爭(다툴 쟁)
일정한 집단 안에서의 투쟁.
19. 내쟁 (內爭) [내:쟁]
한자: 內(안 내:), 爭(다툴 쟁)
한 나라나 같은 집단 안에서 서로 싸움. 또는 그렇게 하는 싸움.
용례:
계속되는 내쟁으로 나라의 재정과 치안은 무너졌다.
20. 노쟁 (勞爭) [노쟁]
한자: 勞(일할 로), 爭(다툴 쟁)
‘노동 쟁의’(노동자와 자본가 사이에 임금, 노동 시간, 노동 조건 따위에 관한 이해의 대립으로 일어나는 분쟁.)를 줄여 이르는 말.
21. 논쟁 (論爭) [논쟁]
한자: 論(논할 론), 爭(다툴 쟁)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이 각각 자기의 주장을 말이나 글로 논하여 다툼.
용례:
- 열띤 논쟁.
- 격렬한 논쟁.
- 논쟁을 벌이다.
- 아버지와 형의 논쟁은 그칠 줄을 몰랐다.
22. 단식투쟁 (斷食鬪爭) [단:식투쟁]
한자: 斷(끊을 단:), 食(밥/먹을 식), 鬪(싸움 투), 爭(다툴 쟁)
어떤 요구를 관철하기 위하여 음식을 먹지 아니하면서 시위하는 일.
23. 당쟁 (黨爭) [당쟁]
한자: 黨(무리 당), 爭(다툴 쟁)
당파를 이루어 서로 싸우던 일.
24. 대리전쟁 (代理戰爭) [대:리전:쟁]
한자: 代(대신할 대:), 理(다스릴 리:), 戰(싸움 전:), 爭(다툴 쟁)
강대국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하여 다른 두 나라 사이의 싸움에 개입하여, 전쟁을 하는 나라들이 마치 강대국을 대신하여 전쟁하는 것처럼 보이는 상황을 이르는 말.
25. 대쟁 (大爭) [대:쟁]
한자: 大(큰 대(:)), 爭(다툴 쟁)
학질 때 오한과 열이 몹시 심한 증상.
26. 대항쟁 (大抗爭) [대:항쟁]
한자: 大(큰 대(:)), 抗(겨룰 항:), 爭(다툴 쟁)
큰 항쟁.
용례:
민주주의 쟁취를 위한 대항쟁.
27. 동족상쟁 (同族相爭) [동족쌍쟁]
한자: 同(한가지 동), 族(겨레 족), 相(서로 상), 爭(다툴 쟁)
같은 겨레끼리 서로 다툼.
28. 면쟁 (面爭) [면:쟁]
한자: 面(낯 면:), 爭(다툴 쟁)
면전에서 결점을 간(諫)함.
29. 무경쟁 (無競爭) [무경쟁]
한자: 無(없을 무), 競(다툴 경:), 爭(다툴 쟁)
「1」어떤 자격을 얻는 데 시험이나 선발 따위의 관문을 거칠 필요가 없음.
「2」경쟁할 대상이 없음.
용례:
- 「1」무경쟁으로 회원을 선발하다.
- 「2」무경쟁 상태에서 그 기업은 시장을 점령할 수 있었다.
30. 미일전쟁 (美日戰爭) [미일전:쟁]
한자: 美(아름다울 미(:)), 日(날 일), 戰(싸움 전:), 爭(다툴 쟁)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과 연합국 사이에 벌어진 전쟁. 제이 차 세계 대전의 일부로서, 일본의 진주만 기습으로 시작되어 일본의 무조건 항복으로 끝났다.
31. 백년전쟁 (百年戰爭) [뱅년전:쟁]
한자: 百(일백 백), 年(해 년), 戰(싸움 전:), 爭(다툴 쟁)
1337년부터 1453년까지 백여 년 동안 영국과 프랑스가 여러 차례 일으킨 전쟁. 프랑스의 왕위 계승 문제와 양모(羊毛) 공업 지대인 플랑드르에서의 주도권 싸움이 원인이 되어 영국군이 프랑스에 침입함으로써 일어났는데, 잔 다르크 등의 활약으로 프랑스의 승리로 끝났다.
32. 법정투쟁 (法廷鬪爭) [법쩡투쟁]
한자: 法(법 법), 廷(조정 정), 鬪(싸움 투), 爭(다툴 쟁)
재판을 통하여 자기주장이나 행위의 정당성을 대중에게 호소하는 투쟁.
용례:
변호사가 되어 부당히 투옥되고 학살당하는 애국지사들을 위해 법정 투쟁을 하는 일이….≪손창섭, 낙서족≫
33. 부정경쟁 (不正競爭) [부정경:쟁]
한자: 不(아닐 부), 正(바를 정(:)), 競(다툴 경:), 爭(다툴 쟁)
옳지 못한 방법으로 동업자의 이익을 해치는 영업상의 경쟁.
34. 분쟁 (分爭) [분쟁]
한자: 分(나눌 분(:)), 爭(다툴 쟁)
갈라져 다툼.
35. 분쟁 (忿爭) [분:쟁]
한자: 忿(성낼 분:), 爭(다툴 쟁)
성이 나서 다툼.
36. 분쟁 (紛爭) [분쟁]
한자: 紛(어지러울 분), 爭(다툴 쟁)
말썽을 일으키어 시끄럽고 복잡하게 다툼.
용례:
- 어업 분쟁.
- 영토 분쟁.
- 영유권 분쟁.
- 분쟁을 해결하다.
- 분쟁에 휘말리다.
- 적대 세력과의 분쟁을 야기하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爭 다툴 쟁 - 2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