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賊 도둑 적 - 2

36. 수적 (水賊) [수적]

한자: 水(물 수), 賊(도둑 적)

바다나 큰 강에서 남의 재물을 강제로 빼앗아 가는 도둑.

용례:

이제 듣건대 도내에 수적이 많이 일어나서 바다 연변에 사는 백성들을 침해하여 영광 이남 여러 섬에 사는 백성들이 모두 흩어지고, 또 조운선을 겁탈하여 뱃길이 불통한다고 하니….≪번역 성종실록≫

37. 숙적 (宿賊) [숙쩍]

한자: 宿(잘 숙), 賊(도둑 적)

오랫동안 나쁜 짓을 해 온 도둑.

38. 아적 (蛾賊) [아적]

한자: 蛾(누에나방 아), 賊(도둑 적)

「1」개미 떼같이 새까맣게 많이 모인 도둑의 무리.
「2」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수효.

39. 야적 (夜賊) [야:적]

한자: 夜(밤 야:), 賊(도둑 적)

밤을 타서 남의 물건을 훔치는 짓. 또는 그런 짓을 하는 사람.

40. 여적 (女賊) [여적]

한자: 女(계집 녀), 賊(도둑 적)

「1」남자의 마음을 어지럽히는 여색(女色).
「2」여자 도둑.

41. 역적 (逆賊) [역쩍]

한자: 逆(거스릴 역), 賊(도둑 적)

자기 나라나 민족, 통치자를 반역한 사람.

용례:

  • 역적으로 몰리다.
  • 그는 왕을 위협하는 역적의 무리를 몰아냈다.
  • 한 치 혀가 역적 만든다는 옛말이 있는데, 마음에 있는 생각이라고 함부로 입에 담지 마시오.≪조정래, 태백산맥≫

42. 연적 (軟賊) [연:적]

한자: 軟(연할 연:), 賊(도둑 적)

수행에 방해가 되는 일 가운데 끊기 쉬운 듯하면서도 끊기 어려운 일.

43. 오적 (五賊) [오:적]

한자: 五(다섯 오:), 賊(도둑 적)

구한말에 을사조약의 체결에 가담한 다섯 매국노. 외부대신 박제순, 내부대신 이지용, 군부대신 이근택, 학부대신 이완용, 농상공부대신 권중현을 이른다.

44. 왜적 (倭賊) [왜적]

한자: 倭(왜나라 왜), 賊(도둑 적)

도둑질하는 일본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용례:

  • 왜적에게 약탈을 당하다.
  • 한때 남해안 일대에는 왜적들의 노략질이 끊이지 않았다.

45. 외적 (外賊) [외:적]

한자: 外(바깥 외:), 賊(도둑 적)

외부에 있는 도적.

46. 요적 (妖賊) [요적]

한자: 妖(요사할 요), 賊(도둑 적)

괴이한 도둑이나 반역자.

용례:

춘궁기에 접어들자 전국에 요적이 날뛰어 백성들이 두려움에 빠져 있다.

47. 원적 (怨賊) [원:적]

한자: 怨(원망할 원(:)), 賊(도둑 적)

사람의 목숨을 해치고 재물을 빼앗는 도적.

48. 유적 (流賊) [유적]

한자: 流(흐를 류), 賊(도둑 적)

떠돌아다니며 사람을 해치고 재물을 빼앗는 도둑.

49. 의적 (義賊) [의:적]

한자: 義(옳을 의:), 賊(도둑 적)

탐관오리들의 재물을 훔쳐다가 가난한 사람을 도와주는 의로운 도적.

용례:

그중에 부잣집을 털어 빈민에게 나눠 주는 의적들이 호남과 영남에 창궐하고 있었으니 이들이 곧 활빈당이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50. 잔적 (殘賊) [잔적]

한자: 殘(남을 잔), 賊(도둑 적)

「1」한동아리 중에서 쫓겨 달아나 붙잡히지 않고 남은 도둑.
「2」잔인하게 해치거나 무자비하게 쳐 죽임.

51. 장발적 (長髮賊) [장발적]

한자: 長(긴 장(:)), 髮(터럭 발), 賊(도둑 적)

중국 청나라 말기에, 가톨릭교도 홍수전을 우두머리로 하여 반란을 일으켰던 무리. 모두가 변발을 풀고 장발(長髮)을 한 데에서 유래한다.

52. 장적 (戕賊) [장적]

한자: 戕(찌를 장), 賊(도둑 적)

「1」주색(酒色)에 빠져 몸을 해롭게 함.
「2」잔인하게 해치거나 무자비하게 쳐 죽임.

53. 정법적 (正法賊) [정:뻡쩍]

한자: 正(바를 정(:)), 法(법 법), 賊(도둑 적)

사형에 처하여야 할 도적이나 역적.

54. 좀도적 (좀盜賊) [좀또적]

한자: 盜(도둑 도(:)), 賊(도둑 적)

자질구레한 물건을 훔치는 도둑.

