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節 마디 절 - 1

1. 가동관절 (可動關節) [가:동관절]

한자: 可(옳을 가:), 動(움직일 동:), 關(관계할 관), 節(마디 절)

움직임이 비교적 자유롭게 일어날 수 있는 관절. 이웃한 뼈가 관절 주머니에 둘러싸여 연결되며 그 속은 윤활액이 차 있다.

2. 가절 (佳節) [가:절]

한자: 佳(아름다울 가:), 節(마디 절)

「1」좋은 시절이나 계절.
「2」좋은 명절.

용례:

  • 「1」신록의 가절입니다. 댁내 모두 무고하신지요.
  • 「1」추운 겨울이 지나고 춘삼월 가절이 돌아왔다.
  • 「2」설, 추석이 연중에 가장 큰 명절이지만 양기가 천지에 가득 찬 날이라 그 못지않은 가절이 단옷날이었다.≪최명희, 혼불≫

3. 감사절 (感謝節) [감:사절]

한자: 感(느낄 감:), 謝(사례할 사:), 節(마디 절)

기독교 신자들이 한 해에 한 번씩 가을 곡식을 거둔 뒤에 하나님께 감사 예배를 올리는 날. 1620년에 영국 청교도들이 미국으로 이주한 다음 해 가을에 처음으로 거둔 수확으로 감사제를 지낸 데서 유래한다.

4. 강림절 (降臨節) [강:님절]

한자: 降(내릴 강:), 臨(임할 림), 節(마디 절)

그리스도의 성탄을 기념하기 위한 성탄 전 4주간.

5. 개천절 (開天節) [개천절]

한자: 開(열 개), 天(하늘 천), 節(마디 절)

「1」우리나라의 건국을 기념하기 위하여 제정한 국경일. 기원전 2333년에 단군이 왕검성에 도읍을 정하고 나라 이름을 조선(朝鮮)이라 짓고 즉위한 날로, 10월 3일이다.
「2」‘개천일’을 경절(慶節)로 이르는 말.

6. 견관절 (肩關節) [견관절]

한자: 肩(어깨 견), 關(관계할 관), 節(마디 절)

위팔뼈와 어깨뼈 사이의 관절. 우리 몸에서 가장 움직임이 자유롭다.

7. 결절 (結節) [결쩔]

한자: 結(맺을 결), 節(마디 절)

「1」맺혀서 이루어진 마디.
「2」뼈에 두툼하게 솟은 부분.
「3」살갗 밑에 비정상적인 조직이 생겨서 강낭콩 또는 그보다 크게 겉으로 솟아난 것.

용례:

「3」주연을 맡은 배우가 계속되는 공연과 극심한 스트레스로 성대에 결절이 생기고 말았다.

8. 경절 (慶節) [경:절]

한자: 慶(경사 경:), 節(마디 절)

「1」온 국민이 기념하는 경사스러운 날.
「2」제왕·후비·태자의 탄일.

용례:

  • 「1」일본이나 구미 제국에서는 나라의 경절이나 개인의 큰 잔치에 가든파티라는 것을 열지요.≪유주현, 대한 제국≫
  • 「2」경절에 진상하는 표피(豹皮)와 무공(無孔) 녹비는 본래 일정한 수가 없고….≪번역 세종실록≫

9. 경제사절 (經濟使節) [경제사:절]

한자: 經(지날/글 경), 濟(건널 제:), 使(하여금/부릴 사:), 節(마디 절)

국가의 경제 문제를 국제적으로 해결하거나 이에 관한 협조를 얻기 위하여 사명을 띠고 남의 나라에 가는 사람.

용례:

정부는 뒤늦게 경제 사절 순회 대사를 선발하여 미국, 일본 등지에 파견할 움직임이다.

10. 계절 (季節) [계:절]

한자: 季(계절 계:), 節(마디 절)

규칙적으로 되풀이되는 자연 현상에 따라서 일 년을 구분한 것. 일반적으로 온대 지방은 기온의 차이를 기준으로 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네 계절로 나누고, 열대 지방에서는 강우량을 기준으로 하여 건기와 우기로 나눈다. 천문학적으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로 나눈다.

