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點 점 점 - 2

41. 도달점 (到達點) [도:달쩜]

한자: 到(이를 도:), 達(통달할 달), 點(점 점(:))

다다른 지점. 또는 최후에 다다른 결과.

용례:

  • 육상 기록의 최고 도달점.
  • 지금은 서로 아주 달라 보여도 성실하게 달리기만 한다면 도달점은 같고 거기서 우리는 다시 만나리라고 믿어.≪이문열, 변경≫

42. 도착점 (到着點) [도:착쩜]

한자: 到(이를 도:), 着(붙을 착), 點(점 점(:))

「1」길을 가는 데 도착하는 지점.
「2」일을 마치거나 일이 종료되는 지점.

용례:

  • 「1」그는 이 길을 쭉 따라가면 도착점이 보일 것이라고 했다.
  • 「2」‘청운의 큰 뜻’을 이룬 사람에게나 못 이룬 사람에게나 향수란 다 같이 최후의 도착점이 아닐 것인가.≪유진오, 창랑정기≫

43. 동일점 (同一點) [동일쩜]

한자: 同(한가지 동), 一(한 일), 點(점 점(:))

「1」하나의 점.
「2」서로 같은 점.
「3」두 눈의 망막 위의 각 중심점에서 같은 방향으로 같은 거리에 있는 두 점. 이 점에 놓이는 두 영상은 보통 한 점으로 보인다.

용례:

  • 「1」세 선이 동일점에서 만나고 있다.
  • 「2」두 사람의 의견은 너무나 달라서 동일점이라곤 하나도 찾아볼 수 없었다.

44. 동점 (同點) [동쩜]

한자: 同(한가지 동), 點(점 점(:))

「1」점수가 같음. 또는 같은 점수.
「2」같은 결론.

용례:

  • 「1」동점을 이루다.
  • 「1」동점을 기록하다.
  • 「1」청군과 백군은 동점이다.
  • 「1」3시간의 야구 경기가 동점으로 끝났다.
  • 「1」이번 시험에서 10명이나 동점이 나왔다.
  • 「1」우리 팀은 골을 하나 더 넣어 동점을 만들었다.
  • 「2」두 가지 분석이 서로 방법은 다르지만 결국 동점으로 귀결한다.

45. 두부점 (豆腐點) [두부쩜]

한자: 豆(콩 두), 腐(썩을 부:), 點(점 점(:))

두부를 잘게 썰어 놓은 조각.

용례:

  • 된장찌개에 두부점을 조금 넣고 보글보글 끓이다.
  • 찌개 냄비를 열자 두부점 위에 하필 커다란 멸치란 놈이 올라와 있었고….≪박완서, 도둑맞은 가난≫

46. 득실점 (得失點) [득씰쩜]

한자: 得(얻을 득), 失(잃을 실), 點(점 점(:))

얻은 점수와 잃은 점수.

용례:

득실점을 계산하다.

47. 득점 (得點) [득쩜]

한자: 得(얻을 득), 點(점 점(:))

시험이나 경기 따위에서 점수를 얻음. 또는 그 점수.

용례:

  • 대량 득점.
  • 최고 득점.
  • 득점의 기회를 놓치다.
  • 양 팀 모두 득점 없이 경기가 끝났다.

48. 만점 (滿點) [만쩜]

한자: 滿(찰 만(:)), 點(점 점(:))

「1」규정한 점수에 꽉 찬 점수.
「2」부족함이 없이 아주 만족할 만한 정도.

용례:

  • 「1」백 점 만점에 칠십 점을 맞았다.
  • 「2」인기 만점.
  • 「2」서비스 만점.
  • 「2」그는 사윗감으로는 만점이다.
  • 「2」만사를 가을에 미루고 고요히 언제까지든지 누워 있을 수 있을 때까지 누워 있으면 이 피서법은 실로 만점이다.≪김진섭, 인생 예찬≫

49. 맹점 (盲點) [맹쩜]

한자: 盲(소경/눈멀 맹), 點(점 점(:))

「1」미처 생각이 미치지 못한, 모순되는 점이나 틈.
「2」시각 신경을 이루는 신경 섬유들이 망막에서 한곳으로 모이는 곳. 붉거나 흰 원반처럼 보인다. 이 부분에는 시각 세포가 없기 때문에 빛에 대한 반응이 없다.

