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극극장 (歌劇劇場) [가극극짱]
한자: 歌(노래 가), 劇(심할 극), 劇(심할 극), 場(마당 장)
오페라를 상연하기 위하여 지은 극장.
용례:
그의 곡은 가극 극장의 무대에 올려져 아주 좋은 평가를 받았다.
2. 가극장 (歌劇場) [가극짱]
한자: 歌(노래 가), 劇(심할 극), 場(마당 장)
오페라를 상연하기 위하여 지은 극장.
용례:
그는 베를린 국립 가극장에서 음악 총감독을 맡고 있다.
3. 가내공장 (家內工場) [가내공장]
한자: 家(집 가), 內(안 내:), 工(장인 공), 場(마당 장)
집 안에 조그맣게 차린 공장.
용례:
- 가내 공장에 가면 실밥 뽑기나 구슬 꿰기 등의 부업거리를 얻을 수 있다.
- 무악재 밑에서 엿이며 꽈배기며 박하사탕 따위를 만들어 내던 가내 공장들이 문을 닫은 뒤로 형과 나도 할 일을 잃었다.≪김용성, 도둑 일기≫
4. 가설극장 (假設劇場) [가:설극짱]
한자: 假(거짓 가:), 設(베풀 설), 劇(심할 극), 場(마당 장)
임시로 만든 극장.
용례:
학교 운동장에 포장을 둘러치고 만든 가설극장 앞에 높이 켜 단 전깃불이 꺼지고, 드디어 묵은 뉴스가 거의 끝날 무렵이 되면….≪김춘복, 쌈짓골≫
5. 각축장 (角逐場) [각축짱]
한자: 角(뿔 각), 逐(쫓을 축), 場(마당 장)
서로 이기려고 다투고 있는 곳.
용례:
우리의 뜻과는 달리 강대국의 각축장이 되어 삼팔선으로 갈라진 이 땅이….≪김원일, 불의 제전≫
6. 강연장 (講演場) [강:연장]
한자: 講(욀 강:), 演(펼 연:), 場(마당 장)
강연을 하는 곳.
용례:
강연장이 사람들로 붐볐다.
7. 개미장 (개미場) [개:미장]
한자: 場(마당 장)
장마가 오기 전에 개미들이 줄지어 먹이를 나르거나 집을 옮기는 일.
용례:
개미장이 선 다음에는 반드시 날이 궂곤 했다.≪한승원, 해일≫
8. 개장 (開場) [개장]
한자: 開(열 개), 場(마당 장)
「1」극장이나 시장, 해수욕장 따위의 영업을 시작함.
「2」1년 중 처음으로 증권 시장을 열어 업무를 시작함.
「3」과장(科場)에서 과거를 보기 시작함.
용례:
- 「1」해수욕장 개장.
- 「1」직판장 개장.
9. 개표장 (開票場) [개표장]
한자: 開(열 개), 票(표 표), 場(마당 장)
투표함을 열고 투표의 결과를 검사하는 장소.
용례:
이장수 씨의 선거 사무소와 그 주변, 그리고 개표장에 나가 있는 그의 막료들은 한껏 들떠 있었다.≪최일남, 거룩한 응달≫
10. 개항장 (開港場) [개항장]
한자: 開(열 개), 港(항구 항:), 場(마당 장)
외국과 무역을 하도록 개방한 항구 또는 공항.
용례:
- 이곳은 일본이 개항장으로 삼아 보려고 눈독 들인 곳이다.
- 문호 개방 초기에는 외국 상인의 활동 범위가 개항장에 한정되었다.
11. 객장 (客場) [객짱]
한자: 客(손 객), 場(마당 장)
은행이나 증권사 따위의 점포에서 고객이 업무를 볼 수 있도록 마련한 공간.
용례:
주가 폭락으로 객장 분위기는 그리 밝지 않은 편이다.
12. 갯벌장 (갯벌場) [개뻘짱]
한자: 場(마당 장)
강이나 바닷가에 배가 들어올 때마다 서는 장.
