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세조 (世祖) [세:조]
한자: 世(인간 세:), 祖(할아비 조)
공이 큰 제왕에게 붙이던 묘호. 중국에서는 태조, 고조, 태종에 이어 조정(朝廷)의 기초를 닦은 천자에게 이를 붙였다.
32. 숭조 (崇祖) [숭조]
한자: 崇(높을 숭), 祖(할아비 조)
조상을 높여 소중히 여김.
33. 시조 (始祖) [시:조]
한자: 始(비로소 시:), 祖(할아비 조)
「1」한 겨레나 가계의 맨 처음이 되는 조상.
「2」어떤 학문이나 기술 따위를 처음으로 연 사람.
「3」나중 것의 바탕이 된 맨 처음의 것.
용례:
- 「1」고구려의 시조 동명 성왕.
- 「1」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 「1」단군은 우리 민족의 시조로 알려져 있다.
- 「2」언어학의 시조.
- 「2」최치원은 우리 한문학의 시조이다.
- 「3」거북선은 철갑선의 시조라고 할 수 있다.
34. 엄조 (嚴祖) [엄조]
한자: 嚴(엄할 엄), 祖(할아비 조)
엄한 할아버지.
35. 열조 (烈祖) [열쪼]
한자: 烈(매울 렬), 祖(할아비 조)
커다란 공로와 업적이 있는 조상.
36. 오대조 (五代祖) [오:대조]
한자: 五(다섯 오:), 代(대신할 대:), 祖(할아비 조)
고조(高祖)의 어버이.
37. 왕조 (王祖) [왕조]
한자: 王(임금 왕), 祖(할아비 조)
임금의 선조.
38. 외조 (外祖) [외:조]
한자: 外(바깥 외:), 祖(할아비 조)
어머니의 친정아버지를 이르는 말.
용례:
작고한 외조부가 조 남작이니 한때는 쩡쩡 울리던 조 아무개의 아들 조 남작의 외손녀고 보면, 비록 외조 그이는 돌아갔다 할지라도 남작인 외삼촌을 가진 문자를 며느리로 삼아 온다는 것은….≪염상섭, 모란꽃 필 때≫
39. 외증조 (外曾祖) [외:증조]
한자: 外(바깥 외:), 曾(일찍 증), 祖(할아비 조)
어머니의 할아버지.
40. 원조 (元祖) [원조]
한자: 元(으뜸 원), 祖(할아비 조)
「1」첫 대의 조상.
「2」어떤 일을 처음으로 시작한 사람.
「3」어떤 사물이나 물건의 최초 시작으로 인정되는 사물이나 물건.
용례:
- 「1」그가 아담처럼 인류의 원조가 아니고 영생의 기회를 놓치게 된 것도 그 자신의 죄 탓이라기보다는….≪이문열, 사람의 아들≫
- 「2」이웃집 할머니가 이 음식의 원조로 알려져 있다.
- 「3」컴퓨터의 원조는 기원전 2600년경 중국에서 사용하기 시작한 수판이라 할 수 있다.
- 「3」우리의 장은 일본에 건너가 고려 장이라 불렸으며 이것이 미소라는 일본 된장의 원조가 되었다.
41. 원조 (遠祖) [원:조]
한자: 遠(멀 원:), 祖(할아비 조)
고조(高祖) 이전의 먼 조상.
42. 이조 (二祖) [이:조]
한자: 二(두 이:), 祖(할아비 조)
「1」두 사람의 조(祖). 특히 중국에서는 한나라의 ‘고조’와 ‘세조’를 이른다.
「2」둘째 번의 조. 특히 불교 선종(禪宗)의 제이 조인 ‘혜가’를 이르는 경우가 많다.
43. 이태조 (李太祖) [이:태조]
한자: 李(오얏/성(姓) 리:), 太(클 태), 祖(할아비 조)
조선 태조를 성씨를 붙여 이르는 말.
44. 장조 (丈祖) [장:조]
한자: 丈(어른 장:), 祖(할아비 조)
아내의 할아버지.
45. 재종조 (再從祖) [재:종조]
한자: 再(두 재:), 從(좇을 종(:)), 祖(할아비 조)
할아버지의 사촌 형제.
용례:
종조, 재종조, 삼종조 여러 댁이 그리로 떠나오시기 때문에 우리 집도 따라간 것이었다.≪김구, 백범일지≫
46. 제조 (帝祖) [제:조]
한자: 帝(임금 제:), 祖(할아비 조)
「1」황제의 선조.
「2」황제의 조부(祖父).
47. 종조 (宗祖) [종조]
한자: 宗(마루 종), 祖(할아비 조)
한 종파를 세워서, 그 종지(宗旨)를 펼친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
48. 종조 (從祖) [종:조]
한자: 從(좇을 종(:)), 祖(할아비 조)
할아버지의 남자 형제.