용례:

  • 가을은 독서의 계절.
  • 계절이 바뀌다.
  • 나는 계절을 타지 않는 사업을 구상하고 있다.
  • 중국의 화남 지방은 계절에 관계없이 1년에 이모작을 할 수 있다.

11. 고관절 (股關節) [고관절]

한자: 股(넓적다리 고), 關(관계할 관), 節(마디 절)

볼기뼈의 절구와 넙다리뼈 머리 사이의 관절.

12. 고난절 (苦難節) [고난절]

한자: 苦(쓸[味覺] 고), 難(어려울 난(:)), 節(마디 절)

예수의 수난과 죽음을 기념하는 기간. 부활절 전의 2주일 동안으로, 3월 하순에서 4월 상순에 해당한다.

13. 고절 (孤節) [고절]

한자: 孤(외로울 고), 節(마디 절)

「1」홀로 깨끗하게 지키는 절개.
「2」서릿발이 내린 추위 속에서도 홀로 피어 절개를 지키는 국화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열녀의 고절.
  • 「1」충신의 고절.
  • 「1」고절을 지키다.
  • 「1」멀리 해외에서 다년간 조국 광복을 위해 싸웠고 이십칠팔 년이나 지켜 온 고절이 있지 않소?≪이태준, 해방 전후≫

14. 고절 (苦節) [고절]

한자: 苦(쓸[味覺] 고), 節(마디 절)

어려운 지경에 빠져도 변하지 아니하고 끝까지 지켜 나가는 굳은 절개.

용례:

  • 우국지사의 고절.
  • 나는 세상에 섞이지 아니하고 내가 생각하는 사람을 위하여 육칠 년간 고절을 지켰다.≪이광수, 무정≫

15. 고절 (高節) [고절]

한자: 高(높을 고), 節(마디 절)

높은 절개.

용례:

충신의 고절.

16. 곡절 (曲節) [곡쩔]

한자: 曲(굽을 곡), 節(마디 절)

절개를 꺾음.

17. 곡절 (曲節) [곡쩔]

한자: 曲(굽을 곡), 節(마디 절)

악곡의 마디.

용례:

어디선가 낡은 유행가가 확성기에서 흘러나오고 있었다. 홈이 엇갈렸는지 아까부터 자꾸 같은 곡절만 되풀이하고 있었다.≪최인호, 지구인≫

18. 골관절 (骨關節) [골관절]

한자: 骨(뼈 골), 關(관계할 관), 節(마디 절)

뼈와 뼈가 서로 맞닿아 연결되어 있는 곳. 움직일 수 없는 관절과 움직일 수 있는 관절이 있다.

19. 관등절 (觀燈節) [관등절]

한자: 觀(볼 관), 燈(등 등), 節(마디 절)

‘초파일’을 달리 이르는 말. 관등하는 명절이라는 뜻이다.

용례:

그녀의 얼굴보다 더 붉게 물들여진, 수박처럼 둥글둥글한 종이 등들이 천장이며 뜰 안을 온통 메우고 있다. 관등절의 오후였다.≪김정한, 수라도≫

20. 관절 (關節) [관절]

한자: 關(관계할 관), 節(마디 절)

뼈와 뼈가 서로 맞닿아 연결되어 있는 곳. 움직일 수 없는 관절과 움직일 수 있는 관절이 있다.

용례:

관절에 염증이 생겨 쑤신다.

21. 관절 (關節) [관절]

한자: 關(관계할 관), 節(마디 절)

중요한 자리에 있는 사람에게 뇌물을 주고 청탁하던 일.

22. 관형절 (冠形節) [관형절]

한자: 冠(갓 관), 形(모양 형), 節(마디 절)

관형사형 어미와 결합하여 관형어의 구실을 하는 절(節). ‘철수가 온다는 소식을 들었다.’에서 ‘철수가 온다는’처럼 종결형 어미로 끝난 문장에 ‘-는’ 같은 관형사형 어미가 결합하거나, ‘네가 좋아할 일이 생겼다.’에서 ‘네가 좋아할’처럼 종결형 어미가 올 자리에 ‘-(으)ㄹ, -(으)ㄴ’ 같은 관형사형 어미가 결합하여 뒤의 체언을 꾸민다.