용례:
그는 소금 배나 짐배가 닿으면 열흘이고 보름이고 줄 이어 서는 갯벌장을 가장 즐거운 추억으로 기억했다.
13. 건설장 (建設場) [건:설짱]
한자: 建(세울 건:), 設(베풀 설), 場(마당 장)
건설하는 작업 현장.
용례:
인부들이 건설장으로 하나둘 모여들었다.
14. 건조장 (乾燥場) [건조장]
한자: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場(마당 장)
물건을 건조하기 위하여 특별한 장치를 한 곳.
용례:
- 김 건조장.
- 오징어 건조장.
15. 검도장 (劍道場) [검:도장]
한자: 劍(칼 검:), 道(길 도:), 場(마당 장)
검도를 배우고 익히는 곳.
16. 검사장 (檢査場) [검:사장]
한자: 檢(검사할 검:), 査(조사할 사), 場(마당 장)
검사를 실제로 시행하는 곳.
용례:
- 자동차 검사장.
- 직물 검사장.
17. 검시장 (檢屍場) [검:시장]
한자: 檢(검사할 검:), 屍(주검 시:), 場(마당 장)
검시관이 변사체를 조사하는 곳.
18. 결장 (缺場) [결짱]
한자: 缺(이지러질 결), 場(마당 장)
나와야 할 자리에 나오지 않음.
용례:
- 중요한 증인의 예고 없는 결장으로 재판이 연기되었다.
- 주전 선수의 결장으로 4강 진입에 실패했다.
19. 결전장 (決戰場) [결쩐장]
한자: 決(결단할 결), 戰(싸움 전:), 場(마당 장)
승부를 결정짓는 싸움터.
용례:
- 결전장에 나서는 용사들의 비장한 각오.
- 우리는 용감하게 각박한 생존 경쟁의 결전장에 뛰어들었다.≪김용성, 도둑 일기≫
- 여기서 뒷목재를 다시 넘으면 계백 장군 최후의 결전장이던 황산벌이 나온다.≪송기숙, 녹두 장군≫
20. 결혼식장 (結婚式場) [결혼식짱]
한자: 結(맺을 결), 婚(혼인할 혼), 式(법 식), 場(마당 장)
결혼 예식을 치르는 장소.
용례:
- 일요일이라서 결혼식장이 붐빈다.
- 결혼식 시작 시간이 가까워 오면서 결혼식장에 하객들이 모여들었다.
21. 경기장 (競技場) [경:기장]
한자: 競(다툴 경:), 技(재주 기), 場(마당 장)
경기를 할 수 있는 설비와 관람석 따위를 갖춘 곳.
용례:
- 육상 경기장.
- 실내 경기장.
- 노천 경기장.
- 경기장에 응원하러 간다.
22. 경마장 (競馬場) [경:마장]
한자: 競(다툴 경:), 馬(말 마:), 場(마당 장)
경마를 할 수 있는 시설을 해 놓은 경기장. 말이 달리는 길과 관람석 따위가 있다.
용례:
- 경마장 근처에 이르자 경주마들의 힘찬 말발굽 소리가 들려왔다.
- 경마장은 휴일을 맞아 경마를 구경하려는 사람들로 몹시 붐볐다.
23. 경매시장 (競賣市場) [경:매시:장]
한자: 競(다툴 경:), 賣(팔 매(:)), 市(저자 시:), 場(마당 장)
경매하는 방법으로 물건을 사고파는 시장.
24. 경매장 (競賣場) [경:매장]
한자: 競(다툴 경:), 賣(팔 매(:)), 場(마당 장)
경매를 하는 곳. 경매를 청구한 권리자의 신청으로 법원 또는 집행관이 동산이나 부동산을 파는 장소이다.
25. 경연장 (競演場) [경:연장]
한자: 競(다툴 경:), 演(펼 연:), 場(마당 장)
개인이나 단체가 모여 예술, 기능 따위의 실력을 겨루는 곳.
