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操 잡을 조:

1. 경체조 (輕體操) [경체조]

한자: 輕(가벼울 경), 體(몸 체), 操(잡을 조(:))

맨손 체조나 기구 체조를 중체조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2. 고조 (高操) [고조]

한자: 高(높을 고), 操(잡을 조(:))

높은 지조.

3. 곤봉체조 (棍棒體操) [곤봉체조]

한자: 棍(몽둥이 곤), 棒(막대 봉), 體(몸 체), 操(잡을 조(:))

양손에 곤봉을 하나씩 쥐고 손목의 동작에 의하여 곤봉을 앞뒤 좌우로 돌리는 리듬 체조.

4. 교정체조 (矯正體操) [교:정체조]

한자: 矯(바로잡을 교:), 正(바를 정(:)), 體(몸 체), 操(잡을 조(:))

신체의 변형 또는 운동 장애 따위를 정상으로 바로잡기 위하여 실시하는 가벼운 맨손 체조.

5. 기계체조 (器械體操) [기계체조]

한자: 器(그릇 기), 械(기계 계:), 體(몸 체), 操(잡을 조(:))

기계를 사용해서 하는 운동을 통틀어 이르는 말. 철봉, 뜀틀, 평행봉, 링, 평균대 따위이다.

6. 기구체조 (器具體操) [기구체조]

한자: 器(그릇 기), 具(갖출 구(:)), 體(몸 체), 操(잡을 조(:))

아령, 곤봉 따위의 기구를 사용하는 체조.

7. 기본체조 (基本體操) [기본체조]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體(몸 체), 操(잡을 조(:))

덴마크의 부크(Bukh, N.)가 창안한 맨손 체조. 독일과 스웨덴 체조의 장점을 취한 것으로, 힘차고 연속적이며 율동적이다.

8. 기체조 (旗體操) [기체조]

한자: 旗(기 기), 體(몸 체), 操(잡을 조(:))

양손에 작은 기(旗)를 들고 하는 체조.

9. 단체체조 (團體體操) [단체체조]

한자: 團(둥글 단), 體(몸 체), 體(몸 체), 操(잡을 조(:))

집단적으로 행하는 맨손 체조나 율동.

10. 덕조 (德操) [덕쪼]

한자: 德(큰 덕), 操(잡을 조(:))

변함없는 굳은 절개.

11. 도수체조 (徒手體操) [도수체조]

한자: 徒(무리 도), 手(손 수(:)), 體(몸 체), 操(잡을 조(:))

도구나 기구 없이 하는 체조.

용례:

운동이라면 싫어하는 것이 하나도 없었지만 맨손을 휘휘 젓고 빙빙 돌리고 하는 도수 체조라는 것은 춤도 아니고 운동도 아니고…할 맛이 나지 않았다.≪조정래, 태백산맥≫

12. 맨손체조 (맨손體操) [맨손체조]

한자: 體(몸 체), 操(잡을 조(:))

도구나 기구 없이 하는 체조.

13. 목환체조 (木環體操) [모콴체조]

한자: 木(나무 목), 環(고리 환(:)), 體(몸 체), 操(잡을 조(:))

한 사람이나 여러 사람이 조(組)를 이루어 나무로 만든 지름 152cm 정도의 고리를 잡고 하는 체조.

14. 무절조 (無節操) [무절쪼]

한자: 無(없을 무), 節(마디 절), 操(잡을 조(:))

절조가 없음.

15. 미용체조 (美容體操) [미:용체조]

한자: 美(아름다울 미(:)), 容(얼굴 용), 體(몸 체), 操(잡을 조(:))

몸의 균형을 바로잡고 몸매를 아름답게 만들기 위해 하는 체조.

16. 보건체조 (保健體操) [보:건체조]

한자: 保(지킬 보(:)), 健(굳셀 건:), 體(몸 체), 操(잡을 조(:))

건강의 유지와 증진을 꾀하기 위하여 하는 체조.

17. 봉체조 (棒體操) [봉체조]

한자: 棒(막대 봉), 體(몸 체), 操(잡을 조(:))

리듬 체조에서, 봉을 이용하는 체조.

18. 사조 (士操) [사:조]

한자: 士(선비 사:), 操(잡을 조(:))

선비의 절개와 지조.

