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정 (苛政) [가:정]
한자: 苛(가혹할 가:), 政(정사(政事) 정)
가혹한 정치.
용례:
독재자의 가정 아래 신음하는 백성.
2. 건전재정 (健全財政) [건:전재정]
한자: 健(굳셀 건:), 全(온전 전), 財(재물 재), 政(정사(政事) 정)
경상적 지출과 경상적 수입이 같아서 균형이 잡힌 재정 상태.
3. 결손재정 (缺損財政) [결쏜재정]
한자: 缺(이지러질 결), 損(덜 손:), 財(재물 재), 政(정사(政事) 정)
조세 같은 경영 수입이 지출보다 부족하여 그 예산이 적자 상태인 국가 재정. 전시(戰時) 재정이나 전후(戰後)의 부흥 재정 따위가 원인이 되는 수가 많다.
4. 경찰행정 (警察行政) [경:찰행정]
한자: 警(깨우칠 경:), 察(살필 찰),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경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행하여지는 행정.
5. 공화정 (共和政) [공:화정]
한자: 共(한가지 공:), 和(화할 화), 政(정사(政事) 정)
「1」공화 정치를 하는 정치 체제.
「2」국민이 선출한 대표자 또는 대표 기관의 의사에 따라 주권이 행사되는 정치. 주권이 한 사람에 의하여 행사되는 것이 아니므로 과두 정치, 귀족 정치도 여기에
포함되나, 근세에 와서는 민주 정치만을 이른다.
용례:
- 「1」공화정을 도입하다.
- 「1」공화정을 세우다.
- 「1」공화정을 수립하다.
- 「1」공화정을 채택하다.
- 「1」공화정이 선포되다.
- 「2」공화정을 실시하다.
6. 관료행정 (官僚行政) [괄료행정]
한자: 官(벼슬 관), 僚(동료 료),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관료들이 획일적·독단적으로 행하는 행정.
용례:
입시 정책에서도 관료 행정의 단기적 안목이 여지없이 드러났다.
7. 관치행정 (官治行政) [관치행정]
한자: 官(벼슬 관), 治(다스릴 치),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국가의 행정 기관이 직접 맡아 하는 행정.
8. 광역행정 (廣域行政) [광:여캥정]
한자: 廣(넓을 광:), 域(지경 역),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하나의 지방 자치 단체 또는 행정 기관이 관할하는 지역보다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지방 행정.
9. 교육재정 (敎育財政) [교:육째정]
한자: 敎(가르칠 교:), 育(기를 육), 財(재물 재), 政(정사(政事) 정)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가 공공 자금으로 교육비를 지급하는 재정.
10. 교육행정 (敎育行政) [교:육행정]
한자: 敎(가르칠 교:), 育(기를 육),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가 교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행하는 행정. 필요한 인적·물적 요소를 조직하고 관리한다.
11. 교통행정 (交通行政) [교통행정]
한자: 交(사귈 교), 通(통할 통),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도로·철도·항공·해운 따위의 운수에 관한 행정.
12. 국가행정 (國家行政) [국까행정]
한자: 國(나라 국), 家(집 가),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국가가 직접적으로 행하는 행정.
13. 국정 (國政) [국쩡]
한자: 國(나라 국), 政(정사(政事) 정)
나라의 정치.
용례:
- 국정 쇄신.
- 국정을 논의하다.
- 국정에 참여하다.
- 민의를 국정에 반영하다.
- 정권은 한 원류에서 나와야 하고 국정과 왕실 사무는 분리돼야 한다고 하는데….≪유주현, 대한 제국≫
14. 군사행정 (軍事行政) [군사행정]
한자: 軍(군사 군), 事(일 사:),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군사 기관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행하는 행정.
15. 군정 (軍政) [군정]
한자: 軍(군사 군), 政(정사(政事) 정)
「1」조선 시대에, 삼정(三政) 가운데 정남(丁男)으로부터 군포(軍布)를 받아들이던 일.
「2」전시(戰時) 또는 전후에 점령지에서 군대가 행하는 임시 행정.
「3」군부가 국가의 실권을 장악하고
행하는 정치.
용례:
- 「2」당은 두 나라를 정복한 다음에 점령지에 군정을 펴고 신라마저 병합할 야욕을 드러냈었다.
- 「2」비슷한 상황은 미군 당국이 군정 실시를 공포한 9월 12일 이후에도 계속되었으며, 이 이외에도 무수한 정치 단체가 난립하였다.≪최일남, 거룩한 응달≫
16. 군정 (郡政) [군:정]
한자: 郡(고을 군:), 政(정사(政事) 정)
지방 자치 단체로서의 군(郡)의 행정.
