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祖 할아비 조 - 1

1. 가조 (家祖) [가조]

한자: 家(집 가), 祖(할아비 조)

「1」한집안의 조상.
「2」남에게 자기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용례:

「1」한국의 신화는 왕조 신화와 가조 신화로 나누기도 한다.

2. 개국시조 (開國始祖) [개국씨조]

한자: 開(열 개), 國(나라 국), 始(비로소 시:), 祖(할아비 조)

나라를 처음으로 세운 조상.

용례:

대부분의 국사 교과서에서는 단군을 개국시조로 다루어 자주독립 정신의 배양에 큰 공헌을 하였다.

3. 개산조 (開山祖) [개산조]

한자: 開(열 개), 山(메 산), 祖(할아비 조)

절을 처음 세우거나 종파를 새로 연 승려.

4. 개조 (開祖) [개조]

한자: 開(열 개), 祖(할아비 조)

「1」한 종파의 원조(元祖)가 되는 사람.
「2」한 종파를 처음으로 연 사람.
「3」절을 처음 세우거나 종파를 새로 연 승려.

5. 개종조 (開宗祖) [개종조]

한자: 開(열 개), 宗(마루 종), 祖(할아비 조)

한 종파를 처음으로 연 사람.

6. 건국시조 (建國始祖) [건:국씨조]

한자: 建(세울 건:), 國(나라 국), 始(비로소 시:), 祖(할아비 조)

나라를 처음으로 세운 조상.

용례:

  • 고조선의 건국시조는 단군이다.
  • 이곳에 건국시조의 위패를 모셔 놓은 사당이 있다.

7. 고조 (古祖) [고:조]

한자: 古(예 고:), 祖(할아비 조)

옛 조사(祖師).

8. 고조 (高祖) [고조]

한자: 高(높을 고), 祖(할아비 조)

할아버지의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용례:

  • 요즘은 증조까지만 제사를 지내고 고조는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 난 평택 사는 이진악이란 사람일세. 본은 전주, 내 고조께서 선천 부사를 지내셔서 양반이라 하네만….≪유현종, 들불≫

9. 교조 (敎祖) [교:조]

한자: 敎(가르칠 교:), 祖(할아비 조)

어떤 종교나 종파를 처음 세운 사람.

용례:

영해·문경 민란은 이필제란 이가 동학 교조 최제우 선생 신원을 내걸고 일으킨 민란이었다.≪송기숙, 녹두 장군≫

10. 구조 (舅祖) [구조]

한자: 舅(시아비/외삼촌 구), 祖(할아비 조)

아버지의 외숙부.

11. 국조 (國祖) [국쪼]

한자: 國(나라 국), 祖(할아비 조)

나라의 시조.

용례:

나인영은 민족 갱생을 꾀하려면, 국조 단군을 드높여 국혼을 발양시켜야 한다고 믿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12. 내조 (乃祖) [내:조]

한자: 乃(이에 내:), 祖(할아비 조)

[Ⅰ]그이의 할아버지.
[Ⅱ]‘네 할아비’, ‘이 할아비’라는 뜻으로, 주로 편지글에서 할아버지가 손자에게 자기를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13. 누조 (累祖) [누:조]

한자: 累(여러/자주 루:), 祖(할아비 조)

여러 대의 조상.

용례:

우리 집안은 누조에 걸쳐 가양주 빚는 비법을 전수해 왔다.

14. 대사조 (大師祖) [대:사조]

한자: 大(큰 대(:)), 師(스승 사), 祖(할아비 조)

노스님의 스승. 증조항(曾祖行)이 되는 승려이다.

15. 대조 (代祖) [대:조]

한자: 代(대신할 대:), 祖(할아비 조)

고조(高祖) 이상의 조상을 이르는 말.

16. 동조 (同祖) [동조]

한자: 同(한가지 동), 祖(할아비 조)

조상이 같음. 또는 같은 조상.

17. 명조 (名祖) [명조]

한자: 名(이름 명), 祖(할아비 조)

이름난 조상.

18. 방조 (傍祖) [방조]

한자: 傍(곁 방:), 祖(할아비 조)

육대조(六代祖) 이상이 되는, 직계가 아닌 방계의 조상.

19. 백조 (伯祖) [백쪼]

한자: 伯(맏 백), 祖(할아비 조)

아버지의 큰아버지를 이르는 말.

20. 백종조 (伯從祖) [백쫑조]

한자: 伯(맏 백), 從(좇을 종(:)), 祖(할아비 조)

아버지의 큰아버지를 이르는 말.

21. 부조 (父祖) [부조]

한자: 父(아비 부), 祖(할아비 조)

아버지와 할아버지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부조로부터 물려받은 가업.
  • 여러 가지로 미루어 볼 때 세자 융은 부조의 기량과 포부를 온전히 물려받지 못한 것 같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 창윤이의 눈은 점점 고국의 땅, 부조의 고향의 깊게 감춰 있는 데를 파고들었다.≪안수길, 북간도≫

22. 불조 (佛祖) [불쪼]

한자: 佛(부처 불), 祖(할아비 조)

「1」불교의 개조(開祖)인 석가모니.
「2」부처와 조사(祖師)를 아울러 이르는 말.

23. 비조 (鼻祖) [비:조]

한자: 鼻(코 비:), 祖(할아비 조)

「1」한 겨레나 가계의 맨 처음이 되는 조상.
「2」어떤 학문이나 기술 따위를 처음으로 연 사람.
「3」나중 것의 바탕이 된 맨 처음의 것.

용례:

  • 「1」대행 명헌 태후(大行明憲太后)는 성이 홍씨이고 계통은 남양이다. 고려의 공신인 삼중 태사(三重太師) 홍은열이 비조이니, 대대로 벼슬을 지냈고 빛나는 업적을 세웠다.≪번역 고종실록≫
  • 「2」주자학의 비조.
  • 「2」어쨌든 바윗덩이 위를 주택지로 개척한 비조가 누구인지는 이 근방 사람도 모른다.≪염상섭, 부부≫
  • 「3」이 편지글을 한국 수필의 비조라고 할 수 있다.

24. 사조 (四祖) [사:조]

한자: 四(넉 사:), 祖(할아비 조)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 외할아버지의 네 조상을 통틀어 이르는 말.

25. 사조 (師祖) [사조]

한자: 師(스승 사), 祖(할아비 조)

스승의 스승. 불도를 전해 주는 조부(祖父)에 해당한다고 해서 이르는 말이다.

26. 삼종조 (三從祖) [삼종조]

한자: 三(석 삼), 從(좇을 종(:)), 祖(할아비 조)

할아버지의 육촌 형제.

27. 선조 (先祖) [선조]

한자: 先(먼저 선), 祖(할아비 조)

먼 윗대의 조상.

용례:

  • 선조를 모신 사당.
  • 선조의 뜻을 받들다.
  • 저 친구는 자기네 선조 가운데 높은 벼슬을 한 사람이 많았다는 것을 언제나 자랑하고 다닌다.

28. 성조 (成祖) [성조]

한자: 成(이룰 성), 祖(할아비 조)

중국 명나라의 제3대 황제인 영락제의 묘호(廟號).

29. 성조 (聖祖) [성:조]

한자: 聖(성인 성:), 祖(할아비 조)

「1」거룩한 조상. 곧 성인이나 성왕의 조상을 이른다.
「2」예수의 조상인 아브라함, 이삭, 야곱을 이르는 말.

30. 성조 (聖祖) [성:조]

한자: 聖(성인 성:), 祖(할아비 조)

중국 청나라의 제4대 황제인 강희제의 묘호(廟號).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祖 할아비 조 - 2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