용례:

  • 「1」맹점을 찌르다.
  • 「1」맹점이 드러나다.
  • 「1」그 친구가 펴는 이론에 중대한 맹점이 있어 보이는데 그걸 딱히 꼬집어 반박할 수가 없단 말이야.≪선우휘, 사도행전≫

50. 몽고반점 (蒙古斑點) [몽고반점]

한자: 蒙(어두울 몽), 古(예 고:), 斑(아롱질 반), 點(점 점(:))

갓난아이의 엉덩이, 등, 허리, 손등, 발등 따위에서 관찰되는 푸르스름한 점. 아시아인, 미국 인디언, 흑인, 남유럽의 영아들에게서 관찰되며, 출생 시에 나타났다가 대개 아동기에 사라진다.

51. 무득점 (無得點) [무득쩜]

한자: 無(없을 무), 得(얻을 득), 點(점 점(:))

경기 따위에서 점수를 얻지 못함.

용례:

양 팀 모두 무득점으로 경기가 끝났다.

52. 무실점 (無失點) [무실쩜]

한자: 無(없을 무), 失(잃을 실), 點(점 점(:))

실점이 없음.

용례:

무실점으로 막다.

53. 문제점 (問題點) [문:제쩜]

한자: 問(물을 문:), 題(제목 제), 點(점 점(:))

문제가 되는 점.

용례:

  • 문제점을 찾다.
  • 문제점을 해결하다.
  • 문제점이 드러나다.
  •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여 개선 방안을 찾도록 하시오.
  • 중국 측이 만보산 근처에서의 조선인 추방, 영사관 경찰의 철수 등 요구에 맞서 중요한 문제점을 남겨 놓게 되었다.≪안수길, 북간도≫

54. 미비점 (未備點) [미:비쩜]

한자: 未(아닐 미(:)), 備(갖출 비:), 點(점 점(:))

아직 다 갖추지 못한 상태에 있는 부분이나 요소.

용례:

  • 여러 가지 미비점이 발견되어 대책이 필요하다.
  • 명색은 그동안의 활동의 성과, 미비점 등을 종합해서 분석하고 서로 토론해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반성도 하고….≪박완서, 오만과 몽상≫

55. 미점 (美點) [미:쩜]

한자: 美(아름다울 미(:)), 點(점 점(:))

「1」언행이나 성품 따위에서 칭찬할 만한 아름다운 점.
「2」내세울 만한 좋은 점.

용례:

「1」인간미라는 막연한 한 말로써 표현할 수 없는 오직 마음으로써만 느낄 수 있는 언어를 초월한 여러 가지의 미점을 가지고 있다고 경재는 생각하는 것이다.≪한설야, 황혼≫

56. 반점 (半點) [반:점]

한자: 半(반(半) 반:), 點(점 점(:))

「1」한 점의 절반.
「2」아주 짧은 시간.
「3」매우 적은 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2」그는 철없는 아들 때문에 반점도 마음 편할 때가 없었다.
  • 「3」반점의 성의도 없다.
  • 「3」하늘이 구름 반점도 없이 맑게 개었다.

57. 반점 (半點) [반:점]

한자: 半(반(半) 반:), 點(점 점(:))

문장 부호의 하나. ‘,’의 이름이다. 같은 자격의 어구를 연결할 때 쓰거나, 짝을 지어 구별할 때, 이웃하는 수를 개략적으로 나타낼 때, 열거의 순서를 나타낼 때, 문장의 연결 관계를 분명히 하고자 할 때, 되풀이되는 말을 피하기 위해 일정 부분을 줄여서 열거할 때, 부르거나 대답하는 말 뒤에, 한 문장 안에서 ‘곧’ 따위의 어구로 다시 설명할 때, 한 문장에 같은 의미의 어구가 반복될 때, 도치된 어구 사이에, 바로 다음 말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지 않음을 나타낼 때, 문장 중간에 끼어든 어구의 앞뒤에, 특별한 효과를 위해 끊어 읽는 곳을 나타낼 때, 짧게 더듬는 말을 표시할 때 쓴다.

58. 반점 (斑點) [반점]

한자: 斑(아롱질 반), 點(점 점(:))

동식물 따위의 몸에 박혀 있는 얼룩얼룩한 점.

용례:

  • 반점이 생긴 수박잎.
  • 날개에 오렌지빛 반점이 있는 풍뎅이가 풀잎에 앉아 있다.
  • 온 얼굴에 반점이 돋아나 있었고 열에 떴던 안색은 옹기처럼 탔는데….≪황석영, 장길산≫

59. 반환점 (返還點) [반환쩜]

한자: 返(돌이킬 반:), 還(돌아올 환), 點(점 점(:))

경보나 마라톤 경기에서, 선수들이 돌아오는 점을 표시한 표지.

