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點 점 점 - 1

1. 가산점 (加算點) [가산쩜]

한자: 加(더할 가), 算(셈 산:), 點(점 점(:))

어떤 것에 대한 대가로 더 주는 점수.

용례:

  • 이번 대회 수상자는 승진 시험에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
  • 가산점 중 벽지 점수나 연구 점수는 남아돌 만큼 높은데 주임 점수나 연수 점수가 전혀 없었던 것이다.≪전상국, 지빠귀 둥지 속의 뻐꾸기≫

2. 가점 (加點) [가쩜]

한자: 加(더할 가), 點(점 점(:))

「1」글이나 글자의 위아래나 옆에 강조를 위하여 점을 찍음. 또는 그 점.
「2」성적 따위를 낼 때에 점수를 더 줌. 또는 그렇게 더 주는 점수.

용례:

  • 「1」가점을 찍다.
  • 「2」가점을 부여하다.
  • 「2」기업들은 병역 특례 가점을 높여 병역 특례자의 채용을 확대하였다.

3. 가채점 (假採點) [가:채쩜]

한자: 假(거짓 가:), 採(캘 채:), 點(점 점(:))

임시로 한 채점.

용례:

학교에서는 일부 학생의 가채점을 통해 종합적인 채점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4. 감산점 (減算點) [감:산쩜]

한자: 減(덜 감:), 算(셈 산:), 點(점 점(:))

어떤 기준에서 더 빼어 계산하는 점수.

용례:

답이 틀릴 때마다 10점의 감산점이 있으니 신중하게 답해야 한다.

5. 감점 (減點) [감:쩜]

한자: 減(덜 감:), 點(점 점(:))

점수가 깎임. 또는 그 점수.

용례:

  • 맞춤법에 맞지 않으면 감점을 받는다.
  • 운전면허 시험에서 급출발하면 감점이다.

6. 강점 (強點) [강쩜]

한자: 強(강할 강(:)), 點(점 점(:))

남보다 우세하거나 더 뛰어난 점.

용례:

  • 강점을 살리다.
  • 강점을 지니다.
  • 그는 모든 일에 자신감이 있는 것이 강점이다.

7. 개선점 (改善點) [개:선쩜]

한자: 改(고칠 개(:)), 善(착할 선:), 點(점 점(:))

고치면 더 좋아질 수 있는 부분. 또는 고쳐서 더 좋아지게 해야 할 부분.

용례:

  • 개선점을 찾다.
  • 개선점이 무엇인지 알아야 대안을 마련할 수 있다.

8. 거점 (據點) [거:쩜]

한자: 據(근거 거:), 點(점 점(:))

어떤 활동의 근거가 되는 중요한 지점.

용례:

  • 거점을 확보하다.
  • 만주, 연해주 등지를 거점으로 삼아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 국내외의 정보를 가장 빨리 입수하기 위하여 경제 기관들의 대부분이 수도를 거점으로 하고 있다.
  • 이로부터 여러 섬들이 구월산 부대의 활동 거점이 되었다.≪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9. 결승점 (決勝點) [결씅쩜]

한자: 決(결단할 결), 勝(이길 승), 點(점 점(:))

「1」육상·수영 따위에서, 승부가 결정되는 지점.
「2」승부를 결정짓는 점수.

용례:

  • 「2」결승점을 내주다.
  • 「2」결승점을 뽑다.

10. 결점 (缺點) [결쩜]

한자: 缺(이지러질 결), 點(점 점(:))

잘못되거나 부족하여 완전하지 못한 점.

용례:

  • 결점을 보완하다.
  • 결점이 많다.
  • 그의 유일한 결점은 남을 너무 쉽게 믿어 버리는 것이다.

11. 고깃점 (고깃點) [고기쩜]

한자: 點(점 점(:))

고깃덩어리에서 떼어 낸 작은 고기 조각.

용례:

  • 고깃점이라도 좀 잡숫고 가시지요.≪홍명희, 임꺽정≫
  • 마님 분부 없이는 쇤네에게 고깃점 하나 주지 않았다고 듣고 있사와요.≪한무숙, 생인손≫

12. 고득점 (高得點) [고득쩜]

한자: 高(높을 고), 得(얻을 득), 點(점 점(:))

시험이나 경기 따위에서 높은 점수를 얻음. 또는 그 점수.

