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 시점 (時點) [시쩜]
한자: 時(때 시), 點(점 점(:))
시간의 흐름 가운데 어느 한 순간.
용례:
- 위험한 시점에 도달하다.
- 전환의 시점에 서 있다.
- 지금은 그 이야기를 할 시점이 아니다.
- 이 시점에서 우리에게 가장 절실한 것은 무엇일까?
- 변화를 수용하지 않으면 안 될 시점에 와 있다.
82. 시점 (視點) [시:쩜]
한자: 視(볼 시:), 點(점 점(:))
「1」어떤 대상을 볼 때에 시력의 중심이 가 닿는 점.
「2」화살 도상에서, 각 요인 화살의 출발점과 종점이 되는 점. 시점은 일반적으로 0으로 표시하고, 그 안에 번호를
붙인다.
「3」소설에서, 이야기를 서술하여 나가는 방식이나 관점. 작중 화자가 ‘나’인 일인칭과 ‘그’인 삼인칭이 있다.
「4」화가의 시각과 같은 위치에서 화면을 대할 때에, 화면과 시선이
직각으로 만나는 가상점.
「5」도형 F 위의 점과 그 도형 밖의 정점 S를 지나는 직선이 정평면과 만나는 점의 자취를 그릴 때에, 도형 밖의 정점 S를 이르는 말.
용례:
「1」삼남이가 부룩송아지 같은 대가리를 모로 둘러, 사팔눈의 시점을 맞추면서 방으로 들어섭니다.≪채만식, 태평천하≫
83. 실점 (失點) [실쩜]
한자: 失(잃을 실), 點(점 점(:))
운동 경기나 승부 따위에서 점수를 잃음. 또는 그 점수.
용례:
- 득점과 실점.
- 실점을 당하다.
- 우리 팀은 실점을 만회하여 역전승을 거두었다.
84. 아점 (아點) [아점]
한자: 點(점 점(:))
아침 겸 점심으로 먹는 밥을 속되게 이르는 말.
용례:
휴일이라 느지막이 일어나 아점으로 팬케이크를 구워 먹었다.
85. 약점 (弱點) [약쩜]
한자: 弱(약할 약), 點(점 점(:))
모자라서 남에게 뒤떨어지거나 떳떳하지 못한 점.
용례:
- 약점을 노리다.
- 약점을 드러내다.
- 약점을 잡다.
- 약점을 찌르다.
- 남의 약점을 들추어내다.
86. 어는점 (어는點) [어:는점]
한자: 點(점 점(:))
「1」물이 얼기 시작할 때 또는 얼음이 녹기 시작할 때의 온도. 1기압 아래에서 섭씨 0도를 이른다.
「2」액체 상태와 고체 상태의 상전이점.
87. 얼룩점 (얼룩點) [얼룩쩜]
한자: 點(점 점(:))
물체에 박힌 얼룩얼룩한 점.
용례:
- 그 송아지는 눈 밑에 얼룩점이 있다.
- 어머니께서는 장롱에 생긴 얼룩점을 없애려고 애를 쓰셨다.
88. 역점 (力點) [역쩜]
한자: 力(힘 력), 點(점 점(:))
「1」심혈을 기울이거나 쏟는 점.
「2」지레 따위로 어떤 물체를 움직일 경우 그 물체에 힘이 작용하는 점.
용례:
- 「1」역점 사업.
- 「1」역점을 기울이다.
- 「1」그 화백은 배경 묘사에 역점을 두는 편이다.
- 「1」올해는 정부가 물가 안정에 최대로 역점을 두고 있다.
89. 연화점 (軟化點) [연:화쩜]
한자: 軟(연할 연:), 化(될 화(:)), 點(점 점(:))
유리, 내화물, 플라스틱, 아스팔트, 타르 따위의 고형(固形) 물질이 열에 의하여 변형되어 연화를 일으키기 시작하는 온도.
용례:
연화점이 낮다.
90. 영점 (零點) [영쩜]
한자: 零(떨어질/영[數字] 령), 點(점 점(:))
「1」얻은 점수가 없음.
「2」능력이나 성과가 전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섭씨온도계·열씨온도계에서, 물이 어는점.
용례:
- 「1」한 과목이라도 영점을 받으면 낙제이다.
- 「2」그 사람은 연구 능력은 뛰어나지만 교육자로서는 영점이다.