용례:
- 이 전시회는 모험적이고 실험적인 성향이 강한 젊은 작가들의 경연장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받고 있다.
- 이야기 뒤에서 간헐적으로 쏟아져 나오는 경연장의 함성 소리마저 공연히 기분에 역겨워졌다.≪이청준, 춤추는 사제≫
26. 계류장 (繫留場) [계:류장]
한자: 繫(맬 계:), 留(머무를 류), 場(마당 장)
배를 대고 매어 놓는 장소.
27. 고문장 (拷問場) [고문장]
한자: 拷(칠 고), 問(물을 문:), 場(마당 장)
취조할 사람을 고문할 목적으로 따로 마련한 방.
용례:
악질 형사에게 고문과 치욕을 당한 그녀는 그 고문장에서 자결했다.
28. 고사장 (考査場) [고:사장]
한자: 考(생각할 고(:)), 査(조사할 사), 場(마당 장)
재능이나 실력 따위를 일정한 절차에 따라 검사하고 평가하기 위한 시설을 갖추어 놓은 곳.
용례:
- 수험생들은 고사장에 입실하시기 바랍니다.
- 예비 소집일에 가서 고사장을 확인하였다.
29. 고전장 (古戰場) [고:전장]
한자: 古(예 고:), 戰(싸움 전:), 場(마당 장)
옛 싸움터.
용례:
이 해협이 바로 이순신 장군의 저 유명한 명량 대첩의 고전장인 율두목이라 한다.≪정비석, 비석과 금강산의 대화≫
30. 공사장 (工事場) [공사장]
한자: 工(장인 공), 事(일 사:), 場(마당 장)
공사를 하는 곳.
용례:
- 공사장 인부.
- 공사장 감독.
- 공사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합시다.
31. 공연장 (公演場) [공연장]
한자: 公(공평할 공), 演(펼 연:), 場(마당 장)
극장, 음악당 따위의 공연을 하는 장소.
용례:
공연장을 가득 메운 관객들.
32. 공장 (工場) [공장]
한자: 工(장인 공), 場(마당 장)
원료나 재료를 가공하여 물건을 만들어 내는 설비를 갖춘 곳.
용례:
- 자동차 공장.
- 공장을 세우다.
- 공장이 가동하다.
- 공장이 들어서다.
- 그 공장은 생산 시설이 자동화되었다.
- 수없이 솟은 굴뚝에서 시커먼 연기가 오르고, 공장 안에서는 기계들이 돌아간다.≪조세희, 기계 도시≫
33. 공판장 (共販場) [공:판장]
한자: 共(한가지 공:), 販(팔[賣] 판), 場(마당 장)
‘공동 판매장’(여러 동업자가 함께 모여 판매하는 시장. 동업자들끼리 판매 경쟁으로 인한 불이익을 피하거나 어떤 유력한 동업자에게 대항하기 위하여, 또는 판로 확장, 자금 융통 따위의 편익을 얻기 위하여 조직한다.)을 줄여 이르는 말.
용례:
그는 자신의 폭력 조직을 동원하여 주로 동해안 지방의 수산물 공판장이나 관광업체들을 손쉽게 장악할 수가 있었다.≪윤흥길, 비늘≫
34. 과거장 (科擧場) [과거장]
한자: 科(과목 과), 擧(들 거:), 場(마당 장)
과거(科擧)를 보는 장소.
용례:
선비들은 과거장에 앉아 진지한 자세로 시제를 풀고 있었다.
35. 과장 (科場) [과장]
한자: 科(과목 과), 場(마당 장)
과거(科擧)를 보는 장소.
용례:
십팔 세가 되던 해 그는 고을 사또의 추천을 받고 과장에 나갔다.≪유현종, 들불≫
36. 광장 (廣場) [광:장]
한자: 廣(넓을 광:), 場(마당 장)
「1」많은 사람이 모일 수 있게 거리에 만들어 놓은, 넓은 빈터.
「2」여러 사람이 뜻을 같이하여 만나거나 모일 수 있는 자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역전 광장.