23. 광복절 (光復節) [광복쩔]

한자: 光(빛 광), 復(회복할 복), 節(마디 절)

우리나라의 광복을 기념하기 위하여 제정한 국경일. 1945년, 우리나라가 일본 제국주의자들에게 빼앗겼던 나라의 주권을 다시 찾은 날로, 8월 15일이다.

24. 구구절절 (句句節節) [구구절절]

한자: 句(글귀 구), 句(글귀 구), 節(마디 절), 節(마디 절)

[Ⅰ]모든 구절.
[Ⅱ]말 한 마디 한 마디마다.

용례:

  • [Ⅰ]구구절절에 정성이 어린 편지.
  • [Ⅱ]아버님의 훈계는 구구절절 내 마음에 와닿았다.
  • [Ⅱ]네 말이 구구절절 옳다.
  • [Ⅱ]어머니는 끊임없이 아쉬운 편지를 구구절절 애처롭게 보내왔다.

25. 구절 (句節) [구절]

한자: 句(글귀 구), 節(마디 절)

「1」한 토막의 말이나 글.
「2」구(句)와 절(節)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1」유행가 구절.
  • 「1」유명한 구절.
  • 「1」시의 한 구절.
  • 「1」풍경을 묘사한 구절.
  • 「1」책에서 좋은 구절을 뽑아 인용하다.
  • 「1」이 글에는 친구를 그리워하는 마음이 구절마다 배어 있다.
  • 「1」소설을 읽어 내려가는 동안에 한두 번은 눈시울이 뜨거워지는 구절들이 있다.≪김소운, 일본의 두 얼굴≫

26. 구절구절 (句節句節) [구절구절]

한자: 句(글귀 구), 節(마디 절), 句(글귀 구), 節(마디 절)

[Ⅰ]모든 구절.
[Ⅱ]말 한 마디 한 마디마다.

용례:

  • [Ⅰ]그 책은 구절구절에 삶의 향기가 가득 배어 있었다.
  • [Ⅰ]문득 그 편지의 구절구절이 머리에 떠올랐다.
  • [Ⅰ]그의 소설은 구절구절이 다 주옥같이 아름답다.
  • [Ⅱ]그의 말에는 이별의 슬픔이 구절구절 배어 있다.
  • [Ⅱ]그들은 이 글에 조국을 잃고 비통해하는 심정을 구절구절 새겨 놓았다.

27. 궁절 (窮節) [궁절]

한자: 窮(다할/궁할 궁), 節(마디 절)

묵은 곡식은 다 떨어지고 햇곡식은 아직 익지 아니하여 식량이 궁핍한 봄철의 때.

용례:

궁절이 오면 사람들은 나무껍질로 끼니를 잇기도 했다.

28. 기념절 (紀念節) [기념절]

한자: 紀(벼리 기), 念(생각 념:), 節(마디 절)

기념할 만한 국경일이나 명절.

용례:

기념절 행사에 참석하다.

29. 기본예절 (基本禮節) [기본녜:절]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禮(예도 례:), 節(마디 절)

가장 밑바탕이 되고 중요한 예의범절.

30. 기절 (氣節) [기절]

한자: 氣(기운 기), 節(마디 절)

「1」굽힐 줄 모르는 기개와 절조.
「2」일 년의 이십사절기와 칠십이후를 통틀어 이르는 말. ‘기’는 15일, ‘후’는 5일을 뜻한다.

용례:

「1」삼가 바라건대 전하께서는 곧은 기절을 배양하시고 선비들의 습속을 바로잡아 공론이 크게 행하게 한다면 대간이 그 직임을 다하게 될 것입니다.≪번역 중종실록≫

31. 내정범절 (內政凡節) [내:정범:절]

한자: 內(안 내:), 政(정사(政事) 정), 凡(무릇 범(:)), 節(마디 절)

집안 살림살이의 모든 질서나 절차.

