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制 절제할 제: - 2

46. 모계제 (母系制) [모:계제]

한자: 母(어미 모:), 系(이어맬 계:), 制(절제할 제:)

혈통이나 상속이 어머니의 계통을 따라 이루어지는 사회 제도.

47. 모병제 (募兵制) [모병제]

한자: 募(모을/뽑을 모), 兵(병사 병), 制(절제할 제:)

자원자를 모집하여 군대를 유지하는 제도.

용례:

모병제를 채택하면 병정의 수가 줄어들 우려가 있다.

48. 묘제 (墓制) [묘:제]

한자: 墓(무덤 묘:), 制(절제할 제:)

묘에 대한 관습이나 제도.

용례:

백제 때의 묘제를 그대로 간직하다.

49. 무시험제 (無試驗制) [무시험제]

한자: 無(없을 무), 試(시험 시(:)), 驗(시험 험:), 制(절제할 제:)

입학, 채용 따위에서 시험을 치르지 않는 제도.

용례:

Y 대학만은 무시험제를 택하여 각 고등학교의 자기 반에서 1등으로 졸업하는 학생들을 받아들였기 때문에….≪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50. 무절제 (無節制) [무절쩨]

한자: 無(없을 무), 節(마디 절), 制(절제할 제:)

절제함이 없음.

용례:

악식과 무절제로 조로하여 허리가 굽고 힘은 쓰기도 전에 숨 먼저 찼다.≪박완서, 미망≫

51. 반강제 (半強制) [반:강제]

한자: 半(반(半) 반:), 強(강할 강(:)), 制(절제할 제:)

사실상 강제로 하는 것과 다를 바 없음.

용례:

  • 그는 나를 반강제로 입원시켜 온갖 검사를 받게 했다.
  • 형은 말로는 도와달라고 했지만 태도는 반강제였다.
  • 심지어는 상이군인까지 은행 앞에서 목을 지키고 있다가 득철이를 납치하듯 한쪽으로 끌고 가서 반강제로 돈을 공제해 가버렸다는 것이다.≪송기숙, 자랏골의 비가≫

52. 반체제 (反體制) [반:체제]

한자: 反(돌이킬/돌아올 반:), 體(몸 체), 制(절제할 제:)

기존의 사회와 정치 체제를 부정함.

용례:

  • 반체제 인사.
  • 반체제 세력.

53. 배급제 (配給制) [배:급쩨]

한자: 配(나눌/짝 배:), 給(줄 급), 制(절제할 제:)

어떤 물품을 배급하는 제도.

용례:

어느 곳도 춘궁에 휩싸여 고기와 바꿔 먹을 양식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돈을 가지고 간다고 해도 배급제가 되어 있는 세상에서 양식을 구하기가 어려웠다.≪이병주, 지리산≫

54. 법제 (法制) [법쩨]

한자: 法(법 법), 制(절제할 제:)

「1」법률과 제도를 아울러 이르는 말.
「2」법률로 정해진 각종의 제도.
「3」법률의 제도 또는 체제.
「4」법률의 제정.

용례:

「1」법제를 정비하다.

55. 병제 (兵制) [병제]

한자: 兵(병사 병), 制(절제할 제:)

군을 건설·유지·관리·운용하는 데에 필요한 모든 제도.

용례:

우리나라의 병제는 가장 근고에 마련된 것인데, 세조께서 군액을 더 늘려서 사람이 부족하자 전직의 조관으로 채우기까지 하였습니다.≪번역 중종실록≫

56. 보도관제 (報道管制) [보:도관제]

한자: 報(갚을/알릴 보:), 道(길 도:), 管(대롱/주관할 관), 制(절제할 제:)

필요에 따라 대중 매체의 보도를 관리하면서 통제하는 일.

용례:

  • 전시에는 아군의 사기 진작을 위해 보도 관제가 필요하다.
  • 지난해 광주에서 발생한 학생 사건은 아무리 보도 관제를 하여도 사람들 입을 통해 소상히 파급된 사실인데….≪박경리, 토지≫

57. 보상제 (報償制) [보:상제]

한자: 報(갚을/알릴 보:), 償(갚을 상), 制(절제할 제:)

끼친 손해에 대하여 갚는 제도.

용례:

행정 서비스 보상제.