- 「1」환영 인파가 광장을 메우다.
- 「1」대학생 10만 명이 서울역 광장에 모여 시위를 벌이고 있다.
- 「2」대화의 광장.
- 「2」만남의 광장.
- 「2」문화의 광장.
37. 교련장 (敎鍊場) [교:련장]
한자: 敎(가르칠 교:), 鍊(쇠불릴/단련할 련:), 場(마당 장)
교련을 하는 장소.
용례:
군사들을 교련장에 모은 뒤에 일장 훈시를 내렸다.≪박종화, 임진왜란≫
38. 교역장 (交易場) [교역짱]
한자: 交(사귈 교), 易(바꿀 역), 場(마당 장)
교역을 하는 곳.
용례:
상품을 비교·전시할 수 있는 상설 전시장이 들어서 국제 교역장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39. 교육장 (敎育場) [교:육짱]
한자: 敎(가르칠 교:), 育(기를 육), 場(마당 장)
「1」가르치는 곳.
「2」군사 교육 또는 군사 훈련을 위한 교육 시설을 갖추어 놓은 곳.
용례:
- 「1」시는 3만여 평을 ‘습지 체험 관광지’로 조성하여, 관광객들에게 갯벌 교육장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 「1」심지어는 엄숙, 신성해야 할 교육장과 학습 분위기를 훼손하는 망측스러운 행위까지를 서슴지 않는 등, 그 비행과 탈선이 극에 이르고….≪이청준, 키 작은 자유인≫
40. 교장 (敎場) [교:장]
한자: 敎(가르칠 교:), 場(마당 장)
「1」가르치는 곳.
「2」군사 교육 또는 군사 훈련을 위한 교육 시설을 갖추어 놓은 곳.
용례:
「1」휘문 의숙 같은 수 층 양옥과 보성 학교 같은 넓은 교장에 칠판, 괘종, 책상, 걸상을 벌여 놓고….≪이해조, 자유종≫
41. 구장 (毬場) [구장]
한자: 毬(제기/공 구), 場(마당 장)
격구를 하기 위하여 설치한 넓은 마당. 길이는 출마표에서 치구표까지 약 60미터, 여기에서 구문(毬門)까지가 240미터, 전체의 길이는 300미터이고 넓이는 제한이 없다.
용례:
고려 태조 1년, 왕궁 밖에 구장이 있었다는 기록이 격구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다.
42. 구장 (球場) [구장]
한자: 球(공 구), 場(마당 장)
축구, 야구 따위의 시합을 하는 운동장. 특히 야구장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용례:
- 구장의 잔디를 관리하다.
- 요즘 우리 구장에는 경기당 1만 명 가까운 관중이 몰려듭니다.
43. 구판장 (購販場) [구판장]
한자: 購(살 구), 販(팔[賣] 판), 場(마당 장)
조합 따위에서, 생활용품 등을 공동으로 사들여 조합원에게 싸게 파는 곳.
용례:
- 농협 구판장.
- 축협 구판장.
44. 국내시장 (國內市場) [국내시:장]
한자: 國(나라 국), 內(안 내:), 市(저자 시:), 場(마당 장)
자기 나라 생산품의 판로가 되는 나라 안의 시장.
용례:
- 국내 시장 규모.
- 수입품의 국내 시장 점유율.
- 정부의 국내 시장 개방으로 양담배와 양주가 물밀듯이 들어오고 있다.
- 올 하반기 국내 시장을 주도할 주요 제품들이 이곳에서 첫선을 보일 예정이다.
45. 국립극장 (國立劇場) [궁닙극짱]
한자: 國(나라 국), 立(설 립), 劇(심할 극), 場(마당 장)
나라의 민족 예술과 연극 문화의 보존·발전을 꾀하기 위하여 나라가 설치·운영하는 극장.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場 마당 장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場 마당 장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場 마당 장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場 마당 장 - 5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場 마당 장 - 6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場 마당 장 - 7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