용례:

  • 여동생은 어려서부터 어머니에게 내정범절을 익혔다.
  • 영감마님은 좀 인자스러운 것 같으나 내정범절에 눈치가 무디고….≪한설야, 탑≫

32. 노동절 (勞動節) [노동절]

한자: 勞(일할 로), 動(움직일 동:), 節(마디 절)

「1」메이데이에 대하여 대한 노총이 1957년에 3월 10일로 정한 날. 1963년에 근로자의 날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1994년부터는 5월 1일로 날짜가 바뀌었다.
「2」매년 5월 1일에 여는 국제적 노동제.

33. 단관절 (單關節) [단관절]

한자: 單(홑 단), 關(관계할 관), 節(마디 절)

어깨나 다리의 관절과 같이 두 개의 뼈로 이루어진 관절.

34. 단음절 (單音節) [다늠절]

한자: 單(홑 단), 音(소리 음), 節(마디 절)

음절의 수가 하나인 음절.

용례:

‘강’, ‘소’ 따위는 단음절 단어이다.

35. 당절 (當節) [당절]

한자: 當(마땅 당), 節(마디 절)

「1」꼭 알맞은 시절.
「2」바로 그 시절.

용례:

  • 「1」고기들이 살도 올랐고 떼 지어 활발히 이동하는 것도 이제부터다. 일 년 중 강물과 제일 즐길 수 있는 당절에 그만 금족을 당하는 것이었다.≪이태준, 해방 전후≫
  • 「2」옛날 큰돈을 지니고 미두를 하던 당절, 이문을 보면 한판…친구와 얼려 먹고 놀던 호기는 가시잖아….≪채만식, 탁류≫

36. 대관절 (大關節) [대:관절]

한자: 大(큰 대(:)), 關(관계할 관), 節(마디 절)

여러 말 할 것 없이 요점만 말하건대.

용례:

  • 대관절 어떻게 된 일입니까?
  • 그는 고사하고 대관절 경애가 왜 저렇게 술을 먹는 것인가?≪염상섭, 삼대≫

37. 대림절 (待臨節) [대:림절]

한자: 待(기다릴 대:), 臨(임할 림), 節(마디 절)

예수 성탄 대축일을 준비하고 기다리는 성탄 전 4주간. 교회에서 전례색으로 자주색을 쓰며 영광송을 부르지 않고 결혼식도 올리지 않는다.

38. 동절 (冬節) [동:절]

한자: 冬(겨울 동(:)), 節(마디 절)

계절이 겨울인 때.

용례:

  • 적도 아프리카는 6월부터 8월까지 석달 동안의 건조기가 동절인데….≪유치환, 나는 고독하지 않다≫
  • 난데없는 춘양의 작용에 이 동절의 산물이 힘없이도 녹을 뿐 아니라….≪김진섭, 인생 예찬≫

39. 만고정절 (萬古貞節) [만:고정절]

한자: 萬(일만 만:), 古(예 고:), 貞(곧을 정), 節(마디 절)

세상에 비길 데 없는 정절.

용례:

만고정절 춘향이도 문장 태백 높아 있고, 사임당에 허난설헌, 열 남자가 부럽잖다.≪최명희, 혼불≫

40. 만수성절 (萬壽聖節) [만:수성:절]

한자: 萬(일만 만:), 壽(목숨 수), 聖(성인 성:), 節(마디 절)

「1」대한 제국 때에, 황제의 생일을 기념하던 날. 광무 원년(1897)에 제정하였다.
「2」옛 중국에서, 천자의 생일을 기념하던 날.

용례:

「2」마침내 여러 동지와 더불어 혁명 단체를 조직하고, 그해 시월의 서 태후 만수 성절에 폭동을 일으키려 하다가 장지동의 탐문한 바 되어….≪한용운, 흑풍≫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節 마디 절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節 마디 절 - 3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