용례:

  • 고득점으로 합격하다.
  • 고득점을 올리다.
  • 이 반에는 고득점을 받은 학생들이 많이 있다.
  • 고득점을 얻으려면 그만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13. 고점 (高點) [고쩜]

한자: 高(높을 고), 點(점 점(:))

높은 점수.

용례:

  • 고점 득점자.
  • 고점을 따다.
  • 그는 열심히 공부를 한 덕분에 고점을 얻어 대학에 합격할 수 있었다.

14. 공통점 (共通點) [공:통쩜]

한자: 共(한가지 공:), 通(통할 통), 點(점 점(:))

둘 또는 그 이상의 여럿 사이에 두루 통하는 점.

용례:

  • 예술과 철학의 공통점.
  • 알고 보니 그와 나는 의외로 공통점이 많았다.
  • 그들은 부모를 잃었다는 불행 외에는 피차 아무런 공통점도 지니지 않았다.≪홍성원, 육이오≫

15. 관점 (觀點) [관쩜]

한자: 觀(볼 관), 點(점 점(:))

사물이나 현상을 관찰할 때, 그 사람이 보고 생각하는 태도나 방향 또는 처지.

용례:

  • 관점이 다르다.
  • 특이한 관점을 지니다.
  • 인간에 대한 개념 규정은 관점에 따라 다양하다.
  • 작가는 그 대상을 어떤 관점으로 보았는가?

16. 교차점 (交叉點) [교차쩜]

한자: 交(사귈 교), 叉(갈래 차), 點(점 점(:))

「1」서로 엇갈리거나 마주친 곳.
「2」감수 분열에서, 상동 염색체가 서로 접합할 때 염색 분체의 교환이 일어나는 부분.

용례:

  • 「1」가로선과 세로선의 교차점.
  • 「1」철도와의 교차점에 이르러 잠시 멈칫하였으나 차는 다시 미친 듯 뛰었다.≪이문희, 흑맥≫

17. 구두점 (句讀點) [구두쩜]

한자: 句(글귀 구), 讀(구절 두), 點(점 점(:))

글을 마치거나 쉴 때 찍는 점. 마침표나 쉼표 따위가 있다.

용례:

정확한 문장을 쓰기 위해서는 구두점 하나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18. 구심점 (求心點) [구심쩜]

한자: 求(구할[索] 구), 心(마음 심), 點(점 점(:))

「1」구심 운동의 중심점.
「2」중심적 역할을 하는 사람·단체·사상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2」구심점을 이루다.
  • 「2」그들은 그를 구심점으로 하여 하나가 되었다.
  • 「2」임시 정부는 독립운동의 구심점 역할을 하였다.
  • 「2」우리에게는 이렇다 할 구심점도 정비된 조직망도 없다.≪이문열, 영웅시대≫

19. 구점 (句點) [구쩜]

한자: 句(글귀 구), 點(점 점(:))

구절 끝에 찍는 점.

용례:

경서에는 붉은 먹으로 구점을 찍고 주해를 붙인다.

20. 권점 (圈點) [권쩜]

한자: 圈(우리[牢] 권), 點(점 점(:))

「1」글을 맺는 끝에 찍는 고리 형상의 둥근 점.
「2」글이 잘된 곳 또는 중요한 곳을 표시하기 위하여 찍는 둥근 점.
「3」중세 국어 각 음절의 성조를 표시하기 위한 ≪훈민정음≫의 표기법. 평성(平聲)은 점이 없고, 거성(去聲)은 한 점, 상성(上聲)은 두 점을 글자의 왼편에 찍었다.
「4」조선 시대에, 벼슬아치를 뽑을 때 뽑는 이가 뽑고자 하는 후보자의 이름 아래에 둥근 점을 찍던 일. 또는 그 점. 점 수가 많은 사람이 뽑히는 것으로, 홍문관 등 주요 관아의 벼슬아치를 임명하는 과정에서 시행하던 일종의 예비 선거 제도였다.

용례:

「1」세로쓰기를 할 때는 문장이 끝나는 곳에 권점을 찍는다.

