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潮 밀물/조수 조 - 1

1. 간조 (干潮) [간조]

한자: 干(방패 간), 潮(밀물/조수 조)

바다에서 조수가 빠져나가 해수면이 가장 낮아진 상태. 하루에 두 번 일어나며, 달의 인력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용례:

간조 때 펼쳐지는 끝없이 넓은 백사장.

2. 감조 (減潮) [감:조]

한자: 減(덜 감:), 潮(밀물/조수 조)

밀물과 썰물을 아울러 이르는 말.

3. 검조 (檢潮) [검:조]

한자: 檢(검사할 검:), 潮(밀물/조수 조)

밀물과 썰물에 의한 해수면의 오르내림을 측정함.

용례:

장기간의 검조 기록을 조사해 보면, 조수와 달의 운행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4. 게조 (憩潮) [게:조]

한자: 憩(쉴 게:), 潮(밀물/조수 조)

밀물과 썰물이 바뀔 때에 일어나는 조류의 정지 상태.

5. 고조 (高潮) [고조]

한자: 高(높을 고), 潮(밀물/조수 조)

「1」감정이나 기세가 극도로 높은 상태.
「2」밀물이 들어와 해면의 높이가 가장 높은 상태.

6. 귀조 (歸潮) [귀:조]

한자: 歸(돌아갈 귀:), 潮(밀물/조수 조)

조수의 간만으로 해면이 하강하는 현상. 또는 그 바닷물. 만조에서 간조까지를 이르며 하루에 두 차례씩 밀려 나간다.(고조)

7. 극조 (極潮) [극쪼]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潮(밀물/조수 조)

지구 회전축의 운동으로 생기는, 약 6mm의 진폭을 가지는 조류(潮流). 운동 주기는 428일이다.

8. 급조 (急潮) [급쪼]

한자: 急(급할 급), 潮(밀물/조수 조)

급히 흐르는 조류.

9. 낙조 (落潮) [낙쪼]

한자: 落(떨어질 락), 潮(밀물/조수 조)

조수의 간만으로 해면이 하강하는 현상. 또는 그 바닷물. 만조에서 간조까지를 이르며 하루에 두 차례씩 밀려 나간다.

10. 노조 (怒潮) [노:조]

한자: 怒(성낼 노:), 潮(밀물/조수 조)

세차게 밀어닥치는 바닷물.

11. 대고조 (大高潮) [대:고조]

한자: 大(큰 대(:)), 高(높을 고), 潮(밀물/조수 조)

「1」음력 보름과 그믐 무렵에 밀물이 가장 높은 때.
「2」기세가 아주 고도로 왕성한 상태.

12. 대저조 (大低潮) [대:저조]

한자: 大(큰 대(:)), 低(낮을 저:), 潮(밀물/조수 조)

사리 때에 조수가 제일 낮게 내려간 때의 해수면. 한 달에 두 번씩 있다.

13. 대조 (大潮) [대:조]

한자: 大(큰 대(:)), 潮(밀물/조수 조)

음력 보름과 그믐 무렵에 밀물이 가장 높은 때.

14. 만간조 (滿干潮) [만간조]

한자: 滿(찰 만(:)), 干(방패 간), 潮(밀물/조수 조)

간조(干潮)와 만조(滿潮)를 아울러 이르는 말.

15. 만조 (滿潮) [만:조]

한자: 滿(찰 만(:)), 潮(밀물/조수 조)

밀물이 가장 높은 해면까지 꽉 차게 들어오는 현상. 또는 그런 때.

용례:

만조 때는 바닷물이 도로를 덮치기 일쑤였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16. 맹조 (猛潮) [맹:조]

한자: 猛(사나울 맹:), 潮(밀물/조수 조)

「1」거센 흐름.
「2」세차게 밀어닥치는 조수(潮水).

17. 문예사조 (文藝思潮) [문예사조]

한자: 文(글월 문), 藝(재주 예:), 思(생각 사(:)), 潮(밀물/조수 조)

한 시대를 통하여 문예를 창작하는 데에 근원이 되는 사상의 흐름.

용례:

낭만주의는 한 시대의 문예 사조를 뒤 시대가 이름한 것에 지나지 않건만 80년대 식의 유행으로는 특별한 의미를 가졌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18. 반일조 (半日潮) [바:닐쪼]

한자: 半(반(半) 반:), 日(날 일), 潮(밀물/조수 조)

약 반일의 주기로 일어나는 밀물과 썰물의 흐름. 천체의 기조력에 의하여 일어나며, 흔히 볼 수 있는 조류이다.

19. 방조 (防潮) [방조]

한자: 防(막을 방), 潮(밀물/조수 조)

높이 밀려드는 조수의 피해를 막음.

20. 벽조 (碧潮) [벽쪼]

한자: 碧(푸를 벽), 潮(밀물/조수 조)

푸른 빛깔의 조수(潮水).

21. 변조 (變潮) [변:조]

한자: 變(변할 변:), 潮(밀물/조수 조)

변하여 가는 사조나 조류.

22. 분점조 (分點潮) [분쩜조]

한자: 分(나눌 분(:)), 點(점 점(:)), 潮(밀물/조수 조)

달이 천구(天球)의 적도를 지날 때의 밀물과 썰물.

23. 분조 (分潮) [분조]

한자: 分(나눌 분(:)), 潮(밀물/조수 조)

바닷물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드나드는 현상.

24. 사조 (思潮) [사조]

한자: 思(생각 사(:)), 潮(밀물/조수 조)

한 시대의 일반적인 사상의 흐름.

용례:

그는 새로운 사조나 독립운동의 방향 같은 것에 대하여 신중했으나 비판적이었다.≪박경리, 토지≫

25. 삭망조 (朔望潮) [상망조]

한자: 朔(초하루 삭), 望(바랄 망:), 潮(밀물/조수 조)

음력 보름과 그믐 무렵에 밀물이 가장 높은 때.

26. 석조 (夕潮) [석쪼]

한자: 夕(저녁 석), 潮(밀물/조수 조)

저녁때에 밀려왔다가 나가는 바닷물.

27. 세조 (世潮) [세:조]

한자: 世(인간 세:), 潮(밀물/조수 조)

시대에 따라 변하는 세상의 풍습이나 경향.

용례:

돌이켜 보면 무수한 파탄과 세조의 안팎으로 굴곡이 많은 흐름 속에서 지내온 한 해였습니다.

28. 소조 (小潮) [소:조]

한자: 小(작을 소:), 潮(밀물/조수 조)

조수(潮水)가 가장 낮은 때를 이르는 말. 대개 매월 음력 7, 8일과 22, 23일에 있다.

29. 순조 (順潮) [순:조]

한자: 順(순할 순:), 潮(밀물/조수 조)

조수(潮水)의 흐름을 따름.

30. 시대사조 (時代思潮) [시대사조]

한자: 時(때 시), 代(대신할 대:), 思(생각 사(:)), 潮(밀물/조수 조)

한 시대의 사회 일반에 주류나 특색을 이루는 사상적 경향.

용례:

그의 발언은 토론자들로부터 시대사조에 뒤떨어진다는 비판을 받았다.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潮 밀물/조수 조 - 2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