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사쟁 (私爭) [사쟁]
한자: 私(사사(私事) 사), 爭(다툴 쟁)
사사로이 하는 다툼.
용례:
그들은 결실 없는 사쟁만을 되풀이하였다.
38. 상쟁 (相爭) [상쟁]
한자: 相(서로 상), 爭(다툴 쟁)
서로 다툼.
용례:
- 상쟁을 벌이다.
- 동족끼리 벌인 상쟁으로 수많은 재산과 인명 피해를 냈다.
39. 생존경쟁 (生存競爭) [생존경:쟁]
한자: 生(날 생), 存(있을 존), 競(다툴 경:), 爭(다툴 쟁)
생물이 생장과 생식 등에서 보다 좋은 조건을 얻기 위해서 하는 다툼. 다윈의 진화론의 중심 개념으로, 생물의 증식 능력이 높아지는 반면, 필요한 먹이나 생활 공간 따위가 부족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다.
용례:
-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다.
- 생존 경쟁에서 밀려나다.
- 토착종이 외래종과의 생존 경쟁에서 밀려 도태되는 경우가 많다.
- 그야말로 생존 경쟁이 치열한 짐승의 우리가 거기에 있었다.≪김원우, 짐승의 시간≫
40. 아편전쟁 (阿片戰爭) [아편전:쟁]
한자: 阿(언덕 아), 片(조각 편(:)), 戰(싸움 전:), 爭(다툴 쟁)
1840년 아편 문제를 둘러싸고 청나라와 영국 사이에 일어난 전쟁. 1842년에 청나라가 패하여 난징 조약을 맺음으로써 끝이 났다.
41. 언쟁 (言爭) [언쟁]
한자: 言(말씀 언), 爭(다툴 쟁)
말로 옳고 그름을 가리는 다툼.
용례:
- 언쟁이 벌어지다.
- 언쟁을 벌이다.
- 방금 은 씨하고 옥신각신 언쟁으로까지 발전해 간 일이 꿈속의 일이었던 양 아리송하다.≪박경리, 토지≫
42. 역쟁 (力爭) [역쨍]
한자: 力(힘 력), 爭(다툴 쟁)
「1」온 힘을 다하여 싸움.
「2」힘써 직언하고 충고함.
43. 영미전쟁 (英美戰爭) [영미전:쟁]
한자: 英(꽃부리 영), 美(아름다울 미(:)), 戰(싸움 전:), 爭(다툴 쟁)
1812년 6월에 영국과 미국 사이에서 일어난 전쟁. 나폴레옹 전쟁 때에 중립을 선언한 미국이 영국의 프랑스에 대한 봉쇄로 미국의 해운이 위협을 받자 영국에 선전 포고를 하였는데, 1814년 12월에 강화가 이루어져 종결되었다.
44. 원외투쟁 (院外鬪爭) [원외투쟁]
한자: 院(집 원), 外(바깥 외:), 鬪(싸움 투), 爭(다툴 쟁)
국회 밖에서 하는 정치 투쟁. 시위나 청원 따위가 있다.
45. 월남전쟁 (越南戰爭) [월남전:쟁]
한자: 越(넘을 월), 南(남녘 남), 戰(싸움 전:), 爭(다툴 쟁)
베트남의 독립과 통일을 위하여 벌인 전쟁. 1960년에 결성된 남베트남 민족 해방 전선이 북베트남의 지원 아래 남베트남군 및 이들을 지원하는 미국군과 싸워 이겨 1969년에 임시 정부를 수립하였으며 미군 철수 후 1975년에 남베트남 정부가 무너짐으로써 남북이 통일되었다.
46. 육쟁 (肉爭) [육쨍]
한자: 肉(고기 육), 爭(다툴 쟁)
집안 싸움.
47. 자유경쟁 (自由競爭) [자유경:쟁]
한자: 自(스스로 자), 由(말미암을 유), 競(다툴 경:), 爭(다툴 쟁)
국가의 간섭이나 사적인 제약이 없고, 수요와 공급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시장 경쟁.
용례:
역설적이게도 그들의 진보는 자유 경쟁과 시장 경제의 원리를 앞당기자는 것이 주된 내용이었는데….≪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48. 장미전쟁 (薔薇戰爭) [장미전:쟁]
한자: 薔(장미 장), 薇(장미 미), 戰(싸움 전:), 爭(다툴 쟁)
1455년부터 1485년까지 영국의 랭커스터가와 요크가 사이에서 벌어졌던 왕위 쟁탈전. 전자는 붉은 장미, 후자는 흰 장미를 문장으로 한 데에서 이 이름이 생겼다. 이 전쟁으로 많은 귀족과 기사의 세력이 꺾이고 왕권이 강화되어 영국은 절대주의 시대로 접어들게 되었다.
