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만수절 (萬壽節) [만:수절]
한자: 萬(일만 만:), 壽(목숨 수), 節(마디 절)
「1」대한 제국 때에, 황제의 생일을 기념하던 날. 광무 원년(1897)에 제정하였다.
「2」옛 중국에서, 천자의 생일을 기념하던 날.
용례:
- 「1」고종의 탄생일인 만수절에는 으레 감사나 수령들이 서로 다투어 봉물을 올렸으며….≪문순태, 타오르는 강≫
- 「2」내 만수절은 전무후무해야 한다. 서 태후는 호령하기 시작했다.≪유주현, 대한 제국≫
42. 만우절 (萬愚節) [마:누절]
한자: 萬(일만 만:), 愚(어리석을 우), 節(마디 절)
가벼운 거짓말로 서로 속이면서 즐거워하는 날. 4월 1일이다.
용례:
오늘이 만우절인지 모르고 있다가 그의 거짓말에 깜빡 속았다.
43. 만절 (晩節) [만:절]
한자: 晩(늦을 만:), 節(마디 절)
오래도록 지키는 절개.
용례:
일생을 평온히 지난 대감네들이 만년에 ‘무능’ 두 자의 아호를 얻어서야 되겠소이까? 만절을 더럽히지 않도록….≪김동인, 대수양≫
44. 매절 (每節) [매:절]
한자: 每(매양 매(:)), 節(마디 절)
[Ⅰ]「1」한 구절 한 구절.
[Ⅰ]「2」한 절기 한 절기.
[Ⅰ]「3」한 음절 한 음절.
[Ⅱ]「1」한 구절 한 구절마다.
[Ⅱ]「2」한 절기 한 절기마다.
[Ⅱ]「3」한
음절 한 음절마다.
용례:
- [Ⅰ]「1」매절을 끊어 읽다.
- [Ⅰ]「3」그는 아이들이 알아듣기 쉽게 하려고 매절을 또박또박 발음했다.
- [Ⅱ]「1」애절한 심정이 매절 스며 있다.
- [Ⅱ]「2」그는 봄, 여름, 가을, 겨울, 매절 반드시 여행을 했다.
- [Ⅱ]「3」그는 매절 강세를 두었다.
45. 맥추절 (麥秋節) [맥추절]
한자: 麥(보리 맥), 秋(가을 추), 節(마디 절)
보리 수확기의 명절이라는 뜻으로, 팔레스타인에서 지내던 기독교 추수 감사절의 시원이 되는 명절.
46. 명사절 (名詞節) [명사절]
한자: 名(이름 명), 詞(말/글 사), 節(마디 절)
명사 구실을 하는 절. ‘철수가 그 어려운 일을 해냈음이 분명하다.’에서 ‘철수가 그 어려운 일을 해냈음’ 따위이다.
47. 명절 (名節) [명절]
한자: 名(이름 명), 節(마디 절)
「1」해마다 일정하게 지키어 즐기거나 기념하는 때. 우리나라에는 설날, 대보름날, 단오, 추석, 동짓날 따위가 있다.
「2」국가나 사회적으로 정하여 경축하는 기념일.
용례:
- 「1」명절을 맞다.
- 「1」명절을 쇠다.
- 「1」추석이 다가오자 명절 기분이 곁들여 좀 술렁거렸다.≪송기숙, 암태도≫
48. 무교절 (無酵節) [무교절]
한자: 無(없을 무), 酵(삭힐 효:), 節(마디 절)
유대인 달력으로 유월절 다음 날인 1월 15일부터 21일까지의 한 주일. 이 기간 동안 무교병을 먹으며 출애굽의 수난과 하나님의 은혜를 기념한다.
49. 무릎관절 (무릎關節) [무릅관절]
한자: 關(관계할 관), 節(마디 절)
무릎에 있는 관절. 무릎을 구부렸다 폈다 할 때 쓴다.
50. 무절 (無節) [무절]
한자: 無(없을 무), 節(마디 절)
마디가 없음.
용례:
심산에서 잘 자란 소나무는 무절로 크다시피 하므로 골재와 판재에 어느 모로나 요긴한 목재이다.
