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각조 (各條) [각쪼]
한자: 各(각각 각), 條(가지 조)
각각의 조목이나 조항.
용례:
민법에 실린 각조의 결함을 보완했다.
2. 개조 (個條) [개:조]
한자: 個(낱 개(:)), 條(가지 조)
낱낱의 조목을 세는 단위.
용례:
12개조로 이루어진 회칙.
3. 거조 (擧條) [거:조]
한자: 擧(들 거:), 條(가지 조)
신하가 임금께 조목조목 들어 아뢰던 조항.
용례:
당시의 거조에 있어서 첨가하고 고친 곡절이 과연 상소 가운데서 진달한 바와 같다면, 당초에 이미 개체할 뜻이 없었는데 지금에 와서 어찌 추가로 허물할 리가 있겠습니까?≪번역 숙종실록≫
4. 계류조 (稽留條) [계:류조]
한자: 稽(머무를 계:), 留(머무를 류), 條(가지 조)
「1」머무르게 하는 명분이나 규정.
「2」예비용으로 포목이나 곡식을 부과·징수하던 명목.
5. 과조 (科條) [과조]
한자: 科(과목 과), 條(가지 조)
「1」법률, 명령, 규칙 따위의 각각의 조목(條目).
「2」분류하여 정돈함.
용례:
「1」과조를 엄히 세우다.
6. 교조 (敎條) [교:조]
한자: 敎(가르칠 교:), 條(가지 조)
「1」역사적 환경이나 구체적 현실과 관계없이 어떠한 상황에서도 절대로 변하지 않는 진리인 듯 믿고 따르는 것.
「2」종교상의 신조.
용례:
「2」말하자면 약물이나 그 밖의 수단을 써서가 아니라 금욕을 통해서 생명을 단축하길 교조로 하는 종교라는 것이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7. 구조 (九條) [구조]
한자: 九(아홉 구), 條(가지 조)
베 아홉 폭을 가로 꿰매어 만든 가사. 주로 외출할 때나 법회 때에 입는다.
8. 궤조 (軌條) [궤:조]
한자: 軌(바퀴자국 궤:), 條(가지 조)
철도 차량이나 전차 따위를 달리게 하기 위하여 땅 위에 까는 가늘고 긴 강철재(鋼鐵材).
9. 명조 (明條) [명조]
한자: 明(밝을 명), 條(가지 조)
어떤 사항을 직접적으로 규정한 명문(明文).
10. 모조 (某條) [모:쪼]
한자: 某(아무 모:), 條(가지 조)
「1」어떠한 조건.
「2」어떠한 방식.
11. 묘조 (苗條) [묘:조]
한자: 苗(모 묘:), 條(가지 조)
식물의 발생 초기에, 잎과 줄기의 구분이 분명하지 않을 때의 잎과 줄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12. 무정조 (無正條) [무정조]
한자: 無(없을 무), 正(바를 정(:)), 條(가지 조)
어떤 사건을 처리하는 데 필요한 해당 규정이 법률 조문에 없음.
13. 문어조 (文魚條) [무너조]
한자: 文(글월 문), 魚(고기/물고기 어), 條(가지 조)
말린 문어의 발을 여러 가지 모양으로 오려 놓은 것. 예식이나 잔치 때 어물을 괴는 데 쓴다.
14. 미납조 (未納條) [미:납쪼]
한자: 未(아닐 미(:)), 納(들일 납), 條(가지 조)
미납으로 남아 있는 셈의 조건.
15. 발조 (發條) [발쪼]
한자: 發(필 발), 條(가지 조)
얇고 긴 강철 띠를 돌돌 말아 그 풀리는 힘으로 시계 따위를 움직이게 하는 장치.
16. 법조 (法條) [법쪼]
한자: 法(법 법), 條(가지 조)
법률의 조문(條文).
17. 부족조 (不足條) [부족쪼]
한자: 不(아닐 불), 足(발 족), 條(가지 조)
돈이나 곡식 따위의 모자라는 수효.
18. 사조 (絲條) [사조]
한자: 絲(실 사), 條(가지 조)
실의 낱낱의 줄.
19. 삭조 (索條) [삭쪼]
한자: 索(노[새끼줄] 삭), 條(가지 조)
삼이나 강철로 만든 줄을 심으로 하고 거기에 몇 줄의 철사 꼰 것을 감은 밧줄.
20. 생활신조 (生活信條) [생활신조]
한자: 生(날 생), 活(살 활), 信(믿을 신:), 條(가지 조)
생활을 해 나가는 데 있어서 교의처럼 어김없이 지키고자 하는 조항.
용례:
아버지는 늘 정직과 청렴결백을 생활신조로 삼았다.≪김원일, 도요새에 관한 명상≫
21. 선조 (線條) [선조]
한자: 線(줄 선), 條(가지 조)
「1」백열전구나 진공관의 내부에서 전류를 통하여 열전자를 방출하는 실처럼 가는 금속 선.
「2」요소들이 연결되어 이루는 줄.
22. 섬조 (纖條) [섬조]
한자: 纖(가늘 섬), 條(가지 조)
「1」금속 따위의 가는 줄.
「2」백열전구나 진공관의 내부에서 전류를 통하여 열전자를 방출하는 실처럼 가는 금속 선.
23. 성조 (成條) [성조]
한자: 成(이룰 성), 條(가지 조)
문장으로 이루어진 낱낱의 조항.
24. 셈조 (셈條) [셈:쪼]
한자: 條(가지 조)
돈 따위로 셈하는 조건.
25. 소조 (蕭條) [소조]
한자: 蕭(쓸쓸할 소), 條(가지 조)
‘소조하다’
(고요하고 쓸쓸하다.)의 어근.