19. 성조 (城操) [성조]

한자: 城(재 성), 操(잡을 조(:))

성안에서 하는 군사 훈련.

20. 송백조 (松柏操) [송백쪼]

한자: 松(소나무 송), 柏(측백 백), 操(잡을 조(:))

소나무와 잣나무의 사철 푸른 절조와 변하지 않는 굳은 절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1. 수구체조 (手具體操) [수구체조]

한자: 手(손 수(:)), 具(갖출 구(:)), 體(몸 체), 操(잡을 조(:))

손에 기구를 들고 하는 체조. 남자의 곤봉 체조, 여자의 리듬 체조 따위가 있다.

22. 수조 (水操) [수조]

한자: 水(물 수), 操(잡을 조(:))

강이나 바다에서 하던 수군(水軍)의 훈련.

23. 수조 (守操) [수조]

한자: 守(지킬 수), 操(잡을 조(:))

지조를 지킴.

24. 신체조 (新體操) [신체조]

한자: 新(새 신), 體(몸 체), 操(잡을 조(:))

리본, 공, 훌라후프, 곤봉, 로프, 링 따위의 소도구를 들고 반주 음악의 리듬에 맞추어 연기하는 여자 체조 경기. 1968년부터 격년제로 세계 선수권 대회가 열리고 있으며,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경기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25. 심조 (心操) [심조]

한자: 心(마음 심), 操(잡을 조(:))

마음으로 지키는 지조.

26. 아령체조 (啞鈴體操) [아:령체조]

한자: 啞(벙어리 아(:)), 鈴(방울 령), 體(몸 체), 操(잡을 조(:))

아령을 가지고 주로 팔, 다리, 목, 몸통 따위의 운동을 하는 체조.

27. 야조 (夜操) [야:조]

한자: 夜(밤 야:), 操(잡을 조(:))

밤중에 군사를 훈련함. 또는 그런 훈련.

28. 업간체조 (業間體操) [업깐체조]

한자: 業(업 업), 間(사이 간(:)), 體(몸 체), 操(잡을 조(:))

공장이나 회사 따위에서 점심시간 따위의 쉬는 시간을 이용하여 하는 보건 체조.

29. 여조 (勵操) [여:조]

한자: 勵(힘쓸 려:), 操(잡을 조(:))

절개를 장려함.

30. 연조 (演操) [연:조]

한자: 演(펼 연:), 操(잡을 조(:))

군사를 단련함.

31. 예술체조 (藝術體操) [예:술체조]

한자: 藝(재주 예:), 術(재주 술), 體(몸 체), 操(잡을 조(:))

리본, 공, 훌라후프, 곤봉, 로프, 링 따위의 소도구를 들고 반주 음악의 리듬에 맞추어 연기하는 여자 체조 경기. 1968년부터 격년제로 세계 선수권 대회가 열리고 있으며,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경기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32. 유아체조 (乳兒體操) [유아체조]

한자: 乳(젖 유), 兒(아이 아), 體(몸 체), 操(잡을 조(:))

유아의 성장을 돕기 위하여 주로 어머니가 시키는 체조.

33. 유연체조 (柔軟體操) [유연체조]

한자: 柔(부드러울 유), 軟(연할 연:), 體(몸 체), 操(잡을 조(:))

몸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온몸의 관절을 충분히 굽혔다 폈다 하는 맨손 체조.

34. 은조 (隱操) [은조]

한자: 隱(숨을 은), 操(잡을 조(:))

속세를 떠나고 싶어 하는 마음.

35. 재건체조 (再建體操) [재:건체조]

한자: 再(두 재:), 建(세울 건:), 體(몸 체), 操(잡을 조(:))

1961년에 재건 국민운동 본부에서 제정한 10개 종목으로 된 체조.

36. 재조 (才操) [재조]

한자: 才(재주 재), 操(잡을 조(:))

‘재주’
(「1」무엇을 잘할 수 있는 타고난 능력과 슬기.
「2」어떤 일에 대처하는 방도나 꾀.)의 원말.