51. 방절 (芳節) [방절]
한자: 芳(꽃다울 방), 節(마디 절)
꽃다운 아름다운 철이란 뜻으로 ‘봄철’을 이르는 말.
용례:
춘삼월 방절을 맞아 산과 들에는 행락객으로 붐비었다.
52. 범절 (凡節) [범:절]
한자: 凡(무릇 범(:)), 節(마디 절)
법도에 맞는 모든 질서나 절차.
용례:
- 범절에 어긋나다.
- 범절이 바르다.
- 드문 미모와 어린 나이에 단아한 행신 범절도 놀랍거니와 그녀는 그 나이에는 믿어지지 않을 만큼 필적이 뛰어났다.≪한무숙, 만남≫
53. 변절 (變節) [변:절]
한자: 變(변할 변:), 節(마디 절)
「1」절개나 지조를 지키지 않고 바꿈.
「2」계절이 바뀜.
용례:
- 「1」충신으로 알려진 그의 변절은 뜻밖이었다.
- 「1」병화가 정말 그렇게까지 전향인지 변절인지를 하였을까?≪염상섭, 삼대≫
- 「1」내게는 자네같이 변절의 혐의가 가는 좌절 분자 내지 청산 분자를 취조할 권한이 있네.≪이문열, 영웅시대≫
54. 복합관절 (複合關節) [보캅관절]
한자: 複(겹칠 복), 合(합할 합), 關(관계할 관), 節(마디 절)
두 개 이상의 뼈로 이루어진 관절. 팔꿈치 관절 따위가 있다.
55. 부사절 (副詞節) [부:사절]
한자: 副(버금 부:), 詞(말/글 사), 節(마디 절)
부사어의 구실을 하는 절. ‘빙수는 이가 시리게 차가웠다’에서 ‘이가 시리게’ 따위이다.
56. 부활절 (復活節) [부:활쩔]
한자: 復(다시 부:), 活(살 활), 節(마디 절)
「1」예수의 부활을 기념하는 축일. 춘분(春分) 뒤의 첫 만월(滿月) 다음에 오는 일요일이다.
「2」부활 주일로부터 일주일 또는 50일 동안의 기간.
57. 분절 (分節) [분절]
한자: 分(나눌 분(:)), 節(마디 절)
「1」사물을 마디로 나눔. 또는 그렇게 나눈 마디.
「2」사고 및 행동에서, 전체와의 관련을 가지면서도 별도로 고찰할 수 있는 구성 부분.
「3」말소리의 산출에 관여하는 발음 기관 즉, 성대,
목젖, 혀, 이, 입술 따위의 움직임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1」학문의 전문화는 하위 영역 사이의 분절을 초래하였다.
58. 사계절 (四季節) [사:계절]
한자: 四(넉 사:), 季(계절 계:), 節(마디 절)
봄·여름·가을·겨울의 네 철.
용례:
- 사계절이 뚜렷한 나라.
- 하루 속에 사계절이 다 들어 있는 것처럼 변덕스러운 이상 기온이 연일 계속되었다.≪윤흥길, 완장≫
59. 사순절 (四旬節) [사:순절]
한자: 四(넉 사:), 旬(열흘 순), 節(마디 절)
부활 주일 전 40일 동안의 기간. 이 기간 동안 교인들은 광야에서 금식하고 시험받은 그리스도의 수난을 되살리기 위하여 단식과 속죄를 행한다.
60. 사절 (四節) [사:절]
한자: 四(넉 사:), 節(마디 절)
봄·여름·가을·겨울의 네 철.
용례:
산수 좋은 곳에 초가삼간 지어 놓고 전후좌우에 갖은 화초 심어 놓고 꽃 냄새가 사절 끊이지 않는 속에 계향이의 가야금이나 듣고 누웠으면 대장부 살림살이 그만해도 족하려니….≪홍명희, 임꺽정≫
61. 사절 (使節) [사:절]
한자: 使(하여금/부릴 사:), 節(마디 절)
「1」나라를 대표하여 일정한 사명을 띠고 외국에 파견되는 사람.
