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5

161. 첫정 (첫情) [첟쩡]

한자: 情(뜻 정)

맨 처음으로 든 정.

용례:

저 여자는 이미 첫정 같은 것은 다 잊고 정으로도 이미 내 여자가 된 여자일세.≪송기숙, 녹두 장군≫

162. 촌정 (寸情) [촌:정]

한자: 寸(마디 촌:), 情(뜻 정)

「1」마음이 담긴 작은 선물.
「2」말하는 이가 자기의 생각을 낮추어 이르는 말.

163. 추정 (秋情) [추정]

한자: 秋(가을 추), 情(뜻 정)

가을철에 느끼는 생각이나 분위기.

164. 춘정 (春情) [춘정]

한자: 春(봄 춘), 情(뜻 정)

「1」남녀 간의 정욕.
「2」봄의 정취.

용례:

  • 「1」춘정에 눈뜨다.
  • 「1」춘정이 발동하다.
  • 「1」얼굴은 두 소매로 가리고 타령곡에 맞추어 조금씩 움직이다가 그 움직임이 점점 격렬해지면서 춘정을 못 이긴 파계승의 노골적인 몸부림으로 변한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 「1」이름 없는 젊은 남녀가 이루지 못할 사랑을 비관하고 춘정 어우러진 이 세상을 저주하며 황천길을 떠났다.≪이문희, 흑맥≫
  • 「2」응당 물이 올랐어야 할 버들가지가 마른나무같이 보는 품이 쌀쌀하고, 춘정을 보여도 좋을 잔디밭도 수절 과부인 양 표정이 차갑다. ≪정비석, 비석과 금강산의 대화≫

165. 충정 (忠情) [충정]

한자: 忠(충성 충), 情(뜻 정)

충성스럽고 참된 정.

용례:

  • 애국 애족의 충정.
  • 그의 말은 나라를 생각하는 충정에서 나온 것이다.

166. 충정 (衷情) [충정]

한자: 衷(속마음 충), 情(뜻 정)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참된 정.

용례:

  • 충정으로 권고하다.
  • 충정 어린 충고를 해 주다.
  • 친구를 위한 충정으로 한 일이니 탓하지 않겠다.

167. 취정 (醉情) [취:정]

한자: 醉(취할 취:), 情(뜻 정)

술 취한 가운데 나타나는 친근감.

용례:

취정이 살뜰하다.

168. 치정 (癡情) [치정]

한자: 癡(어리석을 치), 情(뜻 정)

남녀 간의 사랑으로 생기는 온갖 어지러운 정.

용례:

  • 치정 관계.
  • 치정 사건.
  • 자기를 그렇게 만든 남자를 못 잊어 술만 취하면 아무나 붙들고 늦도록 신세타령을 하던 그녀의 치정도 추억하면 눈물겹다.≪이문열, 그해 겨울≫

169. 칠정 (七情) [칠쩡]

한자: 七(일곱 칠), 情(뜻 정)

「1」사람의 일곱 가지 감정. 기쁨(喜)·노여움(怒)·슬픔(哀)·즐거움(樂)·사랑(愛)·미움(惡)·욕심(欲), 또는 기쁨(喜)·노여움(怒)·근심(憂)·생각(思)·슬픔(悲)·놀람(驚)·두려움(恐)을 이른다.
「2」사람이 가지고 있는 일곱 가지 감정. 기쁨(喜)·성냄(怒)·근심(憂)·두려움(懼)·사랑(愛)·미움(憎)·욕심(欲)이다.

170. 침정 (沈情) [침정]

한자: 沈(잠길 침(:)), 情(뜻 정)

감정이 가라앉음. 또는 감정을 가라앉힘.

171. 칭정 (稱情) [칭정]

한자: 稱(일컬을 칭), 情(뜻 정)

뜻에 맞음.

172. 탁정 (託情) [탁쩡]

한자: 託(부탁할 탁), 情(뜻 정)

정을 붙임.

173. 탈정 (奪情) [탈쩡]

한자: 奪(빼앗을 탈), 情(뜻 정)

「1」복(服)을 입는 효심을 빼앗는다는 뜻으로, 부모의 상중에 출사(出仕)를 명함.
「2」남의 정을 억지로 빼앗음.
「3」정기가 몹시 쇠약하여진 상태.

174. 탐정 (探情) [탐정]

한자: 探(찾을 탐), 情(뜻 정)

남의 뜻을 넌지시 살핌.

175. 탕정 (蕩情) [탕:정]

한자: 蕩(방탕할 탕:), 情(뜻 정)

방탕한 마음.

176. 토정 (吐情) [토:정]

한자: 吐(토할 토(:)), 情(뜻 정)

사정이나 심정을 솔직하게 말함.

177. 통사정 (通事情) [통사정]

한자: 通(통할 통), 事(일 사:), 情(뜻 정)

「1」딱하고 안타까운 형편을 털어놓고 말함.
「2」남에게 자기의 의사를 표현함.

용례:

  • 「1」지폰남이는 꿇어 엎드린 채 고개를 들고 그를 쳐다보면서 통사정을 하듯이 울먹거리며 말했었다.≪한승원, 해일≫
  • 「1」한번 만나 주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여러 말로 타일러 보기도 하고 통사정도 해 보았으나, 대불이는 끝내 생각을 고쳐먹지 않았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2」노어 강습소가 여기저기 생겨서 젊은 사람들은 한 달쯤 배우면 웬만한 통사정은 한다 하니….≪염상섭, 짖지 않는 개≫

178. 통심정 (通心情) [통심정]

한자: 通(통할 통), 心(마음 심), 情(뜻 정)

서로 마음을 주고받음.

