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鳥 새 조 - 2

46. 악조 (惡鳥) [악쪼]

한자: 惡(악할 악), 鳥(새 조)

불길한 새.

47. 애조 (愛鳥) [애:조]

한자: 愛(사랑 애(:)), 鳥(새 조)

새를 사랑함. 또는 그 새.

48. 야조 (夜鳥) [야:조]

한자: 夜(밤 야:), 鳥(새 조)

낮에는 숨어 자고 밤에 활동하며 먹이를 찾는 새. 부엉이, 올빼미 따위가 있다.

49. 야조 (野鳥) [야:조]

한자: 野(들[坪] 야:), 鳥(새 조)

야생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그들은 공황의 시대를 맞자 동작이 별안간 놀란 야조처럼 기민하고 민첩해졌다.≪홍성원, 육이오≫

50. 양조 (陽鳥) [양조]

한자: 陽(볕 양), 鳥(새 조)

양기(陽氣)를 따르는 새라는 뜻으로, 기러기 따위의 철새를 이르는 말.

51. 어조 (魚鳥) [어조]

한자: 魚(고기/물고기 어), 鳥(새 조)

물고기와 새를 아울러 이르는 말.

52. 엽조 (獵鳥) [엽쪼]

한자: 獵(사냥 렵), 鳥(새 조)

사냥을 하여도 좋다고 관계 기관에서 허락한 새.

53. 영조 (靈鳥) [영조]

한자: 靈(신령 령), 鳥(새 조)

영묘한 힘이 있어 상서로움을 가져온다고 전하여지는 새. 흔히 ‘봉황’을 이른다.

54. 웅조 (雄鳥) [웅조]

한자: 雄(수컷 웅), 鳥(새 조)

새의 수컷.

55. 원시조 (原始鳥) [원시조]

한자: 原(언덕 원), 始(비로소 시:), 鳥(새 조)

중생대 쥐라기 시대에 살았던 조류 최고(最古)의 조상으로 추정되는 화석 동물. 조류와 파충류의 중간형으로 몸의 길이는 40cm 정도이며 머리가 작고 눈이 크다. 부리에는 날카로운 이가 있고 날개의 끝에는 발톱이 달린 세 개의 발가락이 붙어 있다. 뼈는 등골뼈를 합쳐 50개로 되어 있으나 서로 유착하지 않고 분리되어 있고 늑골의 칼돌기가 없어 공중을 날지는 못하였다.

56. 원조 (怨鳥) [원:조]

한자: 怨(원망할 원(:)), 鳥(새 조)

원통하게 죽은 사람의 귀신이 변하여 된 새.

57. 유영조 (游泳鳥) [유영조]

한자: 游(헤엄칠 유), 泳(헤엄칠 영:), 鳥(새 조)

갈매기류나 펠리컨류와 같이 헤엄을 잘 치는 조류를 통틀어 이르는 말.

58. 유조 (留鳥) [유조]

한자: 留(머무를 류), 鳥(새 조)

철을 따라 자리를 옮기지 아니하고 거의 한 지방에서만 사는 새. 참새, 까마귀, 꿩 따위가 있다.

59. 유조 (遊鳥) [유조]

한자: 遊(놀 유), 鳥(새 조)

「1」노닐고 있는 새.
「2」미끼 삼아 매어 두는 새.

60. 육식조 (肉食鳥) [육씩쪼]

한자: 肉(고기 육), 食(밥/먹을 식), 鳥(새 조)

솔개, 매 따위와 같이 다른 새나 짐승을 잡아먹는 사나운 새.

용례:

하늘에서 맴돌던 육식조 한 마리가 맹렬히 날아오더니 순식간에 토끼를 낚아채었다.

61. 육조 (陸鳥) [육쪼]

한자: 陸(뭍 륙), 鳥(새 조)

육지 위에 사는 새. 보통 섭금류(涉禽類)는 포함되지 않으며 나무 위, 땅 위, 초원에서 사는 새로 구분된다.

62. 응서조 (應瑞鳥) [응:서조]

한자: 應(응할 응:), 瑞(상서 서:), 鳥(새 조)

‘봉황’을 달리 이르는 말.

63. 이계조 (二季鳥) [이:계조]

한자: 二(두 이:), 季(계절 계:), 鳥(새 조)

두 계절을 나는 새라는 뜻으로, ‘기러기’를 달리 이르는 말. 기러기가 가을에 북쪽에서 날아왔다가 봄에 돌아가는 데에서 유래한다.

64. 이매조 (二梅鳥) [이:매조]

한자: 二(두 이:), 梅(매화 매), 鳥(새 조)

화투에서, 매화가 그려져 있는 화투장. 2월이나 두 끗을 나타낸다.

65. 이행조 (移行鳥) [이행조]

한자: 移(옮길 이), 行(다닐 행(:)), 鳥(새 조)

철을 따라 이리저리 옮겨 다니며 사는 새.

66. 익조 (益鳥) [익쪼]

한자: 益(더할 익), 鳥(새 조)

사람에게 직접·간접으로 도움을 주는 새. 제비, 까치, 딱따구리 따위와 같이 해충을 잡아먹는 새를 이른다.

67. 일광조 (日光鳥) [일광조]

한자: 日(날 일), 光(빛 광), 鳥(새 조)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 사는 새의 하나. 꼬리가 길며 등 이외는 모두 붉다.

68. 자조 (慈鳥) [자조]

한자: 慈(사랑 자), 鳥(새 조)

새끼가 어미에게 먹이를 날라다 주는 인자한 새라는 뜻으로, ‘까마귀’를 이르는 말.