58. 복제 (服制) [복쩨]

한자: 服(옷 복), 制(절제할 제:)

「1」상례(喪禮)에서 정한 오복(五服)의 제도.
「2」옷차림에 대한 규정.
「3」상복을 입는 일. 또는 상을 당한 일.

용례:

  • 「1」복제를 간소화하다.
  • 「1」복제를 엄격히 지키다.
  • 「2」그 위계는 대군의 위에 두고 그 복제는 기린 흉배에 옥대를 쓰게 하고….≪김동인, 운현궁의 봄≫
  • 「3」복제 문안.
  • 「3」복제 인사.
  • 「3」아우의 복제를 당하다.
  • 「3」예판 대감이 돌아가셨단 말인가? 그거참 안되었네. 복제 말씀은 드릴 말이 없네.≪박종화, 임진왜란≫

59. 부절제 (不節制) [부절쩨]

한자: 不(아닐 불), 節(마디 절), 制(절제할 제:)

의욕을 이기지 못하여서 알맞게 조절하지 못함.

용례:

음식에 대한 부절제로 건강을 해치다.

60. 부제 (部制) [부제]

한자: 部(떼 부), 制(절제할 제:)

「1」전체를 몇 부분으로 구분하여 운영하는 제도.
「2」조직체에 부(部)를 두어 업무를 분담하는 제도.

용례:

「1」승용차 5부제 운동.

61. 비례제 (比例制) [비:례제]

한자: 比(견줄 비:), 例(법식 례:), 制(절제할 제:)

주어진 수량상의 비율에 따라서 실시하는 제도나 방식.

용례: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양만큼 수수료를 차등 부과하는 비례제가 시행되면서 전체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이 줄어들었다.

62. 사륙제 (四六制) [사:륙쩨]

한자: 四(넉 사:), 六(여섯 륙), 制(절제할 제:)

「1」수확한 곡식의 4할은 지주가 가지고 나머지 6할은 소작인이 가지던 제도.
「2」몫이나 배당 따위를 나눌 때, 전체를 10으로 보고 4대 6으로 나누어 가지는 일.

용례:

  • 「2」우리는 이익금을 사륙제로 나누기로 합의했다.
  • 「2」보수를 받으면 거기서 호텔 측에 얼마큼은 떼어 주고 나머지는 주인과 사륙제로 분배해 가진다.≪한무숙, 어둠에 갇힌 불꽃들≫

63. 삼칠제 (三七制) [삼칠쩨]

한자: 三(석 삼), 七(일곱 칠), 制(절제할 제:)

「1」수확한 곡식의 3할은 지주가 가지고 나머지 7할을 소작인이 가지던 제도.
「2」몫이나 배당 따위를 나눌 때, 전체를 10으로 보고 3 대 7로 나누어 가지는 일.

용례:

  • 「1」그즈음 벌써 소작료는 사륙제니 삼칠제니 하고, 지주에게 불리한 조건만이 떠돌고 있었다.≪황순원, 카인의 후예≫
  • 「2」자신의 연기가 담긴 사진을 일 매에 삼십 원씩 손님들에게 팔아 그 돈을 단체와 삼칠제로 나누어 가졌다.≪한수산, 부초≫

64. 상제 (喪制) [상제]

한자: 喪(잃을 상(:)), 制(절제할 제:)

「1」부모나 조부모가 세상을 떠나서 거상 중에 있는 사람.
「2」상례에 관한 제도.

용례:

「1」상여가 영영 마을을 하직하고 떠날 때, 상제들의 통곡은 정말 사무치는 것이었다.≪하근찬, 야호≫

65. 상한제 (上限制) [상:한제]

한자: 上(윗 상:), 限(한할 한:), 制(절제할 제:)

가격이나 수량 따위가 일정한 수준 위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한계를 정하는 제도.

용례:

  • 아파트 분양가의 상한제가 폐지되다.
  • 더 많은 팬들이 경기장에 와서 경기를 관람할 수 있도록 티켓 가격에 상한제를 도입하기로 하였다.

66. 선거구제 (選擧區制) [선:거구제]

한자: 選(가릴 선:), 擧(들 거:), 區(구분할/지경 구), 制(절제할 제:)

선거구별로 의원을 뽑는 제도. 선거구에 배당된 의원의 수에 따라 대선거구제, 중선거구제, 소선거구제로 나뉜다.