용례:

  • 정작 큰일 할 친구들은 다 빼앗기고 자네들은 곁다리로 부자들 집이나 털고 보자고 했다니 좀도적이 아니고 뭔가?≪박완서, 미망≫
  • 담을 넘고 구멍을 뚫는 좀도적은 몰라도 수십 명 수백 명 떼를 지어 다니는 도적이라면 거기에는 조직도 있고 훈련도 있고….≪김구, 백범일지≫

55. 첩적 (諜賊) [첩쩍]

한자: 諜(염탐할 첩), 賊(도둑 적)

몰래 형편을 살피는 도둑. 또는 도둑의 첩자.

56. 초적 (草賊) [초적]

한자: 草(풀 초), 賊(도둑 적)

「1」자질구레한 물건을 훔치는 도둑.
「2」남의 농작물을 훔쳐 가는 도둑.
「3」예전에, 통치자들이 주로 산간 지대에서 장기적으로 항거하며 투쟁하는 사람들을 낮잡아 이르던 말.

용례:

「3」곡식을 노략질하러 들어온 사송아 따위 초적 부스러기들 몇 백 명쯤을 가지고 군사를 더 달라느니…하는 것이 모두들 아이들 장난 같고 콧방귀 같았다.≪박종화, 임진왜란≫

57. 충화적 (衝火賊) [충화적]

한자: 衝(찌를 충), 火(불 화(:)), 賊(도둑 적)

남의 집에 불을 지르고 재물을 빼앗아 가는 도둑.

58. 칠적 (七賊) [칠쩍]

한자: 七(일곱 칠), 賊(도둑 적)

1907년에 한일 신협약을 맺어 국권을 일본에게 넘겨준 일곱 사람. 이완용, 임선준(任善準), 조중응(趙重應), 송병준, 이재곤(李載崑), 이병무(李秉武), 고영희를 이른다.

59. 토적 (土賊) [토적]

한자: 土(흙 토), 賊(도둑 적)

지방에서 일어나는 도둑 떼.

용례:

각처에 토적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 결연히 복상을 중지하고 의병을 일으킬 것을 마음속으로 결정한 뒤에….≪박종화, 임진왜란≫

60. 토적 (討賊) [토적]

한자: 討(칠 토(:)), 賊(도둑 적)

도둑을 침. 또는 적을 토벌함.

용례:

신이 군사 일으킨 것을 망령되다 하시지 말고 특별히 병권(兵權)을 내려 주시어 토적의 대의를 펴게 한다면….≪번역 인조실록≫

61. 표적 (剽賊) [표적]

한자: 剽(겁박할 표), 賊(도둑 적)

시나 글, 노래 따위를 지을 때에 남의 작품의 일부를 몰래 따다 씀.

62. 해랑적 (海浪賊) [해:랑적]

한자: 海(바다 해:), 浪(물결 랑(:)), 賊(도둑 적)

배를 타고 다니면서, 다른 배나 해안 지방을 습격하여 재물을 빼앗는 강도.

용례:

경기, 충청 양 도 바다 위 해랑적이 성하여 해상에 물화 실은 배들이 내왕하기 염려되는 중에….≪독립신문≫

63. 해적 (海賊) [해:적]

한자: 海(바다 해:), 賊(도둑 적)

「1」배를 타고 다니면서, 다른 배나 해안 지방을 습격하여 재물을 빼앗는 강도.
「2」공해상(公海上)에서 사적(私的) 목적을 위하여 다른 배에 대해서 또는 배 안에서 폭행이나 약탈 행위를 하는 사람.

용례:

  • 「1」해적을 소탕하다.
  • 「1」해적이 출몰하다.
  • 「1」남으로 동해 바다를 건너는 해적은 바다와 섬에 무시로 출몰하여 고려 백성을 끝없이 괴롭힙니다.≪박종화, 다정불심≫

64. 홍건적 (紅巾賊) [홍건적]

한자: 紅(붉을 홍), 巾(수건 건), 賊(도둑 적)

중국 원나라 말기에, 허베이(河北)에서 한산동(韓山童)을 두목으로 하던 도둑의 무리. 머리에 붉은 수건을 쓴 까닭에 이렇게 이르며, 두 차례에 걸쳐 고려에까지 침범하였다.(홍두적)

65. 화적 (火賊) [화:적]

한자: 火(불 화(:)), 賊(도둑 적)

떼를 지어 돌아다니며 재물을 마구 빼앗는 사람들의 무리.

용례:

이 참사 집에 그때 한참 의병 떼와 화적에게 위협을 받을 무렵에….≪이기영, 서화≫

66. 활적 (猾賊) [활쩍]

한자: 猾(교활할 활), 賊(도둑 적)

교활하고 악한 도둑.

67. 황건적 (黃巾賊) [황건적]

한자: 黃(누를 황), 巾(수건 건), 賊(도둑 적)

중국 후한(後漢) 말기에, 장각(張角)을 우두머리로 하여 허베이(河北)에서 일어난 유적(流賊). 모두 머리에 누런 수건을 쓴 데서 유래하며, 태평도라는 종교를 세워 반란을 일으켰다.

68. 흉적 (凶賊) [흉적]

한자: 凶(흉할 흉), 賊(도둑 적)

흉악한 도적.

용례:

패잔한 흉적들을 단숨에 무찔러서 단 한 척의 적선이라도 놓쳐 버리지 않으려 하는 것은….≪박종화, 임진왜란≫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賊 도둑 적 - 1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