「2」중국에서, 외국에 가는 사신에게 지참하게 하던 부절(符節).
용례:
- 「1」친선 사절.
- 「1」사절을 보내다.
62. 삼일절 (三一節) [사밀쩔]
한자: 三(석 삼), 一(한 일), 節(마디 절)
국권 회복을 위해 민족자존의 기치를 드높였던 선열들의 위업을 기리고 1919년의 3·1 독립 정신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민족의 단결과 애국심을 고취하기 위하여 제정한 국경일. 3월 1일이다.
63. 생수절 (生守節) [생수절]
한자: 生(날 생), 守(지킬 수), 節(마디 절)
남편이 죽은 것도 아닌 상태에서 하는 수절.
용례:
고 씨는 그리하여, 그처럼 오랫동안 생수절을 하고 살아오다가, 마침내 단산할 나이에 이르렀습니다.≪채만식, 태평천하≫
64. 생식절 (生殖節) [생식쩔]
한자: 生(날 생), 殖(불릴 식), 節(마디 절)
「1」생식 기관 형성에 관여하는 배(胚)에 있는 체절(體節).
「2」곤충의 수컷에 있는 복부의 제9체절.
65. 성령강림절 (聖靈降臨節) [성:녕강:님절]
한자: 聖(성인 성:), 靈(신령 령), 降(내릴 강:), 臨(임할 림), 節(마디 절)
성령이 세상에 내려와 성도에게 임한 것을 기념하는 날. 신약 성경의 <사도행전>에 의하면 오순절에 성령이 교도들에게 강림하였다.
66. 성탄절 (聖誕節) [성:탄절]
한자: 聖(성인 성:), 誕(낳을/거짓 탄:), 節(마디 절)
예수가 태어난 날을 기념하는 날. 12월 25일이다.
용례:
- 성탄절 예배.
- 멀리 교회당 뾰족지붕 꼭대기엔 별 모양의 전구가 점화되어 성탄절이 임박하고 있다는 걸 일깨워 주고 있었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67. 소절 (小節) [소:절]
한자: 小(작을 소:), 節(마디 절)
「1」대수롭지 아니한 예절.
「2」대의에 뜻을 두지 아니한 작은 절조.
「3」말, 글, 노래 따위의 한 도막.
「4」작은 옹이만이 있는 목재.
「5」악보에서, 세로줄과 세로줄로
구분된 부분.
용례:
- 「1」조정에서 그들을 대할 때에도 그들의 장점만 취해야지 소절을 지키지 못한다고 꾸짖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번역 현종실록≫
- 「3」입이라도 막힌 듯 그 노랫소리는 한 소절도 끝나기 전에 끊어지고 이어 달래는 듯한 명인의 소리가 들려왔다.≪이문열, 영웅시대≫
- 「3」밤이면 한 소절씩 파적 삼아 빈방에서 조금조금 적어 본 것이 바로 이 가사였다.≪최명희, 혼불≫
68. 소절 (素節) [소:절]
한자: 素(본디/흴[白] 소(:)), 節(마디 절)
「1」‘가을철’을 달리 이르는 말. 오행설(五行說)에서 흰빛은 가을에 해당한다는 데서 유래한다.
「2」때 묻지 아니한 깨끗한 절개.
「3」평소의 행실.
용례:
「2」이황은 조식과 더불어 비록 왕래하며 상종하지는 않았으나, 그의 소절을 허여하고 그의 훌륭한 점을 취한 것이 자못 깊었습니다.≪번역 광해군일기≫
69. 수장절 (收藏節) [수장절]
한자: 收(거둘 수), 藏(감출 장:), 節(마디 절)
유대인의 추수 경축절. 후에는 광야를 방랑할 때 하나님이 인도한 일을 기념하는 명절이 되었다.
70. 수절 (守節) [수절]
한자: 守(지킬 수), 節(마디 절)
「1」절의(節義)를 지킴.
「2」정절을 지킴.
용례:
- 「2」수절 과부.
