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지 (加持) [가지]
한자: 加(더할 가), 持(가질 지)
「1」부처와 중생이 일체가 되는 일.
「2」부처의 힘을 빌려서 병, 재난, 부정 따위를 면하기 위하여 기도를 올리는 일. 또는 그 기도.
2. 견지 (堅持) [견지]
한자: 堅(굳을 견), 持(가질 지)
「1」어떤 견해나 입장 따위를 굳게 지니거나 지킴.
「2」굳게 지지함.
3. 고지 (固持) [고지]
한자: 固(굳을 고(:)), 持(가질 지)
놓치지 않고 굳게 가지거나 지님.
용례:
의견의 고지.
4. 구지 (久持) [구:지]
한자: 久(오랠 구:), 持(가질 지)
맥을 좀 오래 짚어 보는 일. 일반적으로 맥은 1분 정도 보는데 3~5분 정도 보는 것을 이른다.
5. 군지 (軍持) [군지]
한자: 軍(군사 군), 持(가질 지)
기름종이를 부채 모양으로 접어 만든 바가지. 꼭대기에 고달이를 달아 끈을 꿰어 차게 되어 있는데, 군졸들이 가지고 다니면서 물을 마시는 데 썼다.
6. 군지 (軍持) [군지]
한자: 軍(군사 군), 持(가질 지)
「1」천수관음이 들고 있는 물병. 배가 부르고 목이 길며 물을 따르는 귀때와 손잡이 귀가 달려 있다.
「2」승려가 가지고 다니는 물병.
7. 근지 (靳持) [근지]
한자: 靳(가슴걸이 근), 持(가질 지)
선뜻 마음이 내키지 아니하여 미룸.
용례:
그는 어려운 부탁임에도 불구하고 근지를 안 하고 선뜻 들어주었다.
8. 긍지 (矜持) [긍:지]
한자: 矜(자랑할 긍:), 持(가질 지)
자신의 능력을 믿음으로써 가지는 당당함.
용례:
- 긍지가 높다.
- 긍지로 삼다.
- 그는 자신이 경찰인 것에 긍지를 가지고 있다.
- 회복되어 가는 재영이의 건강에서 자기의 의술적 수완에 대한 긍지를 느낌인지, 재영이의 치료에는 전력을 다하였다.≪김동인, 젊은 그들≫
9. 담지 (擔持) [담지]
한자: 擔(멜 담), 持(가질 지)
어떤 이론이나 사상 따위를 잇거나 지킬 수 있을 만큼 충분하게 담음.
용례:
철학의 담지.
10. 담지 (擔持) [담지]
한자: 擔(멜 담), 持(가질 지)
국악에서, 임금이 행차할 때 방향(方響)이나 교방고(敎坊鼓)를 메고 따르는 사람. 방향은 두 사람, 교방고는 네 사람이 멘다.
11. 대지 (對持) [대:지]
한자: 對(대할 대:), 持(가질 지)
서로 대립되는 양쪽이 버티고 꼼짝하지 않음.
12. 배지 (陪持) [배:지]
한자: 陪(모실 배:), 持(가질 지)
「1」지방 관아에서 장계를 가지고 서울에 가던 사람.
「2」조선 시대에, 변방의 긴급한 군사 정보를 전송하던 파발 제도. 주로 북쪽과의 긴밀한 통신을 위하여 모화관의 경영 참에서 의주 소관 참까지
41참을 두었다.
13. 보지 (保持) [보:지]
한자: 保(지킬 보(:)), 持(가질 지)
온전하게 잘 지켜 지탱해 나감.
14. 봉지 (奉持) [봉:지]
한자: 奉(받들 봉:), 持(가질 지)
경건한 마음으로 받들어 지님.
15. 봉지 (奉持) [봉:지]
한자: 奉(받들 봉:), 持(가질 지)
조선 시대에, 임금이 거둥할 때 말을 타고 교룡기를 받들고 가던 금군(禁軍).
16. 부지 (不持) [부지]
한자: 不(아닐 불), 持(가질 지)
가지고 있지 아니함.
17. 부지 (扶持) [부지]
한자: 扶(도울 부), 持(가질 지)
상당히 어렵게 보존하거나 유지하여 나감.
용례:
다행히 적병을 이기면 평양성은 며칠을 더 유지할 것이고, 만일 불행해서 패하게 된다면 평양성은 부지를 못하게 될 걸세.≪박종화, 임진왜란≫
18. 상지 (相持) [상지]
한자: 相(서로 상), 持(가질 지)
서로 자기의 의견만을 고집하고 양보하지 아니함.
용례:
- 남편은 이 산상에다가 축성하려 하고 아내는 시방 성 있는 곳에 쌓는 것이 옳다 하여 상지가 되다가….≪최남선, 심춘순례≫
- 입장권을 사기 전에 윤 직원 영감과 춘심이 사이에는 또 한바탕 상지가 생겼습니다.≪채만식, 태평천하≫
19. 생계유지 (生計維持) [생계유지]
한자: 生(날 생), 計(셀 계:), 維(벼리 유), 持(가질 지)
살아 나갈 방도를 찾아서 계속 이어 나감.
용례:
- 그는 정년퇴직을 하고도 생계유지를 위해 다시 직장을 구했다.
- 물가가 급격하게 오르면서 지금의 최저 임금으로는 생계유지가 어렵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20. 소지 (所持) [소:지]
한자: 所(바 소:), 持(가질 지)
「1」물건을 지니고 있는 일. 또는 그런 물건.