49. 장외투쟁 (場外鬪爭) [장외투쟁]
한자: 場(마당 장), 外(바깥 외:), 鬪(싸움 투), 爭(다툴 쟁)
국회 밖에서 하는 정치 투쟁. 시위나 청원 따위가 있다.
용례:
야당은 국회 등원을 거부한 채 장외 투쟁을 계속 벌여 나가기로 했다.
50. 전면전쟁 (全面戰爭) [전면전:쟁]
한자: 全(온전 전), 面(낯 면:), 戰(싸움 전:), 爭(다툴 쟁)
일정한 범위 전체에 걸쳐 광범위하게 벌어지는 전쟁.
용례:
이렇게 큰 희생을 우리가 치러 본 적은 없었어. 나라와 나라 사이의 일이라면 전면 전쟁이 일어났을 거다.≪조세희, 내 그물로 오는 가시고기≫
51. 전쟁 (戰爭) [전:쟁]
한자: 戰(싸움 전:), 爭(다툴 쟁)
「1」국가와 국가, 또는 교전(交戰) 단체 사이에 무력을 사용하여 싸움.
「2」극심한 경쟁이나 혼란 또는 어떤 문제에 대한 아주 적극적인 대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전쟁 도발.
- 「1」전쟁 영화.
- 「1」전쟁 포로.
- 「1」전쟁이 발발하다.
- 「1」전쟁을 일으키다.
- 「2」교통 전쟁.
- 「2」입시 전쟁.
- 「2」정부는 범죄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52. 정쟁 (廷爭) [정쟁]
한자: 廷(조정 정), 爭(다툴 쟁)
조정에서, 임금의 앞에서 간(諫)하여 다툼.
53. 정쟁 (政爭) [정쟁]
한자: 政(정사(政事) 정), 爭(다툴 쟁)
정치에서의 싸움. 또는 정계의 투쟁.
용례:
- 정쟁에 휘말리다.
- 정쟁에 밀리고 혁명에 실패한 정치인들이 관헌에 쫓겨 지향 없는 망명길을 떠나는….≪유주현, 대한 제국≫
54. 정쟁 (挺爭) [정쟁]
한자: 挺(빼어날 정), 爭(다툴 쟁)
남보다 앞장서서 다툼.
55. 정치투쟁 (政治鬪爭) [정치투쟁]
한자: 政(정사(政事) 정), 治(다스릴 치), 鬪(싸움 투), 爭(다툴 쟁)
「1」정치적 요구나 주장을 관철하기 위한 투쟁.
「2」지배 계급의 정치권력을 대상으로 한 무산 계급의 투쟁.
56. 종교전쟁 (宗敎戰爭) [종교전:쟁]
한자: 宗(마루 종), 敎(가르칠 교:), 戰(싸움 전:), 爭(다툴 쟁)
서로 다른 종교나 종파 간의 대립과 충돌로 일어난 전쟁. 특히 종교 개혁 후 유럽에서는 구교도와 신교도 사이에 학살, 암살 따위의 격렬한 전쟁이 있었는데 대표적으로는 십자군 전쟁이나 삼십 년 전쟁 따위가 있다.
57. 준법투쟁 (遵法鬪爭) [준:뻡투쟁]
한자: 遵(좇을 준:), 法(법 법), 鬪(싸움 투), 爭(다툴 쟁)
법규를 규정대로 지키면서 사용자에게 손해를 주는 노동 쟁의 방법. 단체 휴가, 정시 퇴근, 안전 운전을 핑계로 한 지나친 서행 운전 따위가 있으며, 쟁의권을 가지지 못한 공무원이나 공공 기업의 직원들이 흔히 사용한다.
58. 중동전쟁 (中東戰爭) [중동전:쟁]
한자: 中(가운데 중), 東(동녘 동), 戰(싸움 전:), 爭(다툴 쟁)
1948년의 이스라엘 독립 이후, 이스라엘과 아랍의 여러 나라 사이에 벌어진 네 차례의 전쟁. 1979년에 미국의 중재로 이집트와 이스라엘이 평화 조약에 서명함으로써 30년간의 전쟁 상태가 끝났다.
59. 출혈경쟁 (出血競爭) [출혈경:쟁]
한자: 出(날[生] 출), 血(피 혈), 競(다툴 경:), 爭(다툴 쟁)
손해를 무릅쓰고 하는 경쟁.