- 「2」이 영화는 흥행에는 성공했지만 예술성은 영점이다.
91. 오점 (汚點) [오:쩜]
한자: 汚(더러울 오:), 點(점 점(:))
「1」더러운 점.
「2」명예롭지 못한 흠이나 결점.
용례:
「2」6·25는 우리 역사에 있어 동족상잔의 오점을 남겼다.
92. 온점 (온點) [온:점]
한자: 點(점 점(:))
문장 부호의 하나. ‘.’의 이름이다. 서술·명령·청유 따위를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쓰거나, 아라비아 숫자로 특정한 의미가 있는 날을 표시할 때, 장, 절, 항 등을 표시하는 문자나 숫자 다음에 쓴다.
93. 요점 (要點) [요쩜]
한자: 要(요긴할 요(:)), 點(점 점(:))
가장 중요하고 중심이 되는 사실이나 관점.
용례:
- 요점을 정리하다.
- 요점만 간추려 이야기하다.
- 시간이 없으니 요점만 간단히 말씀해 주세요.
- 명빈의 말을 새삼스럽게 분석할 것도 없이 요점은 평범한 여자니까 남 하는 대로 시집을 갈 것이며 그 밖에는 별 볼 일이 없다는 것이다.≪박경리, 토지≫
94. 우단점 (優短點) [우단쩜]
한자: 優(넉넉할 우), 短(짧을 단(:)), 點(점 점(:))
우점과 단점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이 인사 기록부에 직원들의 우단점이 상세히 적혀 있으니 참고하게.
95. 우점 (優點) [우쩜]
한자: 優(넉넉할 우), 點(점 점(:))
매우 훌륭한 점.
용례:
우점과 결점.
96. 원점 (原點) [원쩜]
한자: 原(언덕 원), 點(점 점(:))
「1」시작이 되는 출발점. 또는 근본이 되는 본래의 점.
「2」길이 따위를 잴 때에 기준이 되는 점.
「3」좌표를 정할 때에 기준이 되는 점. 수직선 위의 0에 대응하는 점이며 평면이나
공간에서 좌표축들의 교점이다.
용례:
- 「1」원점을 맴돌다.
- 「1」그는 타원형 트랙을 돌아 다시 출발의 원점에 서게 되었다.
- 「1」수사가 별다른 진척 없이 원점으로 돌아가고 말았다.
- 「1」1 대 0으로 지고 있던 팀이 후반전에 한 골을 넣어 승부를 원점으로 돌려놓았다.
97. 유사점 (類似點) [유:사쩜]
한자: 類(무리 류(:)), 似(닮을 사:), 點(점 점(:))
서로 비슷한 점.
용례:
- 두 사건 사이에는 상당한 유사점이 있었다.
- 대담무쌍한 언행,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태도 등, 천도 도인과 일월 산인의 사이에 유사점이 많이 있었다.≪김동인, 젊은 그들≫
98. 의문점 (疑問點) [의문쩜]
한자: 疑(의심할 의), 問(물을 문:), 點(점 점(:))
의심이 나는 점.
용례:
- 그 학생은 의문점에 대한 해답을 구했다.
- 경찰 당국의 수사 과정에 대한 의문점이 적지 않다.
- 한편 혐의자들의 진술 내용에 따라 신원 조회를 하고 행적을 조사하고, 그러나 결과는 의문점을 남길 만한 것이 없었으며….≪박경리, 토지≫
99. 의점 (疑點) [의쩜]
한자: 疑(의심할 의), 點(점 점(:))
의심이 나는 점.
용례:
그래도 멈칫멈칫 주저한 것은 신부의 행동이 또 어떠할까, 혹은 무슨 딴 일이 생기지나 않을까 하는 그런 의점이 갈마들기 때문이었는데….≪이기영, 봄≫
100. 이점 (利點) [이:쩜]
한자: 利(이할 리:), 點(점 점(:))
이로운 점.
용례:
- 이점을 갖다.
- 서울은 문화 공간과 많이 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사령부 근무라는 이점 때문인지 장교들의 복장 역시 깨끗하게 다려진 말쑥한 군복이다.≪홍성원, 육이오≫
101. 이해점 (理解點) [이:해쩜]
한자: 理(다스릴 리:), 解(풀 해:), 點(점 점(:))
이해가 되는 점.