용례:

우리나라 선수가 조금 전에 반환점을 돌아 결승점을 향해 달려갔다.

60. 받침점 (받침點) [받침쩜]

한자: 點(점 점(:))

「1」구조물을 받치고 있는 부분.
「2」물체를 떠받치는 지렛대를 괸 고정된 점.

용례:

「2」지렛대로 물체를 들 때는 작용점에서 받침점까지의 거리를 짧게 할수록 힘이 적게 든다.

61. 발화점 (發火點) [발화쩜]

한자: 發(필 발), 火(불 화(:)), 點(점 점(:))

「1」화재 원인의 감식에서, 처음 화재가 일어난 자리.
「2」공기나 산소 속에서 물질을 가열할 때 스스로 발화하여 연소를 시작하는 최저 온도. 가열 시간, 공기 혼합의 방법, 용기의 재질과 모양 따위에 따라 변하며, 보통 인화점보다 10~20℃가 높다.

62. 방점 (傍點) [방쩜]

한자: 傍(곁 방:), 點(점 점(:))

「1」글 가운데에서 보는 사람의 주의를 끌기 위하여 글자 옆이나 위에 찍는 점.

「2」중세 국어 각 음절의 성조를 표시하기 위한 ≪훈민정음≫의 표기법. 평성(平聲)은 점이 없고, 거성(去聲)은 한 점, 상성(上聲)은 두 점을 글자의 왼편에 찍었다.

용례:

「1」전황 보도에 한국군이 등장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어서 태영은 이 기록에 방점을 찍었다.≪이병주, 지리산≫

63. 배점 (配點) [배:쩜]

한자: 配(나눌/짝 배:), 點(점 점(:))

점수를 각각 나누어 배정함. 또는 그렇게 하여 정해진 점수.

용례:

  • 과목별 배점 비율.
  • 단체 경기에서는 그 승패에 따라 배점을 정해 두었다가 나중에 합산하여 순위를 결정한다.
  • 문항별 배점 표시가 나와 있지 않으면 어느 것이 더 중요한 것인지 알 수 없다.

64. 벌점 (罰點) [벌쩜]

한자: 罰(벌할 벌), 點(점 점(:))

「1」잘못한 것에 대하여 벌로 따지는 점수.
「2」얻은 점수의 총점에서 벌로 빼는 점수.

용례:

  • 「1」벌점이 높다.
  • 「1」그는 벌점이 초과되어 운전면허를 취소당했다.
  • 「2」그녀는 착지에서 실수를 하는 바람에 벌점을 받았다.

65. 복점 (福點) [복쩜]

한자: 福(복 복), 點(점 점(:))

복을 가져다준다는 점.

용례:

그는 자기가 하는 일마다 잘 풀리는 것이 등에 있는 커다란 복점 때문이라고 했다.

66. 분기점 (分岐點) [분기쩜]

한자: 分(나눌 분(:)), 岐(갈림길 기), 點(점 점(:))

「1」길 따위가 여러 갈래로 갈라지기 시작하는 곳.
「2」사물의 속성 따위가 바뀌어 갈라지는 지점이나 시기.
「3」하나의 신호가 몇 개의 갈래로 갈라지는 것을 나타내는, 점으로 표기하는 기호. 몇 개로 갈라져 나가지만 신호의 크기와 성질은 달라지지 않는다.
「4」체신망에서 정보의 분배 기능을 수행하는 지점.

용례:

  • 「1」회덕 분기점.
  • 「1」나는 단숨에 이십 리를 걸어 내륙으로 통하는 도로와 바닷가로 가게 되는 도로의 분기점에 이르렀다.≪이문열, 그해 겨울≫
  • 「2」새로운 역사의 분기점에 서다.
  • 「2」한국 현대사의 분기점을 맞다.
  • 「2」화해의 악수를 청한 것을 분기점으로 둘 사이는 급속도로 가까워졌다.

67. 비등점 (沸騰點) [비:등쩜]

한자: 沸(끓을 비:), 騰(오를 등), 點(점 점(:))

「1」액체 물질의 증기압이 외부 압력과 같아져 끓기 시작하는 온도. 외부 압력이나 물질의 조성에 변화가 있으면 온도도 따라서 변한다. 보통은 1기압에서의 값을 말하며 그 물질의 고유한 상수(常數)가 된다. 예를 들어 물의 경우는 100℃이다.
「2」여론이나 열정 따위가 일어나 최고조에 달한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2」자신의 내부에 도사린 무엇인가가 이윽고는 자신을 폭발시킬 비등점을 향해 끓어오르고 있다.≪오정희, 어둠의 집≫

68. 비점 (批點) [비:점]

한자: 批(비평할 비:), 點(점 점(:))

시가나 문장 따위를 비평하여 아주 잘된 곳에 찍는 둥근 점.

