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저 (高低) [고저]
한자: 高(높을 고), 低(낮을 저:)
높음과 낮음. 또는 높고 낮은 정도.
용례:
- 음의 고저.
- 고저가 심한 지형.
- 두꺼운 시멘트 벽이 이야기의 내용은 중간에서 횡령해 버리고 음성의 고저와 강약만 감질나게 제공해 주었다.≪윤흥길, 묵시의 바다≫
2. 극저 (極低) [극쩌]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低(낮을 저:)
더할 수 없이 낮음.
용례:
- 극저 결함.
- 극저 기온.
- 극저 배당.
- 영하 2도 이하의 극저 온도에서는 초전도 현상 같은 상온에서 볼 수 없는 현상이 일어난다.
3. 동고서저 (東高西低) [동고서저]
한자: 東(동녘 동), 高(높을 고), 西(서녘 서), 低(낮을 저:)
지형이나 기압 따위가 동쪽 지역은 높고 서쪽 지역은 낮은 상태. 기상학에서는 여름과 가을에 형성되는 기압 배치를 이른다.
용례:
- 동고서저의 기압 배치.
- 한반도의 지형은 전형적인 동고서저의 배치를 보이고 있다.
4. 서고동저 (西高東低) [서고동저]
한자: 西(서녘 서), 高(높을 고), 東(동녘 동), 低(낮을 저:)
지형이나 기압 따위가 서쪽 지역은 높고 동쪽 지역은 낮은 상태. 기상학에서는 겨울에 우리나라에 형성되는 기압 배치를 이른다.
5. 소리고저 (소리高低) [소리고저]
한자: 高(높을 고), 低(낮을 저:)
발음체의 진동수가 크고 작음에 따라 생기는 소리의 성질 차이. 높은 소리는 진동수가 크고 낮은 소리는 진동수가 작다.
6. 이수고저 (以袖高低) [이:수고저]
한자: 以(써 이:), 袖(소매 수), 高(높을 고), 低(낮을 저:)
춘앵전·가인전목단 따위의 궁중무에서, 나갔다 물러섰다 하면서 한 팔씩 올렸다 내리는 춤사위.
7. 자고저 (字高低) [자고저]
한자: 字(글자 자), 高(높을 고), 低(낮을 저:)
한자음의 높낮이.
8. 저저 (低低) [저:저]
한자: 低(낮을 저:), 低(낮을 저:)
목소리 따위가 매우 낮은 모양.
9. 최저 (最低) [최:저]
한자: 最(가장 최:), 低(낮을 저:)
가장 낮음.
용례:
- 최저 낙찰가.
- 최저 수준.
- 낙제를 면하려면 최저 60점 이상은 맞아야 한다.
- 주식 시세가 연중 최저로 떨어졌다.
- 일본 엔화에 대한 미 달러 시세가 전후 최저를 기록하였다.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