21. 귀결점 (歸結點) [귀:결쩜]

한자: 歸(돌아갈 귀:), 結(맺을 결), 點(점 점(:))

여러 의견 가운데 어떠한 결말로 낙착되는 점.

용례:

  • 근대정신의 한 귀결점.
  • 귀결점을 찾다.

22. 귀일점 (歸一點) [귀:일쩜]

한자: 歸(돌아갈 귀:), 一(한 일), 點(점 점(:))

여러 가지로 나뉘었던 현상이 하나의 결말이나 결과로 끝맺음. 또는 그 결말이나 결과.

용례:

의견이 분분해서 아직 귀일점을 찾지 못했다.

23. 귀착점 (歸着點) [귀:착쩜]

한자: 歸(돌아갈 귀:), 着(붙을 착), 點(점 점(:))

「1」돌아가 도착한 곳.
「2」여러 의견 가운데 어떠한 결말로 낙착되는 점.

용례:

  • 「1」도중에 길은 여러 갈래가 있지만 출발점과 귀착점은 같다.
  • 「2」토론의 귀착점.
  • 「2」그 확신에는 아무런 현실적인 근거나 논리적인 귀착점이 없었다.≪김주영, 달맞이꽃≫

24. 극점 (極點) [극쩜]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點(점 점(:))

「1」극도에 이른 점.
「2」위도 90도의 지점. 남극점과 북극점이 있다.

용례:

「1」거기까지가 그의 한계이자 보통 사람으로서의 인내의 극점이었다.≪최일남, 거룩한 응달≫

25. 극한점 (極限點) [그칸쩜]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限(한할 한:), 點(점 점(:))

「1」무한히 많은 다른 점의 극한이 되는 점.
「2」더 이상 어떤 것을 참을 수 없는 최고의 상태를 이르는 말.

용례:

  • 「2」그의 말에서 극한점에 다다른 사람이 발산하는 애끓는 마음 같은 것이 느껴졌다.
  • 「2」그런데 인간의 예지와 분규가 한 극한점에 다다라 있다고 볼 수 있는 오늘의 원자 시대에….≪유치환, 나는 고독하지 않다≫

26. 급제점 (及第點) [급쩨쩜]

한자: 及(미칠 급), 第(차례 제:), 點(점 점(:))

시험 따위에 합격할 수 있는 점수.

용례:

급제점을 받다.

27. 기점 (起點) [기쩜]

한자: 起(일어날 기), 點(점 점(:))

어떠한 것이 처음으로 일어나거나 시작되는 곳.

용례:

  • 경부선의 기점은 서울역이다.
  • 그 사건이 기점이 되어 일반인들의 의식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 차츰 호전돼 가는 듯 보였던 환자의 병세가 25일 밤을 기점으로 정지돼 버리면서 악화된 증세를 나타내는 것이 아닌가.≪황순원, 신들의 주사위≫

28. 기준점 (基準點) [기준쩜]

한자: 基(터 기), 準(준할 준:), 點(점 점(:))

「1」계산하거나 측정할 때 기준이 되는 점.
「2」어떤 것을 할 때 기준이 되는 생각이나 사실.

용례:

  • 「1」1995년을 기준점으로 잡다.
  • 「1」온도계는 0도를 기준점으로 하여 그 위는 영상, 그 아래는 영하라고 한다.
  • 「2」독자에게 주인공과 그의 세계를 인식하고 판단할 기준점을 제공하는 것은 정상적인 주변 인물들이다.
  • 「2」이번 일을 발전의 기준점으로 삼아 더욱 정진할 것을 촉구합니다.

29. 꼭짓점 (꼭짓點) [꼭찌쩜]

한자: 點(점 점(:))

「1」각을 이루고 있는 두 변이 만나는 점.
「2」다면체에서 셋 이상의 면이 만나는 점.
「3」뿔의 각 능선이 만나는 점.

30. 끓는점 (끓는點) [끌른점]

한자: 點(점 점(:))

액체 물질의 증기압이 외부 압력과 같아져 끓기 시작하는 온도. 외부 압력이나 물질의 조성에 변화가 있으면 온도도 따라서 변한다. 보통은 1기압에서의 값을 말하며 그 물질의 고유한 상수(常數)가 된다. 예를 들어 물의 경우는 100℃이다.