69. 절멸조 (絕滅鳥) [절멸쪼]

한자: 絕(끊을 절), 滅(꺼질/멸할 멸), 鳥(새 조)

과거에는 생존하였으나 현재에는 사라진 새.

70. 정조 (征鳥) [정조]

한자: 征(칠 정), 鳥(새 조)

「1」날아가는 새.
「2」매, 독수리 따위의 맹금류.

71. 제조 (啼鳥) [제조]

한자: 啼(울 제), 鳥(새 조)

우는 새. 또는 새의 울음소리.

72. 진조 (珍鳥) [진조]

한자: 珍(보배 진), 鳥(새 조)

진기한 새.

73. 초혼조 (招魂鳥) [초혼조]

한자: 招(부를 초), 魂(넋 혼), 鳥(새 조)

죽은 사람의 혼령을 부르는 새라는 뜻으로, ‘두견’을 이르는 말.

74. 춘조 (春鳥) [춘조]

한자: 春(봄 춘), 鳥(새 조)

봄철의 새.

75. 칠면조 (七面鳥) [칠면조]

한자: 七(일곱 칠), 面(낯 면:), 鳥(새 조)

칠면조과의 새. 몸은 청동색·검은색·흰색 따위가 있고 꼬리가 부채 모양으로 퍼져 있으며 머리와 목에는 털이 없고 살이 늘어졌는데, 그 빛이 여러 가지로 변하므로 이 이름이 붙었다. 식용 및 애완용으로 널리 기른다.

76. 타조 (駝鳥) [타:조]

한자: 駝(낙타 타), 鳥(새 조)

타조과의 새. 키는 2~2.5미터이며, 수컷은 검은색, 암컷은 갈색이다. 머리가 작고 다리와 목이 길며 날개가 작아서 날지는 못한다. 새 가운데서 가장 크며, 다리가 튼튼하여 빨리 달리는데 최고 속도는 시속 90km 정도이다. 아시아, 아라비아, 아프리카 등지의 사막에 산다.

77. 탐조 (探鳥) [탐조]

한자: 探(찾을 탐), 鳥(새 조)

조류(鳥類)의 생태, 서식지 따위를 관찰하고 탐색함.

78. 팔색조 (八色鳥) [팔쌕쪼]

한자: 八(여덟 팔), 色(빛 색), 鳥(새 조)

팔색조과의 하나. 개똥지빠귀와 비슷한데 몸의 길이는 18cm 정도이며, 꽁지가 짧다. 등은 녹색, 머리는 갈색, 꽁지는 누런 재색, 가슴은 누런 갈색, 목과 배는 흰색, 아랫배는 선홍색, 다리는 엷은 갈색이다. 딱정벌레를 즐겨 먹는데 아시아 동남부의 삼림에 살며 우리나라에는 여름철에 제주도, 거제도, 진도 등지의 섬에서 번식하는 철새이다. 우리나라 천연기념물이다.

79. 포조 (捕鳥) [포:조]

한자: 捕(잡을 포:), 鳥(새 조)

새를 잡음.

80. 표조 (漂鳥) [표조]

한자: 漂(떠다닐 표), 鳥(새 조)

철을 따라 이리저리 옮겨 다니며 사는 새.

81. 표지조 (標識鳥) [표지조]

한자: 標(표할 표), 識(알 식), 鳥(새 조)

철새 따위의 이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발목에 표지가 되는 고리를 끼워 날려 보내는 새.

82. 하조 (夏鳥) [하:조]

한자: 夏(여름 하:), 鳥(새 조)

봄에서 초여름에 걸쳐 남쪽에서 날아와 번식하고 가을에 다시 남쪽으로 날아가는 철새. 제비, 두견, 휘파람새 따위가 있다.

83. 한조 (寒鳥) [한조]

한자: 寒(찰 한), 鳥(새 조)

「1」겨울철의 새.
「2」까마귓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은 대개 검은색이며, 번식기는 3~5월이다. 어미 새에게 먹이를 물어다 준다고 하여 ‘반포조’ 또는 ‘효조’라고도 한다. 잡식성으로 갈까마귀, 떼까마귀, 잣까마귀 따위가 있다.

84. 해조 (害鳥) [해:조]

한자: 害(해할 해:), 鳥(새 조)

사람의 생활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피해를 주는 새.

85. 해조 (海鳥) [해:조]

한자: 海(바다 해:), 鳥(새 조)

바다를 생활 터전으로 삼고 사는 새.

용례:

해조는 일반적으로 섬이나 연안에 모여 집단 번식을 한다.

86. 화조 (花鳥) [화조]

한자: 花(꽃 화), 鳥(새 조)

「1」꽃과 새를 아울러 이르는 말.
「2」꽃을 찾아다니는 새.
「3」꽃과 새를 함께 그린 그림이나 조각.

용례:

「1」화조가 그려져 있는 병풍.

87. 효조 (孝鳥) [효:조]

한자: 孝(효도 효:), 鳥(새 조)

까마귀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어 보은한다는 데에서 유래한 말로, ‘까마귀’를 달리 이르는 말.

88. 후조 (候鳥) [후조]

한자: 候(기후 후:), 鳥(새 조)

철을 따라 이리저리 옮겨 다니며 사는 새.

89. 흉조 (凶鳥) [흉조]

한자: 凶(흉할 흉), 鳥(새 조)

관습적으로 불길한 일을 가져온다고 여기는 새.

용례:

  • 서양 문화권에서 까치는 흉조이다.
  • 민간에서 까마귀는 흉조로 인식되어 왔는데 일부 지역의 솟대에서는 신조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 동짓날에 솔개나 매, 까마귀 같은 흉조가 마을 위로 지나가면 다음 해에 마을에 불상사가 발생하며 꼭 누군가가 죽는다고 한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鳥 새 조 - 1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