용례:
지방 자치제 실시 이후 군정에 대한 군민들의 관심이 커졌다.
17. 균형재정 (均衡財政) [균형재정]
한자: 均(고를 균), 衡(저울대 형), 財(재물 재), 政(정사(政事) 정)
경상적 지출과 경상적 수입이 같아서 균형이 잡힌 재정 상태.
18. 긴축재정 (緊縮財政) [긴축째정]
한자: 緊(긴할 긴), 縮(줄일 축), 財(재물 재), 政(정사(政事) 정)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의 예산 규모를 줄이는 재정. 주로 인플레이션 억제를 목적으로 하며, 행정 정리·공공사업의 연기나 중단, 급여 폭의 인하 따위를 실시한다.
19. 난정 (亂政) [난:정]
한자: 亂(어지러울 란:), 政(정사(政事) 정)
어지러운 정치.
용례:
조종(祖宗)의 공기(公器)를…적합하지 않은 사람에게 지나치게 임명하셔서 마침내 난정에 이르게 된다면….≪번역 성종실록≫
20. 내무행정 (內務行政) [내:무행정]
한자: 內(안 내:), 務(힘쓸 무:),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사회의 안녕과 질서를 유지하고 국민의 복리를 증진할 목적으로 하는 행정.
21. 내정 (內政) [내:정]
한자: 內(안 내:), 政(정사(政事) 정)
「1」안식구들에 의한 집안의 살림살이.
「2」국내의 정치.
용례:
- 「1」남의 집 내정에 간섭하지 마라.
- 「2」강대국이 약소국가의 내정을 간섭하는 일이 많다.
22. 노사정 (勞使政) [노사정]
한자: 勞(일할 로), 使(하여금/부릴 사:), 政(정사(政事) 정)
노동자, 사용자, 정부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노사정의 대립 구도.
- 이 문제에 관한 한 노사정 사이의 사회적 합의가 잘 이뤄지고 있다.
23. 농업행정 (農業行政) [농어팽정]
한자: 農(농사 농), 業(업 업),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농작물 생산에 해가 되는 재해를 예방하고 농사법의 개량·발달을 도모하여, 농민의 이익과 행복을 유지할 목적으로 행하는 행정.
24. 농정 (農政) [농정]
한자: 農(농사 농), 政(정사(政事) 정)
「1」농사를 경영하는 일.
「2」‘농업 행정’을 줄여 이르는 말.
용례:
- 「2」농정 쇄신.
- 「2」농정 개혁.
- 「2」훌륭한 농정을 펼치다.
25. 단선단정 (單選單政) [단선단정]
한자: 單(홑 단), 選(가릴 선:), 單(홑 단), 政(정사(政事) 정)
단독 선거와 단독 정부를 아울러 이르는 말.
26. 단정 (單政) [단정]
한자: 單(홑 단), 政(정사(政事) 정)
‘단독 정부’(한 나라의 일부 지역에서 단독으로 구성한 정부.)를 줄여 이르는 말.
용례:
- 단정 수립.
- 단정 반대 운동.
27. 당정 (黨政) [당정]
한자: 黨(무리 당), 政(정사(政事) 정)
정당과 정부를 아울러 이르는 말. 흔히 정당 중에서도 여당과 정부를 이르는 말이다.
용례:
당정 협의.
28. 대리청정 (代理聽政) [대:리청정]
한자: 代(대신할 대:), 理(다스릴 리:), 聽(들을 청), 政(정사(政事) 정)
왕이 병이 들거나 나이가 들어 정사를 제대로 돌볼 수 없게 되었을 때에 세자나 세제가 왕 대신 정사를 돌봄. 또는 그런 일.
용례:
헌종을 낳던 해에 효명 세자는 부왕의 명에 따라 대리청정을 시작하였다.
29. 덕정 (德政) [덕쩡]
한자: 德(큰 덕), 政(정사(政事) 정)
덕으로 다스리는, 어질고 바른 정치.
용례:
- 덕정을 펴다.
- 덕정을 베풀다.
30. 도정 (道政) [도:정]
한자: 道(길 도:), 政(정사(政事) 정)
지방 자치 단체로서의 도(道)의 행정.
용례:
그리고 자기 독단으로 정사를 보지 않고 군민 대회를 열어 대표를 뽑아 가지고 임시로 도정을 베풀어 갔다.≪한설야, 탑≫
31. 민정 (民政) [민정]
한자: 民(백성 민), 政(정사(政事) 정)
「1」민간인에 의한 정치.
「2」국민의 안녕 유지와 행복 증진을 꾀하는 행정.
용례:
「2」민정을 실시하다.