31. 낙점 (落點) [낙쩜]

한자: 落(떨어질 락), 點(점 점(:))

「1」여러 후보가 있을 때 그중에 마땅한 대상을 고름.
「2」조선 시대에, 이품 이상의 벼슬아치를 뽑을 때 임금이 이조에서 추천된 세 후보자 가운데 마땅한 사람의 이름 위에 점을 찍던 일.

용례:

  • 「1」낙점을 받다.
  • 「1」낙점을 찍다.
  • 「1」당의 조직 개편을 앞두고 의원들은 낙점을 받기 위하여 치열하게 경쟁하였다.

32. 낙점 (落點) [낙쩜]

한자: 落(떨어질 락), 點(점 점(:))

총알이나 폭탄, 화살 따위를 쏘아서 떨어진 지점.

33. 낙제점 (落第點) [낙쩨쩜]

한자: 落(떨어질 락), 第(차례 제:), 點(점 점(:))

「1」시험 따위에 합격할 수 없는 점수.
「2」일정한 수준이나 기대에 능력이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하는 기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낙제점을 받다.
  • 「1」그는 고등학교 시절에 수학 이외에는 모두가 낙제점이어서 좋은 대학에 들어가지 못했다.
  • 「2」사실 그의 성격은 가장으로서 낙제점이 아닐 수 없었다.
  • 「2」솔직히 말해 그의 노래 솜씨는 낙제점이었다.

34. 낙하지점 (落下地點) [나카지점]

한자: 落(떨어질 락), 下(아래 하:), 地(따 지), 點(점 점(:))

날아가는 물체가 떨어지는 지점.

용례:

흙투성이의 아이들이…공의 낙하지점을 대중하여 쇄도했다.≪이동하, 도시의 늪≫

35. 난점 (難點) [난쩜]

한자: 難(어려울 난(:)), 點(점 점(:))

곤란한 점.

용례:

  • 난점을 해결하다.
  • 기술적 난점에 부딪치다.
  • 새로운 경영 방식을 도입하면서 여러 가지 난점이 생겼다.
  • 그러다 보면 다람쥐 쳇바퀴 돌듯 다시 원점으로 돌아오고 마는 난점을 안고 있었다.≪김원일, 노을≫

36. 논쟁점 (論爭點) [논쟁쩜]

한자: 論(논할 론), 爭(다툴 쟁), 點(점 점(:))

자기의 주장을 말이나 글로 논하여 다투는 데 중심이 되는 문제점.

용례:

이 책은 이론 내의 각종 논쟁점을 소개하고 있다.

37. 논점 (論點) [논쩜]

한자: 論(논할 론), 點(점 점(:))

논의(論議)나 논쟁(論爭) 따위의 중심이 되는 문제점.

용례:

  • 논점을 흐리게 하는 부분.
  • 논점을 벗어난 설명.
  • 논점을 밝히다.

38. 다득점 (多得點) [다득쩜]

한자: 多(많을 다), 得(얻을 득), 點(점 점(:))

시험이나 경기 따위에서 많은 점수를 얻음. 또는 그 점수.

용례:

  • 다득점을 기록하다.
  • 다득점으로 승리하다.
  • 우리 팀은 승점은 같지만 다득점에서 밀려 조 1위를 놓쳤다.

39. 다실점 (多失點) [다실쩜]

한자: 多(많을 다), 失(잃을 실), 點(점 점(:))

시험이나 경기 따위에서 많은 점수를 잃음. 또는 그 점수.

용례:

  • 다실점으로 패배하다.
  • 후반전에는 수비가 무너지면서 다실점으로 경기를 마무리했다.

40. 단점 (短點) [단:쩜]

한자: 短(짧을 단(:)), 點(점 점(:))

잘못되고 모자라는 점.

용례:

  • 단점을 들추다.
  • 단점을 보완하다.
  • 단점을 극복하다.
  • 연료비가 많이 드는 단점 때문에 이 차는 많이 팔리지 않았다.
  • 그의 단점은 통솔력이 부족한 데 있었고, 때로는 지나칠 만큼 세심하고 소심한 데 있었다.≪유현종, 들불≫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點 점 점 - 2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點 점 점 - 3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點 점 점 - 4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