용례:
공통의 이해점을 찾다.
102. 일인칭시점 (一人稱視點) [일인칭시:쩜]
한자: 一(한 일), 人(사람 인), 稱(일컬을 칭), 視(볼 시:), 點(점 점(:))
소설에서, 화자가 보고 듣고 겪은 바를 이야기하는 시점. 이때 화자인 ‘나’는 사건의 관찰자일 수도 있고, 중심인물일 수도 있다.
용례:
소설의 시점은 크게 일인칭 시점과 삼인칭 시점으로 나뉘어 설명된다.
103. 일치점 (一致點) [일치쩜]
한자: 一(한 일), 致(이를 치:), 點(점 점(:))
의견이나 주장 따위가 서로 일치하는 점.
용례:
- 일치점을 찾다.
- 일치점이 있다.
- 두 사건의 배경은 많은 일치점을 보여 준다.
104. 일호반점 (一毫半點) [일호반점]
한자: 一(한 일), 毫(터럭 호), 半(반(半) 반:), 點(점 점(:))
‘일호’(한 가닥의 털이라는 뜻으로, 극히 작은 정도를 이르는 말.)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용례:
- 일호반점의 흠도 없다.
- 이것은…자기의 깨끗하고 맑은 몸에 일호반점의 의심이라도 있을 것을 피하기 때문이었다.≪박종화, 금삼의 피≫
105. 자릿점 (자릿點) [자리쩜]
한자: 點(점 점(:))
「1」수판에서, 수의 자리를 표시하려고 찍어 놓은 점.
「2」수를 나타낼 때 천 단위마다 찍는 점.
용례:
「2」자릿점을 찍다.
106. 장단점 (長短點) [장단쩜]
한자: 長(긴 장(:)), 短(짧을 단(:)), 點(점 점(:))
좋은 점과 나쁜 점.
용례:
- 제품의 장단점을 조사하다.
- 나는 플라톤 이래의 정치사상을 열거하고 그 장단점의 실례를 들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107. 장점 (長點) [장쩜]
한자: 長(긴 장(:)), 點(점 점(:))
좋거나 잘하거나 긍정적인 점.
용례:
- 장점을 살리다.
- 장점이 많다.
- 매사에 철저하다는 게 그의 장점이자 단점이었다.
- 이 엔진은 이전의 것보다 연료 소비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 그에게 가장 큰 장점은 어딘가 대담하면서도 유들유들한 배짱 같은 것이었다.≪홍성원, 육이오≫
108. 쟁점 (爭點) [쟁쩜]
한자: 爭(다툴 쟁), 點(점 점(:))
「1」서로 다투는 중심이 되는 점.
「2」소송 당사자 사이에 쟁송(爭訟)의 중심이 되는 내용.
용례:
- 「1」최대의 쟁점.
- 「1」정치적 쟁점.
- 「1」주요 쟁점으로 떠오르다.
109. 저점 (低點) [저:쩜]
한자: 低(낮을 저:), 點(점 점(:))
낮은 점수. 또는 낮은 지점.
용례:
- 저점을 기록하다.
- 저점을 연결하다.
110. 전환점 (轉換點) [전:환쩜]
한자: 轉(구를 전:), 換(바꿀 환:), 點(점 점(:))
다른 방향이나 상태로 바뀌는 계기. 또는 그런 고비.
용례:
- 역사의 전환점.
- 전환점으로 삼다.
- 전환점을 마련하다.
- 전환점을 맞이하다.
- 르네상스는 유럽 사회 변화에 커다란 전환점이 되었다.
- 우리나라 현대사에서 하나의 큰 전환점을 이룬 것은 1960년의 4·19 혁명이었다.
111. 절정점 (絕頂點) [절쩡쩜]
한자: 絕(끊을 절), 頂(정수리 정), 點(점 점(:))
절정을 이루는 점.
용례:
- 절정점에 도달하다.
- 절정점에 이르다.
112. 절충점 (折衷點) [절충쩜]
한자: 折(꺾을 절), 衷(속마음 충), 點(점 점(:))
서로 다른 의견 따위를 알맞게 조절하여 일치를 보게 된 지점.
용례:
- 절충점을 찾다.
- 여야는 협상을 계속했으나 절충점을 발견하지 못했다.
113. 점점 (點點) [점점]
한자: 點(점 점(:)), 點(점 점(:))
「1」낱낱의 점.