32. 법무행정 (法務行政) [범무행정]
한자: 法(법 법), 務(힘쓸 무:),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법률관계 및 시설의 구성이나 지휘, 감독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는 일.
33. 법원행정 (法院行政) [버붠행정]
한자: 法(법 법), 院(집 원),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국가가 사법 작용을 행하는 통치권을 운영하기 위하여 처리하는 행정 작용. 사법 기관의 유지와 감독, 재판의 집행, 직원의 임면(任免), 법원 내부의 사무 분배, 직원의 배치, 집무 시간의 제정 따위이며, 대법원, 법무부, 검찰청이 이를 맡아서 관리한다.
34. 보육행정 (保育行政) [보:유캥정]
한자: 保(지킬 보(:)), 育(기를 육),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국가나 공공 단체가 사회 공공의 복리 증진을 위하여 직접 공기업을 경영하고, 공기업을 다른 사람에게 특허해 주고, 개인의 사업을 보호·조성하며, 공공의 물건을 유지·관리하는 행정.
35. 복리행정 (福利行政) [봉니행정]
한자: 福(복 복), 利(이할 리:),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국가나 공공 단체가 사회 공공의 복리 증진을 위하여 직접 공기업을 경영하고, 공기업을 다른 사람에게 특허해 주고, 개인의 사업을 보호·조성하며, 공공의 물건을 유지·관리하는 행정.
36. 비정 (秕政) [비:정]
한자: 秕(쭉정이 비:), 政(정사(政事) 정)
백성을 괴롭히고 나라를 잘못되게 하는 정치.
용례:
그 지방 백성들은 비정에 시달리다 못해 봉기하였다.
37. 사법행정 (司法行政) [사버팽정]
한자: 司(맡을 사), 法(법 법),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국가가 사법 작용을 행하는 통치권을 운영하기 위하여 처리하는 행정 작용. 사법 기관의 유지와 감독, 재판의 집행, 직원의 임면(任免), 법원 내부의 사무 분배, 직원의 배치, 집무 시간의 제정 따위이며, 대법원, 법무부, 검찰청이 이를 맡아서 관리한다.
38. 삼림행정 (森林行政) [삼님행정]
한자: 森(수풀 삼), 林(수풀 림),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삼림의 보호·경영·감독에 관한 행정.
39. 서정 (庶政) [서:정]
한자: 庶(여러 서:), 政(정사(政事) 정)
여러 방면에 걸친 정사(政事).
용례:
서정을 개혁하다.
40. 선정 (善政) [선:정]
한자: 善(착할 선:), 政(정사(政事) 정)
백성을 바르고 어질게 잘 다스리는 정치.
용례:
- 선정을 펴다.
- 그중 맏이는 어질고 덕망이 높아, 훗날 부왕이 후사 없이 붕어하자 백성들의 옹립으로 즉위하여 선정을 베풀고….≪최명희, 혼불≫
41. 섭정 (攝政) [섭쩡]
한자: 攝(다스릴/잡을 섭), 政(정사(政事) 정)
군주가 직접 통치할 수 없을 때에 군주를 대신하여 나라를 다스림. 또는 그런 사람.
용례:
사도 세자는 남편의 직계 증조부로 몸이 동궁의 존엄한 자리에 계시고 대리로 섭정까지 하셨으면서도….≪박종화, 전야≫
42. 세정 (稅政) [세:정]
한자: 稅(세금 세:), 政(정사(政事) 정)
세무에 관한 행정.
용례:
- 세정 개혁.
- 현실에 부합하는 유연한 세정을 펴다.
43. 소비자행정 (消費者行政) [소비자행정]
한자: 消(사라질 소), 費(쓸 비:), 者(놈 자), 行(다닐 행(:)), 政(정사(政事) 정)
소비자의 권익 보호를 위한 행정.
용례:
소비자 행정을 펴다.
44. 시정 (市政) [시:정]
한자: 市(저자 시:), 政(정사(政事) 정)
지방 자치 단체로서의 시의 행정.
용례:
김태선 시장은 시정 보고를 형식적으로 한 다음 잠깐 이야기할 것이 있다고 하여 5분간의 말미를 얻었다.≪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45. 시정 (施政) [시:정]
한자: 施(베풀 시:), 政(정사(政事) 정)
정치를 시행함. 또는 그 정치.
용례:
- 시정을 의논하다.
- 시정을 개선하다.
- 공정한 시정을 펴다.
- 문종 등극한 뒤 수년간을 수양이 가슴에 품고도 시행하지 못한 가지가지의 시정을 장차 마음대로 베풀게 될 날도 이르겠지.≪김동인, 대수양≫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政 정사(政事) 정 - 2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