용례:

그 돌 다루는 재조는 참으로 하늘이 내신가 하옵니다.≪현진건, 무영탑≫

37. 절조 (節操) [절쪼]

한자: 節(마디 절), 操(잡을 조(:))

절개와 지조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절조가 굳은 여인.
  • 절조를 지키다.
  • 뜻은 담박함으로써 밝아지고, 절조는 기름진 고기와 달콤한 음식 때문에 잃게 되는 까닭이었다.≪한승원, 해일≫

38. 정조 (貞操) [정조]

한자: 貞(곧을 정), 操(잡을 조(:))

「1」여자의 곧은 절개.
「2」이성 관계에서 순결을 지니는 일.

용례:

  • 「1」지아비가 있어 정조를 지켜야 할 처지도 아니다.≪박경리, 토지≫
  • 「2」정조 관념.
  • 「2」정조를 바치다.
  • 「2」그는 정조를 파는 여자이다. 그가 정조를 팔 때마다 나를 생각할 것이다.≪나도향, 환희≫

39. 정조 (情操) [정조]

한자: 情(뜻 정), 操(잡을 조(:))

진리, 아름다움, 선행, 신성한 것을 대하였을 때에 일어나는 고차원적인 복잡한 감정. 지적·도덕적·종교적·미적 정조 따위로 나눈다.

40. 조회체조 (朝會體操) [조화체조]

한자: 朝(아침 조), 會(모일 회:), 體(몸 체), 操(잡을 조(:))

학교나 관공서에서 조회 때에 하는 보건 체조.

41. 준비체조 (準備體操) [준:비체조]

한자: 準(준할 준:), 備(갖출 비:), 體(몸 체), 操(잡을 조(:))

본격적인 운동이나 경기를 하기 전에, 몸을 풀기 위하여 하는 가벼운 운동.

42. 중체조 (重體操) [중:체조]

한자: 重(무거울 중:), 體(몸 체), 操(잡을 조(:))

‘기계 체조’(기계를 사용해서 하는 운동을 통틀어 이르는 말. 철봉, 뜀틀, 평행봉, 링, 평균대 따위이다.)를 경체조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43. 지조 (志操) [지조]

한자: 志(뜻 지), 操(잡을 조(:))

원칙과 신념을 굽히지 아니하고 끝까지 지켜 나가는 꿋꿋한 의지. 또는 그런 기개.

용례:

  • 지조 높은 선비.
  • 지조 없는 인간.
  • 지조를 지키다.
  • 지조가 굳다.
  • 사람에겐 인격이란 것이 있고 사상엔 지조라는 것이 있다.≪이병주, 지리산≫

44. 청조 (淸操) [청조]

한자: 淸(맑을 청), 操(잡을 조(:))

깨끗한 정조(貞操). 또는 결백한 지조.

45. 체조 (體操) [체조]

한자: 體(몸 체), 操(잡을 조(:))

「1」신체 각 부분의 고른 발육과 건강의 증진을 위하여 일정한 형식으로 몸을 움직임. 또는 그런 운동.
「2」맨손 또는 특정한 용구를 사용하여 회전, 지지, 도약 따위의 기량을 겨루는 경기. 남자는 마루 운동·안마·링·뜀틀·평행봉·철봉의 여섯 종목이 있고, 여자는 마루 운동·뜀틀·이단 평행봉·평균대의 네 종목이 있으며, 각각 규정 경기와 자유 경기가 있다.

용례:

「1」아버지와 함께 라디오에 맞추어 체조를 하려고 모두 일어나서 자리를 개는 모양이다.≪김남천, 처를 때리고≫

46. 탁조 (濁操) [탁쪼]

한자: 濁(흐릴 탁), 操(잡을 조(:))

깨끗하지 못한 지조(志操).

47. 특조 (特操) [특쪼]

한자: 特(특별할 특), 操(잡을 조(:))

언제나 변하지 않는 절개.

48. 풍조 (風操) [풍조]

한자: 風(바람 풍), 操(잡을 조(:))

높은 지조.

49. 합조 (合操) [합쪼]

한자: 合(합할 합), 操(잡을 조(:))

각 영문(營門)의 군사를 한데 모아 조련하던 일.

50. 항조 (恒操) [항조]

한자: 恒(항상 항), 操(잡을 조(:))

늘 변함없는 지조.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