용례:
새삼스럽게 이와 똑같은 옥 벼룻돌을 자기 종조에게 준 증조할아버지가 원망스러웠다.≪박종화, 전야≫
49. 종증조 (從曾祖) [종:증조]
한자: 從(좇을 종(:)), 曾(일찍 증), 祖(할아비 조)
증조할아버지의 형제.
용례:
장례를 지낸 뒤에 종증조의 발의로 문회를 열고….≪김구, 백범일지≫
50. 중시조 (中始祖) [중시조]
한자: 中(가운데 중), 始(비로소 시:), 祖(할아비 조)
「1」쇠퇴한 가문을 다시 일으킨 조상.
「2」쇠퇴한 학문이나 기술 따위를 다시 일으킨 사람.
용례:
- 「1」규는 이 중시조 ‘개짜’ 어른의 29대 손이다. 그러니 시조로부턴 68대가 된다.≪이병주, 지리산≫
- 「1」전씨 문중에서 유수한 정치가가 났다고 중시조나 난 듯이 덕을 보려 했더니….≪염상섭, 쌀≫
- 「2」명창 중의 명창이요 창극의 중시조이며 가왕이라 일컬어진 오만하고 괴벽스러운 송흥록도 운봉 태생이다.≪박경리, 토지≫
51. 중흥조 (中興祖) [중흥조]
한자: 中(가운데 중), 興(일[盛] 흥(:)), 祖(할아비 조)
「1」쇠퇴한 가문을 다시 일으킨 조상.
「2」종문(宗門)이나 절을 중흥하여서 개산조 다음가는 공로를 세운 승려를 높여 이르는 말. 침체한 한 종문의 교세를 크게 떨치거나, 법당 따위를 다시 세우거나
증축한 승려를 이른다.
52. 증조 (曾祖) [증조]
한자: 曾(일찍 증), 祖(할아비 조)
아버지의 할아버지. 또는 할아버지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용례:
- 증조 항렬 네 분 중에 한 분은 내가 대여섯 살까지 생존하셨고, 조부 형제는 구존하셨고….≪김구, 백범일지≫
- 7대 옥당의 집안이 경신환국 이래 남인의 몰락으로 고조, 증조, 조부 삼대가 백두로 지내다가 겨우 선고대에 이르러 재기되기 시작하고….≪한무숙, 만남≫
53. 천조 (天祖) [천조]
한자: 天(하늘 천), 祖(할아비 조)
천자(天子)의 선조.
54. 초조 (初祖) [초조]
한자: 初(처음 초), 祖(할아비 조)
가계(家系)나 유파(流派)의 초대 선조.
55. 태조 (太祖) [태조]
한자: 太(클 태), 祖(할아비 조)
한 왕조를 세운 첫째 임금에게 붙이던 묘호.
용례:
- 태조 왕건.
- 태조 이성계.
56. 현조 (玄祖) [현조]
한자: 玄(검을 현), 祖(할아비 조)
「1」고조(高祖)의 아버지.
「2」할아버지의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용례:
「1」우리 조상 저 윗대 아득하신 현조 이래로 그 어른의 장자에 장자로만 이어 온, 한 가문의 맏이 집안이 곧 종가이니라.≪최명희, 혼불≫
57. 현조 (顯祖) [현:조]
한자: 顯(나타날 현:), 祖(할아비 조)
이름이 높이 드러난 조상.
용례:
어진 현조의 자손들은 그 조상이 밝힌 정신의 등을 받아서 불을 댕기어 다른 등으로, 또 다른 등으로 연방 옮겨붙여….≪최명희, 혼불≫
58. 호조 (呼祖) [호조]
한자: 呼(부를 호), 祖(할아비 조)
할아버지라고 부름.
59. 환부역조 (換父易祖) [환:부역쪼]
한자: 換(바꿀 환:), 父(아비 부), 易(바꿀 역), 祖(할아비 조)
아버지와 할아버지를 바꾼다는 뜻으로, 지체가 낮은 사람이 부정한 방법으로 양반집 뒤를 이어 양반 행세를 함을 이르는 말.
용례:
만일 이것이 사실이라면 이번 기회에는 꼭 동방 예의의 나라인 조선 임금으로 하여금 그의 조상이 환부역조가 되지 않도록 하여 달라는 말을 간곡하게 부탁한다.≪박종화, 임진왜란≫
60. 황조 (皇祖) [황조]
한자: 皇(임금 황), 祖(할아비 조)
「1」황제를 지낸 선조(先祖).
「2」황제의 조상.
「3」돌아가신 자기 할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祖 할아비 조 - 1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