용례:
업체 간의 출혈 경쟁으로 가격이 원가 이하로 떨어졌다.
60. 칠년전쟁 (七年戰爭) [칠년전:쟁]
한자: 七(일곱 칠), 年(해 년), 戰(싸움 전:), 爭(다툴 쟁)
1756~1763년에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이 슐레지엔 영유권을 놓고 벌인 전쟁. 프로이센은 슐레지엔을 차지하였으며, 프로이센을 지원한 영국은 오스트리아를 지원한 프랑스와의 식민지 전쟁에서 이겨 캐나다와 인도를 얻었다.
61. 토지분쟁 (土地紛爭) [토지분쟁]
한자: 土(흙 토), 地(따 지), 紛(어지러울 분), 爭(다툴 쟁)
소작권과 소작료 따위의 이해관계를 둘러싸고 지주와 소작인 사이에 벌어지는 투쟁.
62. 투쟁 (鬪爭) [투쟁]
한자: 鬪(싸움 투), 爭(다툴 쟁)
「1」어떤 대상을 이기거나 극복하기 위한 싸움.
「2」사회 운동, 노동 운동 따위에서 무엇인가를 쟁취하고자 견해가 다른 사람이나 집단 간에 싸우는 일.
용례:
- 「1」선과 악의 투쟁.
- 「1」그는 맹수와 투쟁을 벌였다.
- 「2」독립 투쟁.
- 「2」정치적 투쟁.
- 「2」반정부 투쟁.
- 「2」그들이 판을 친 이후로 하역 인부들의 임금 인상 투쟁도 여러 차례 무산되고 말았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63. 파쟁 (派爭) [파쟁]
한자: 派(갈래 파), 爭(다툴 쟁)
파벌끼리의 다툼.
용례:
- 그는 대원군 일파와 소장 개화파와의 끈덕진 모함과 파쟁 속에 끼어 옆도 보고 뒤도 보고 해야 했다.≪유주현, 대한 제국≫
- 자신의 출세와 문중의 영달을 위해 나쁜 의미의 파쟁만을 일삼아 오늘날 이렇게 부패·타락한 세상이 되었습니다.≪유현종, 들불≫
64. 한국전쟁 (韓國戰爭) [한:국쩐:쟁]
한자: 韓(한국/나라 한(:)), 國(나라 국), 戰(싸움 전:), 爭(다툴 쟁)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북한군이 북위 38도선 이남으로 기습적으로 침공함으로써 일어난 전쟁. 1953년 7월 27일에 휴전이 이루어져 휴전선을 확정하였으며, 휴전 상태가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65. 항쟁 (抗爭) [항:쟁]
한자: 抗(겨룰 항:), 爭(다툴 쟁)
맞서 싸움.
용례:
- 시민의 항쟁.
- 항쟁을 진압하다.
- 항쟁을 벌이다.
- 백제도 고구려도 발해도 모두 나라가 망한 다음 치열하고 처절한 항쟁을 했으며….≪최명희, 혼불≫
66. 해방전쟁 (解放戰爭) [해:방전:쟁]
한자: 解(풀 해:), 放(놓을 방(:)), 戰(싸움 전:), 爭(다툴 쟁)
다른 나라나 민족의 지배로부터 민족의 주권과 자유를 회복하기 위하여 하는 전쟁.
67. 핵전쟁 (核戰爭) [핵쩐쟁]
한자: 核(씨 핵), 戰(싸움 전:), 爭(다툴 쟁)
핵무기를 사용하는 전쟁.
68. 혁쟁 (鬩爭) [혁쨍]
한자: 鬩(다툴 혁), 爭(다툴 쟁)
원망하여 다툼.
69. 혈쟁 (血爭) [혈쨍]
한자: 血(피 혈), 爭(다툴 쟁)
죽음을 무릅쓰고 맹렬히 싸움. 또는 그런 다툼.
70. 홍쟁 (訌爭) [홍쟁]
한자: 訌(어지러울 홍), 爭(다툴 쟁)
한 집단 안에서 일어나는 싸움.
71. 화학전쟁 (化學戰爭) [화:학쩐:쟁]
한자: 化(될 화(:)), 學(배울 학), 戰(싸움 전:), 爭(다툴 쟁)
화학 무기를 써서 적을 공격하거나, 적의 화학 무기를 무력하게 만드는 장비를 써서 방어하는 전쟁.
72. 훤쟁 (喧爭) [훤쟁]
한자: 喧(지껄일 훤), 爭(다툴 쟁)
왁자하게 떠들면서 다툼.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爭 다툴 쟁 - 1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