- 「2」거기에는 십 년 수절 끝에 그만 젊은 물장수를 자기 방에 불러들인 지난날의 열녀가 무릎을 꿇고 회한의 눈물을 흘리고 있는 것입니다.≪장용학, 원형의 전설≫
71. 순절 (殉節) [순절]
한자: 殉(따라죽을 순), 節(마디 절)
충절(忠節)이나 정절(貞節)을 지키기 위하여 죽음.
용례:
민족의 활기찬 새 미래상을 당겨 오는 일에 오로지 뜨겁게 투신한다는 순절의 정신으로 두 눈이 이글이글 불타고 있다.≪이호철, 문≫
72. 슬관절 (膝關節) [슬관절]
한자: 膝(무릎 슬), 關(관계할 관), 節(마디 절)
‘무릎 관절’(무릎에 있는 관절. 무릎을 구부렸다 폈다 할 때 쓴다.)의 전 용어.
73. 승천절 (昇天節) [승천절]
한자: 昇(오를 승), 天(하늘 천), 節(마디 절)
예수의 승천을 기념하는 행사. 부활절 뒤 40일이 되는 날에 행한다.
74. 시구절 (詩句節) [시꾸절]
한자: 詩(시 시), 句(글귀 구), 節(마디 절)
시의 구절.
용례:
우리는 그 모임에서 서로가 외운 시구절만 가지고도 몇 시간을 대화할 수 있었다.
75. 시절 (時節) [시절]
한자: 時(때 시), 節(마디 절)
「1」일정한 시기나 때.
「2」규칙적으로 되풀이되는 자연 현상에 따라서 일 년을 구분한 것. 일반적으로 온대 지방은 기온의 차이를 기준으로 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네 계절로 나누고, 열대
지방에서는 강우량을 기준으로 하여 건기와 우기로 나눈다. 천문학적으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로 나눈다.
「3」철에 따르는 날씨.
「4」세상의 형편.
용례:
- 「1」청년 시절.
- 「1」대학생 시절.
- 「1」농사짓던 시절.
- 「1」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
- 「1」험난하던 시절을 돌이켜 보다.
- 「1」지난 시절을 회상하다.
- 「1」나는 어린 시절로 돌아가고 싶다.
- 「1」어려운 시절에 아기를 가진 삼촌은 먹을 것을 구하느라고 그야말로 눈이 벌게 있었다.≪현기영, 순이 삼촌≫
- 「2」꽃 피는 시절.
- 「2」그 미친 여자는 나일론의 치마저고리를 맵시 있게 입고 있었고 팔에는 시절에 맞추어 고른 듯한 핸드백도 걸치고 있었다. ≪김승옥, 무진 기행≫
- 「3」시절이 좋아서 농사가 잘되었다.
- 「4」시절이 어수선하다.
- 「4」내 어쩌다가, 지차의 자손으로 생긴 사람이 한 가문의 종손으로 되었는가. 이 험난한 시절에. ≪최명희, 혼불≫
76. 신절 (愼節) [신:절]
한자: 愼(삼갈 신:), 節(마디 절)
남의 병(病)을 높여 이르는 말.
용례:
선생님의 신절이 점점 악화되고 있다.
77. 실절 (失節) [실쩔]
한자: 失(잃을 실), 節(마디 절)
절개를 지키지 못함.
용례:
우리 할아버지는 특별한 분이셨어. 나한테 베푸신 자애도 유별났지만 과부 며느리의 실절도 이해하고 싸고도셨으니까.≪박완서, 미망≫
78. 악관절 (顎關節) [악꽌절]
한자: 顎(턱 악), 關(관계할 관), 節(마디 절)
아래턱뼈를 머리뼈에 연결시키는 관절.
79. 어깨관절 (어깨關節) [어깨관절]
한자: 關(관계할 관), 節(마디 절)
위팔뼈와 어깨뼈 사이의 관절. 우리 몸에서 가장 움직임이 자유롭다.
80. 어절 (語節) [어:절]
한자: 語(말씀 어:), 節(마디 절)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마디. 문장 성분의 최소 단위로서 띄어쓰기의 단위가 된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節 마디 절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節 마디 절 - 3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