26. 신조 (信條) [신:조]
한자: 信(믿을 신:), 條(가지 조)
「1」굳게 믿어 지키고 있는 생각.
「2」신앙의 조목 또는 교의(敎義).
용례:
「1」검약과 근면을 신조로 삼다.
27. 십일조 (十一條) [시빌쪼]
한자: 十(열 십), 一(한 일), 條(가지 조)
「1」기독교 신자가 수입의 10분의 1을 교회에 바치는 것.
「2」조선 시대에, 장색(匠色)이 일터에서 필요한 물건을 주문하면 그 물건을 파는 상인이 물건값에서 10분의 1을 심부름 온 사람에게
주던 일.
「3」중세 유럽의 교회가 교구민에게 과세 대상의 10분의 1의 비율로 징수하던 세.
28. 압조 (壓條) [압쪼]
한자: 壓(누를 압), 條(가지 조)
식물의 가지를 휘어 그 한끝을 땅속에 묻어서 뿌리를 내리게 하는 인공 번식법.
29. 약조 (約條) [약쪼]
한자: 約(맺을 약), 條(가지 조)
「1」조건을 붙여서 약속함.
「2」약속하여 정한 조항.
용례:
- 「1」약조를 지키다.
- 「1」약조를 받아 놓다.
- 「1」내년이나 내명년쯤 유료 낚시터만 열고 나면 정식 수금원으로 취직하게끔 사장님하고 약조가 다 되었단 말이야.≪윤흥길, 완장≫
- 「1」전 접주님이 그렇게 나서겠다고 약조라도 한 것처럼 그분이 언제 떨치고 일어날 것인가만 기다리고 있는 판이다.≪송기숙, 녹두 장군≫
30. 양조 (兩條) [양:조]
한자: 兩(두 량:), 條(가지 조)
두 조항. 또는 두 조목.
31. 여조 (餘條) [여조]
한자: 餘(남을 여), 條(가지 조)
돈이나 곡식 따위를 계산하고 난 뒤의 나머지 부분.
32. 연조 (年條) [연조]
한자: 年(해 년), 條(가지 조)
「1」어떠한 일에 종사한 햇수.
「2」사물의 역사나 유래.
「3」어떠한 해에 어떠한 일이 있었음을 나타내는 조목.
용례:
- 「1」신앙의 연조가 짧다.
- 「2」오랜 풍속의 연조를 조명하다.
- 「3」연조를 들추어 보면 그 사건의 전모를 알 수 있을 것이다.
33. 영조 (零條) [영쪼]
한자: 零(떨어질/영[數字] 령), 條(가지 조)
셈할 때 조금 모자라서 다 치르지 못한 액수.
34. 옥조 (玉條) [옥쪼]
한자: 玉(구슬 옥), 條(가지 조)
「1」아름다운 나뭇가지.
「2」매우 중요한 조목이나 규칙.
35. 유조 (柳條) [유:조]
한자: 柳(버들 류(:)), 條(가지 조)
버드나무의 가지.
36. 이자조 (利子條) [이:자쪼]
한자: 利(이할 리:), 子(아들 자), 條(가지 조)
이자의 부분. 또는 이자의 명목.
용례:
그는 원금 외에 이자조로 십만 원을 받았다.
37. 이조 (利條) [이:쪼]
한자: 利(이할 리:), 條(가지 조)
「1」이자의 부분. 또는 이자의 명목.
「2」남에게 돈을 빌려 쓴 대가로 치르는 일정한 비율의 돈.
38. 일조 (一條) [일쪼]
한자: 一(한 일), 條(가지 조)
「1」한 조항. 또는 한 조목.
「2」한 줄기.
「3」한 건(件).
용례:
- 「1」초안의 일조 일조를 신경을 곤두세우고 검토했다.
- 「2」일조 광선.
39. 잉조 (剩條) [잉:쪼]
한자: 剩(남을 잉:), 條(가지 조)
쓰고 남은 부분.
40. 작조 (作條) [작쪼]
한자: 作(지을 작), 條(가지 조)
이랑을 만드는 일. 습기가 많은 밭에서는 높게 만들고 가뭄을 타는 밭에서는 낮게 만든다.
41. 장조 (長條) [장조]
한자: 長(긴 장(:)), 條(가지 조)
긴 나뭇가지나 긴 나무 막대기.
42. 전조 (前條) [전조]
한자: 前(앞 전), 條(가지 조)
앞의 조항(條項)이나 조문(條文).
43. 정조 (正條) [정:조]
한자: 正(바를 정(:)), 條(가지 조)
「1」법에 규정된 조례(條例).
「2」간격이 바른 줄.
44. 제조 (制條) [제:조]
한자: 制(절제할 제:), 條(가지 조)
제정된 조규(條規).
45. 조조 (條條) [조조]
한자: 條(가지 조), 條(가지 조)
하나하나의 조(條).
46. 조조 (條條) [조조]
한자: 條(가지 조), 條(가지 조)
여러 줄기 초목이 자라는 모양이 무성함.
47. 철조 (鐵條) [철쪼]
한자: 鐵(쇠 철), 條(가지 조)
굵은 철사.
48. 축조 (逐條) [축쪼]
한자: 逐(쫓을 축), 條(가지 조)
해석이나 검토 따위에서, 한 조목 한 조목씩 차례로 좇음.
용례:
성전을 수행해서 승리로 이끈 대본영과 내각이 예의 협의함은 정치 도의상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기에 외무대신으로 하여금 축조 토의를 위한 설명을 맡게 했습니다.≪유주현, 대한 제국≫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