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靜 고요할 정

1. 냉정 (冷靜) [냉:정]

한자: 冷(찰 랭:), 靜(고요할 정)

생각이나 행동이 감정에 좌우되지 않고 침착함.

용례:

  • 냉정을 되찾다.
  • 냉정을 잃다.
  • 그녀는 그 말을 듣자 오히려 냉정을 회복했다.
  • 모두가 제정신이 아닌 그 북새 속에서도 끝까지 냉정을 잃지 않는 사람은 애오라지 외할머니 혼자뿐이었다.≪윤흥길, 장마≫

2. 동정 (動靜) [동:정]

한자: 動(움직일 동:), 靜(고요할 정)

「1」물질의 운동과 정지.
「2」사람이 일상적으로 하는 일체의 행위.
「3」일이나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낌새.

용례:

  • 「3」적의 동정을 살피다.
  • 「3」동정을 엿보다.
  • 「3」달포나 약을 먹고 치료를 해도 감기는 나으려는 동정이 보이지 않는다.
  • 「3」덮쳐 오는 졸음과 싸워 가며 나는 방 안 동정에 귀를 곤두세웠다.≪윤흥길, 장마≫

3. 숙정 (肅靜) [숙쩡]

한자: 肅(엄숙할 숙), 靜(고요할 정)

‘숙정하다’
(조용하고 엄숙하다.)의 어근.

4. 안정 (安靜) [안정]

한자: 安(편안 안), 靜(고요할 정)

「1」육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편안하고 고요함.
「2」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몸과 마음을 편안하고 고요하게 함.

용례:

  • 「1」마음의 안정을 잃다.
  • 「1」도석은 몹시 흥분에 젖어 냉정과 심리적 안정을 되찾지 못하고 있었다.≪최인호, 지구인≫
  • 「1」형, 이런 날은 빨리 밤이 왔으면. 불빛이 차라리 마음의 안정을 가져다줄 것만 같습니다.≪박목월, 구름의 서정≫
  • 「2」안정을 취하다.
  • 「2」저 환자는 절대적인 안정이 필요합니다.
  • 「2」상처의 고통이 심한 모양인데 안정을 해야 될 것 같습니다.≪이병주, 지리산≫

5. 연정 (淵靜) [연정]

한자: 淵(못 연), 靜(고요할 정)

‘연정하다’
(「1」연못이 깊고 고요하다.
「2」속이 깊고 고요하다.)의 어근.

6. 염정 (恬靜) [염정]

한자: 恬(편안할 념), 靜(고요할 정)

‘염정하다’
(편안하고 고요하다.)의 어근.

7. 영정 (寧靜) [영정]

한자: 寧(편안 녕), 靜(고요할 정)

평안하고 고요함.

8. 유정 (幽靜) [유정]

한자: 幽(그윽할 유), 靜(고요할 정)

‘유정하다’
(그윽하고 조용하다.)의 어근.

9. 입정 (入靜) [입쩡]

한자: 入(들 입), 靜(고요할 정)

도가(道家)에서, 방에 가만히 있어 아무 생각도 근심도 없는 경지에 드는 일.

용례:

  • 입정 수련.
  • 입정에 도달하다.

10. 적정 (寂靜) [적쩡]

한자: 寂(고요할 적), 靜(고요할 정)

‘적정하다’
(매우 괴괴하고 고요하다.)의 어근.

11. 적정 (寂靜) [적쩡]

한자: 寂(고요할 적), 靜(고요할 정)

마음에 번뇌가 없고, 몸에 괴로움이 사라진 해탈·열반의 경지.

12. 절대안정 (絕對安靜) [절때안정]

한자: 絕(끊을 절), 對(대할 대:), 安(편안 안), 靜(고요할 정)

환자를 누운 자세로 오랫동안 휴식하게 하고 외부와 접촉을 끊도록 하는 일.

용례:

  • 절대 안정을 요하는 환자.
  • 절대 안정을 취하다.

13. 정정 (貞靜) [정정]

한자: 貞(곧을 정), 靜(고요할 정)

‘정정하다’
(여자의 행실이 곧고 깨끗하며 조용하다.)의 어근.

14. 진정 (鎭靜) [진:정]

한자: 鎭(진압할 진(:)), 靜(고요할 정)

「1」몹시 소란스럽고 어지러운 일을 가라앉힘.
「2」격앙된 감정이나 아픔 따위를 가라앉힘.

용례:

  • 「1」여론의 진정을 위해 담화를 발표하다.
  • 「1」병식은 안방의 난리가 진정이 된 뒤에도 눈을 딱 감고 한참이나 무엇을 생각하더니….≪심훈, 영원의 미소≫
  • 「2」너무 화가 나서 도저히 진정을 할 수 없다.
  • 「2」눈물은 진정을 하려 할수록 더욱 쏟아졌다.≪현진건, 적도≫
  • 「2」그 여자는 한참 동안 흐느끼더니 다시 진정이 되어 갔다.≪박태순, 무너지는 산≫

15. 청정 (淸靜) [청정]

한자: 淸(맑을 청), 靜(고요할 정)

「1」맑고 고요함.
「2」욕심이 없고 마음이 깨끗함.

용례:

「1」청정이 깃들다.

16. 충정 (沖靜) [충정]

한자: 沖(화(和)할 충), 靜(고요할 정)

‘충정하다’
(마음이 편안하고 고요하다.)의 어근.

17. 침정 (沈靜) [침정]

한자: 沈(잠길 침(:)), 靜(고요할 정)

마음이 차분히 가라앉을 수 있을 만큼 조용함. 또는 그런 상태.

용례:

이 전등불을 신호 삼듯, 집 안의 조심스러운 침정을 깨뜨리고 별안간, 투덕투덕 구둣발 소리가 안중문께서 요란하더니….≪채만식, 태평천하≫

18. 평정 (平靜) [평정]

한자: 平(평평할 평), 靜(고요할 정)

평안하고 고요함. 또는 그런 상태.

용례:

  • 마음의 평정.
  • 평정을 잃다.
  • 웃음 띠었던 그의 얼굴이 굳어지더니 곧 평정을 되찾았다.≪김원일, 불의 제전≫
  • 세상은 이미 주인이 바뀌고 마을에는 다시 평정이 찾아왔다.≪홍성원, 육이오≫

19. 피정 (避靜) [피:정]

한자: 避(피할 피:), 靜(고요할 정)

일상생활에서 벗어나 성당이나 수도원 같은 곳에서 묵상이나 기도를 통하여 자신을 살피는 일.

20. 한정 (閑靜) [한정]

한자: 閑(한가할 한), 靜(고요할 정)

‘한정하다’
(오래도록 한가하고 평안하다.)의 어근.

21. 허정 (虛靜) [허정]

한자: 虛(빌 허), 靜(고요할 정)

아무것도 생각하지 아니하고 사물에 마음이 움직이지 아니하는 상태에 있음. 또는 그런 정신 상태.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