「2」민법에서, 사회 통념으로 보아 물건이 사실적으로 지배되어 있다고 보이는 객관적 상태를 이르는 말.
「3」형법에서, 목적물을 사실적인
지배하에 둔 상태를 이르는 말.
용례:
- 「1」이 공원에 경로 우대증 소지 노인은 무료입장이다.
- 「1」신용 카드는 현금 소지에 따른 불편과 분실 위험을 덜어 준다.
21. 수지 (受持) [수지]
한자: 受(받을 수(:)), 持(가질 지)
경전이나 계율을 받아 항상 잊지 않고 머리에 새겨 가짐.
22. 염지 (念持) [염:지]
한자: 念(생각 념:), 持(가질 지)
십지(十地)의 넷째 단계. 번뇌를 태워 없애 지혜가 더욱 성하는 단계이다.
23. 유지 (維持) [유지]
한자: 維(벼리 유), 持(가질 지)
어떤 상태나 상황을 그대로 보존하거나 변함없이 계속하여 지탱함.
용례:
- 질서 유지.
- 평화 유지.
- 건강 유지.
- 이 상태로 나가다가는 현상 유지도 어려울 것 같다.
24. 자지 (自持) [자지]
한자: 自(스스로 자), 持(가질 지)
「1」자기가 가짐.
「2」스스로 지님.
25. 작지 (作持) [작찌]
한자: 作(지을 작), 持(가질 지)
불상, 불당, 탑을 만들고 경전을 외는 일 따위의 선근(善根)을 쌓는 온갖 좋은 일.
26. 전지 (傳持) [전지]
한자: 傳(전할 전), 持(가질 지)
교법(敎法)을 전하여 받아 지님. 또는 그런 일.
27. 전화지 (轉花持) [전:화지]
한자: 轉(구를 전:), 花(꽃 화), 持(가질 지)
춘앵전(春鶯囀)에서, 뒤로 두 팔을 여미고 한 팔씩 들고 솟아 뛰는 춤사위.
28. 주지 (住持) [주:지]
한자: 住(살 주:), 持(가질 지)
「1」세상에 머물러 교법(敎法)을 보존하고 유지함.
「2」절을 주관하는 승려.
용례:
- 「2」주지 스님.
- 「2」절의 주지를 맡다.
- 「2」내가 처음 머리를 깎았던 절의 주지로부터 노사의 거처를 알아냈다.≪김성동, 만다라≫
29. 지지 (支持) [지지]
한자: 支(지탱할 지), 持(가질 지)
「1」어떤 사람이나 단체 따위의 주의·정책·의견 따위에 찬동하여 이를 위하여 힘을 씀. 또는 그 원조.
「2」무거운 물건을 받치거나 버팀.
「3」주가 하락이 매입 세력에 의하여 어느 선에서 더
이상 계속되지 아니하는 일.
용례:
- 「1」지지 세력.
- 「1」지지를 받다.
- 「1」지지를 호소하다.
- 「1」정부의 정책에 지지를 보내다.
- 「1」그는 대중의 전폭적인 지지를 얻었다.
- 「1」그는 대다수 국민의 지지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30. 지지 (止持) [지지]
한자: 止(그칠 지), 持(가질 지)
몸과 말로 하는 나쁜 짓을 억제하여 죄업을 짓지 아니함.
31. 질서유지 (秩序維持) [질써유지]
한자: 秩(차례 질), 序(차례 서:), 維(벼리 유), 持(가질 지)
사회의 평온을 유지하고, 그 평온에 대한 위해(危害)를 사전에 방지하는 일. 입법 군주 국가에서의 공공의 안녕질서와 같은 개념으로 보는 견해이다.
용례: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질서 유지에 힘써야 한다.
32. 초지 (初持) [초지]
한자: 初(처음 초), 持(가질 지)
「1」맥을 짧은 시간 짚어 보는 일. 일반적으로 맥은 1분 정도 짚어 보는데, 이보다 짧은 시간 짚어 보는 것을 이른다.
「2」맥을 짚을 때에 먼저 손끝을 촌구 부위에 가볍게 대어 보는 일. 부맥을
가려볼 수 있다.
33. 파지 (把持) [파지]
한자: 把(잡을 파:), 持(가질 지)
「1」꽉 움키어 쥐고 있음.
「2」경험에서 얻은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작용.
34. 포지 (抱持) [포:지]
한자: 抱(안을 포:), 持(가질 지)
마음에 지님.
35. 포지 (抱持) [포:지]
한자: 抱(안을 포:), 持(가질 지)
안아 일으킴.
36. 품지 (稟持) [품:지]
한자: 稟(여쭐 품:), 持(가질 지)
불법을 전하여 받아 잘 간직함.
37. 행지 (行持) [행지]
한자: 行(다닐 행(:)), 持(가질 지)
불도를 닦아 지님.
38. 협지 (挾持) [협찌]
한자: 挾(낄 협), 持(가질 지)
「1」옆에서 부축함.
「2」마음속에 품음.
「3」물건을 손에 들거나 몸에 지님.
39. 호지 (護持) [호:지]
한자: 護(도울 호:), 持(가질 지)
보호하여 지님.
40. 휴지 (携持) [휴지]
한자: 携(이끌 휴), 持(가질 지)
손에 들거나 몸에 지니고 다님.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