179. 통인정 (通人情) [통인정]

한자: 通(통할 통), 人(사람 인), 情(뜻 정)

서로 마음을 주고받음.

180. 통정 (通情) [통정]

한자: 通(통할 통), 情(뜻 정)

「1」서로 마음을 주고받음.
「2」남에게 자기의 의사를 표현함.

「3」남녀가 정을 통함.
「4」세상 일반의 사정이나 인정.

용례:

  • 「1」병직 군은 사실 이 세상에 그 알몸뚱이 하나밖에 없는 고아요 가까운 친구라고도 통정을 하고 지내는 사람은 나 하나밖에 없다고 할 만한 처지였다.≪주요섭, 미완성≫
  • 「2」기탁은 내게 인탁에게도 통정은 말라고 일렀다.≪김구, 백범일지≫
  • 「2」너는 내 장자니까 말이야 누구에게보다도 네게다 먼저 통정을 하는 거니 말이야….≪김말봉, 찔레꽃≫
  • 「3」남의 여편네와 통정을 하면 새해에 일이 잘 풀리고….≪유재용, 성역≫
  • 「4」번연히 내일모레면 다 알게 될 값이라도, 되도록 그런 기색을 숨기려고 드는 것이 통정이었다. ≪채만식, 논 이야기≫

181. 통하정 (通下情) [통하정]

한자: 通(통할 통), 下(아래 하:), 情(뜻 정)

아랫사람의 사정을 잘 알아줌.

182. 투정 (妬情) [투정]

한자: 妬(샘낼 투), 情(뜻 정)

투기하는 마음.

183. 파정 (破情) [파:정]

한자: 破(깨뜨릴 파:), 情(뜻 정)

사리(事理)의 본성을 알기 위하여 먼저 미혹의 집착을 없애 버림.

184. 편정 (偏情) [편정]

한자: 偏(치우칠 편), 情(뜻 정)

감정이나 정에 치우침.

185. 표정 (表情) [표정]

한자: 表(겉 표), 情(뜻 정)

마음속에 품은 감정이나 정서 따위의 심리 상태가 겉으로 드러남. 또는 그런 모습.

용례:

  • 밝은 표정.
  • 표정을 살피다.
  • 표정을 고치다.
  • 슬픈 표정을 짓다.
  • 표정이 없다.
  • 표정이 풍부하다.
  • 그는 불만스러운 표정을 감추고 어색하게 웃었다.
  • 감독의 말에 젊은이는 약간 어리둥절한 표정이 되었다.≪황석영, 객지≫

186. 풋정 (풋情) [푿쩡]

한자: 情(뜻 정)

아직 깊지 못한 정.

용례:

  • 하룻밤의 풋정으로 툭툭 털어 버리고 떠나면 이튿날에는 사내의 얼굴마저 잊힐 테고….≪황석영, 장길산≫
  • 줄곧 천막 안에서만 생활하다가 비로소 이제 떠날 무렵에야 낯선 도시가 제법 풋정이 든다.≪최인호, 지구인≫

187. 풍정 (風情) [풍정]

한자: 風(바람 풍), 情(뜻 정)

「1」정서와 회포를 자아내는 풍치나 경치.
「2」세상의 이러저러한 실정이나 형편.

용례:

  • 「1」이제 잃어버린 선학동의 옛 풍정을 되새기듯 아쉬운 상념 속을 헤매 들기 시작했다.≪이청준, 선학동 나그네≫
  • 「2」세상 풍정을 모르다.
  • 「2」처음에는 온순할 뿐 아니라 도리어 이국 풍정에 어두우니만치 처음에는 공포를 품는 것이 보통이지만….≪염상섭, 만세전≫

188. 하정 (下情) [하:정]

한자: 下(아래 하:), 情(뜻 정)

「1」어른에게 대하여, 자기 심정이나 뜻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2」아랫사람들의 사정.

용례:

  • 「1」오죽 새로이 망극하옵실까 하정에 통박하옵나이다.≪한무숙, 이사종의 아내≫
  • 「2」감사 이윤경이 사람이 자상하여 하정을 잘 살피는 까닭에….≪홍명희, 임꺽정≫
  • 「2」홍섭이 아내에게는 자기 남편같이 상냥하고 하정 잘 알고 싹싹한 사람은 다시없다.≪한설야, 탑≫

189. 한정 (閑情) [한정]

한자: 閑(한가할 한), 情(뜻 정)

한가로운 심정.

190. 핵정 (劾情) [핵쩡]

한자: 劾(꾸짖을 핵), 情(뜻 정)

일의 정상을 조사하여 따짐.

191. 호감정 (好感情) [호:감정]

한자: 好(좋을 호:), 感(느낄 감:), 情(뜻 정)

좋게 여기는 감정.(호정)

192. 환정 (宦情) [환:정]

한자: 宦(벼슬 환:), 情(뜻 정)

벼슬을 하고 싶어 하는 마음.

193. 환정 (歡情) [환정]

한자: 歡(기쁠 환), 情(뜻 정)

기뻐하고 즐거워하는 마음.

194. 회정 (懷情) [회정]

한자: 懷(품을 회), 情(뜻 정)

마음에 품은 정의(情誼)나 애정을 아울러 이르는 말.

195. 효정 (效情) [효:정]

한자: 效(본받을 효:), 情(뜻 정)

참된 정을 다함.

196. 후정 (厚情) [후:정]

한자: 厚(두터울 후:), 情(뜻 정)

남에게 두터이 인정을 베푸는 마음.

용례:

떨고 있는 자녀들과 지붕에 모여 있는 닭들을 내려다보고 한숨을 쉬며 두 동무의 후정을 거절한 것을 절절히 후회하였다.≪박화성, 홍수 전후≫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情 뜻 정 - 4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