「2」점을 찍은 듯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모양.
용례:
- 「1」하늘 아득한 곳에서 아득한 곳으로 날고 있는, 흰 점점의 눈발들은 형형색색의 연으로 보인다.≪최명희, 혼불≫
- 「2」해가 저물자 가로등이 점점으로 밝아 왔다.
114. 정점 (定點) [정:쩜]
한자: 定(정할 정:), 點(점 점(:))
「1」장소, 위치 따위를 정해 놓은 일정한 점.
「2」국제 조약에서 정한 해양상의 지점. 항공기와 선박 항행의 안전을 위하여 각 나라가 기상·해양 관측을 하는 지점이다.
용례:
「1」안경의 왼쪽 알이 가운데를 정점으로 방사선의 금을 긋고 있었다.≪김원일, 도요새에 관한 명상≫
115. 정점 (頂點) [정쩜]
한자: 頂(정수리 정), 點(점 점(:))
「1」맨 꼭대기가 되는 곳.
「2」사물의 진행이나 발전이 최고의 경지에 달한 상태.
「3」‘꼭짓점’의 전 용어.
용례:
- 「1」가장을 정점으로 하는 가족 사회.
- 「1」뒤편에 솟아 있는 되봉산을 정점으로 양쪽으로 나지막하게 흘러내린 산줄기가 소쿠리의 테에 비길 수 있었다.≪송기숙, 암태도≫
- 「2」극적인 정점.
- 「2」정점에 다다르다.
- 「2」이렇게 꿋꿋하던 사나이가 그의 생애 최고의 정점에서 갑자기 교통사고를 당해 허무하게 죽어 버린 것이다.≪홍성원, 육이오≫
116. 종점 (終點) [종쩜]
한자: 終(마칠 종), 點(점 점(:))
「1」기차, 버스, 전차 따위를 운행하는 일정한 구간의 맨 끝이 되는 지점.
「2」일정한 동안의 맨 끝이 되는 때.
용례:
- 「1」이 버스의 종점은 수유리이다.
- 「1」종점에 가까워 올수록 버스는 텅텅 비어 갔다.≪최인호, 지구인≫
- 「1」종점에 내리고 보니 난생처음 와 보는 의정부였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 「2」근대사의 시점과 종점.
- 「2」인생의 종점은 어디인가?
117. 종착점 (終着點) [종착쩜]
한자: 終(마칠 종), 着(붙을 착), 點(점 점(:))
마지막으로 도착하는 지점.
용례:
- 승리의 종착점.
- 당장이라도 포기하고 싶었지만 종착점을 눈앞에 두고 그대로 주저앉을 수는 없었다.
118. 주안점 (主眼點) [주안쩜]
한자: 主(임금/주인 주), 眼(눈 안:), 點(점 점(:))
특히 중점을 두어 살피는 점. 또는 중심이 되는 목표점.
용례:
- 주안점을 두다.
- 이 판화전의 주안점은 판화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을 높이는 것이다.
- 그는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안점을 두고 기업을 경영하였다.
119. 중심점 (中心點) [중심쩜]
한자: 中(가운데 중), 心(마음 심), 點(점 점(:))
「1」어떤 물체의 공간적 중심이 되는 점.
「2」어떤 일이나 현상의 중심이 되는 점.
용례:
- 「1」중심점을 부락 아래쪽 공동 우물로 잡아야 합니다. 그래야 경작지가 살고 숲을 제외할 수 있지요.≪이원규, 훈장과 굴레≫
- 「2」논쟁의 중심점.
- 「2」이 문제는 우선 중심점을 파악해야 한다.
120. 중점 (中點) [중쩜]
한자: 中(가운데 중), 點(점 점(:))
「1」선분이나 호의 길이를 이등분하는 점.
「2」문장 부호의 하나. ‘·’의 이름이다. 열거할 어구들을 일정한 기준으로 묶어서 나타낼 때 쓰거나, 짝을 이루는 어구들 사이에, 공통 성분을 줄여서
하나의 어구로 묶을 때 쓴다.
용례:
「1」사각형 ABCD에 관해 AB, CD 밑 도표 중의 EF의 중점이 일직선상에 있다는 것을 증명하라.≪이병주, 행복어 사전≫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點 점 점 - 1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點 점 점 - 2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點 점 점 - 4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