용례:

글자마다 비점이니 그 아니 자랑스러운가.

69. 빗점 (빗點) [빋쩜]

한자: 點(점 점(:))

여러 비탈의 밑 자락이 한군데로 모이는 곳.

용례:

빗점에서 계곡을 따라 올라 주 능선을 넘었다.≪이병주, 지리산≫

70. 빙점 (氷點) [빙쩜]

한자: 氷(얼음 빙), 點(점 점(:))

물이 얼기 시작할 때 또는 얼음이 녹기 시작할 때의 온도. 1기압 아래에서 섭씨 0도를 이른다.

용례:

  • 때아닌 한파로 기온이 빙점 이하로 뚝 떨어졌다.
  • 바닷물은 강물보다 빙점이 낮다.

71. 빵점 (빵點) [빵쩜]

한자: 點(점 점(:))

‘영점’(零點)을 속되게 이르는 말.

용례:

  • 그 녀석은 이번 수학 시험에서 빵점을 받았다.
  • 그는 신랑감으로서는 빵점이다.

72. 살점 (살點) [살쩜]

한자: 點(점 점(:))

큰 고깃덩어리에서 떼어 낸 살의 조각.

용례:

  • 살점을 베어 내다.
  • 까마귀들이 살점을 입에 문 채로 메뚜기처럼 날아갔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73. 상이점 (相異點) [상이쩜]

한자: 相(서로 상), 異(다를 이:), 點(점 점(:))

서로 다른 점.

용례:

두 사람은 여러 면에서 상이점이 많았다.

74. 선취점 (先取點) [선취쩜]

한자: 先(먼저 선), 取(가질 취:), 點(점 점(:))

운동 경기 따위에서, 먼저 딴 점수.

용례:

  • 선취점을 올리다.
  • 우리 팀은 선취점을 내줬으나, 곧바로 두 골을 넣어 역전했다.

75. 소수점 (小數點) [소:수쩜]

한자: 小(작을 소:), 數(셈 수:), 點(점 점(:))

소수의 부분과 정수의 부분을 구획하기 위하여 소수 부분과 정수 부분 사이에 찍는 부호 ‘.’을 이르는 말. 예를 들어 3.14에서 3과 1 사이에 있는 점 따위이다.

76. 승점 (勝點) [승쩜]

한자: 勝(이길 승), 點(점 점(:))

「1」더 나은 점수.
「2」리그전으로 치러지는 경기 따위에서 승패를 계산한 점수.

용례:

  • 「2」각 조에서 승점이 높은 두 팀이 결승전을 치른다.
  • 「2」우리 팀은 1승 1무로 승점 3점을 기록하고 있다.

77. 시발점 (始發點) [시:발쩜]

한자: 始(비로소 시:), 發(필 발), 點(점 점(:))

「1」첫출발을 하는 지점.
「2」일이 처음 시작되는 계기.

용례:

  • 「1」서울서 올 때는 시발점이라 버스에 앉을 자리가 있었으나 지금은 만원이어서 사람들 틈에 끼어 선 채로 있어야 했다.≪황순원, 움직이는 성≫
  • 「2」혁명의 시발점.
  • 「2」사소한 말다툼이 시발점이 되어 살인으로까지 이어지기도 한다.

78. 시사점 (示唆點) [시:사쩜]

한자: 示(보일 시:), 唆(부추길 사), 點(점 점(:))

미리 일러 주는 암시.

용례:

  • 그 사건은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 이 조처는 실직자 문제 해결을 위한 주요한 시사점을 던져 준다.

79. 시작점 (始作點) [시:작쩜]

한자: 始(비로소 시:), 作(지을 작), 點(점 점(:))

어떠한 것이 처음으로 일어나거나 시작되는 곳.

용례:

  • 변화의 시작점.
  • 취업 준비의 시작점은 자신의 관심사와 재능을 파악하는 것이다.

80. 시점 (始點) [시:쩜]

한자: 始(비로소 시:), 點(점 점(:))

「1」어떠한 것이 처음으로 일어나거나 시작되는 곳.
「2」A에서 B로 가는 유향선분 또는 벡터의 시작점인 A.

용례:

「1」당시 기준 금리를 인상한 시점부터 주택 매매 가격이 하락한 시점까지는 약 12개월의 시차가 존재했다.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點 점 점 - 1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點 점 점 - 3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點 점 점 - 4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