용례:

선거구제를 개편하다.

67. 선제 (先制) [선제]

한자: 先(먼저 선), 制(절제할 제:)

선수를 쳐서 상대편을 제압함.

용례:

우리 팀은 선제 홈런을 맞고도 결국 경기를 승리로 이끌었다.

68. 세제 (稅制) [세:제]

한자: 稅(세금 세:), 制(절제할 제:)

세금을 매기고 거두어들이는 것에 관한 제도.

용례:

세제 개혁.

69. 순번제 (順番制) [순:번제]

한자: 順(순할 순:), 番(차례 번), 制(절제할 제:)

차례대로 돌아가면서 어떤 일을 하는 제도.

용례:

그들은 순번제로 망을 보게 하고…잠을 청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70. 시제 (時制) [시제]

한자: 時(때 시), 制(절제할 제:)

어떤 사건이나 사실이 일어난 시간 선상의 위치를 표시하는 문법 범주. 과거·현재·미래가 있으며, 발화시를 기준으로 한 절대 시제와 사건시를 기준으로 한 상대 시제가 있다.

71. 시험제 (試驗制) [시험제]

한자: 試(시험 시(:)), 驗(시험 험:), 制(절제할 제:)

시험으로 학력이나 기술 따위의 우열을 가리거나, 급락(及落)이나 채용 여부를 결정하는 제도.

용례:

여섯 시간 걸려 철학 논문을 쓰게 하는 프랑스식 시험제를 도입하든지 하지 않고선….≪이병주, 행복어 사전≫

72. 신체제 (新體制) [신체제]

한자: 新(새 신), 體(몸 체), 制(절제할 제:)

개혁이나 재조직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질서와 편제.

용례:

모든 기관은 신체제에 맞게 재정비되어야 할 것이다.

73. 실명제 (實名制) [실명제]

한자: 實(열매 실), 名(이름 명), 制(절제할 제:)

「1」생산자나 판매자, 사용자 따위의 실제 이름을 밝히는 제도.
「2」은행 예금이나 증권 투자 따위 금융 거래를 할 때에 실제 명의로 하여야 하며, 가명이나 무기명 거래는 인정하지 않는 제도. 금융 거래의 정상화와 합리적 과세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용례:

  • 「1」인터넷 실명제.
  • 「1」판매자 실명제는 고객 서비스를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74. 십부제 (十部制) [십뿌제]

한자: 十(열 십), 部(떼 부), 制(절제할 제:)

자동차 등록 번호의 끝수와 날짜의 끝수가 같을 때 자동차를 운행하지 아니하는 제도.

용례:

승용차의 십부제 운행.

75. 안상제 (안喪制) [안쌍제]

한자: 喪(잃을 상(:)), 制(절제할 제:)

여자 상제.

용례:

당시의 풍습이 그러했는지, 우리 집안만의 가풍이었는지 안상제들은 상여 채를 부여잡고 서럽게 울기만 하다가 슬그머니 물러나고 장지까지 따라가지 않았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76. 압제 (壓制) [압쩨]

한자: 壓(누를 압), 制(절제할 제:)

권력이나 폭력으로 남을 꼼짝 못 하게 강제로 누름.

용례:

  • 압제를 받다.
  • 가난과 압제에 시달리다.
  • 압제에서 벗어나다.
  • 압제에 항거하다.
  • 그 어떤 폭력이나 압제도 우리들의 내심까지 지배할 수는 없다.≪이문열, 영웅시대≫

77. 양극체제 (兩極體制) [양:극체제]

한자: 兩(두 량(양):), 極(다할/극진할 극), 體(몸 체), 制(절제할 제:)

세계가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두 개의 진영으로 갈리어 대립하고 있던 상태.

용례:

세계 정세는 해빙 무드와 함께 미소의 이념적 양극 체제가 무너지고 다극화 현상이 나타났다.

78. 양제 (洋制) [양제]

한자: 洋(큰바다 양), 制(절제할 제:)

서양식 제도나 격식.

용례:

언석의 집은 삼만여 평의 터에다 오백여 칸의 집을 지었는데 한제(漢制)와 양제를 섞어 지었다.≪한용운, 흑풍≫

79. 억제 (抑制) [억쩨]

한자: 抑(누를 억), 制(절제할 제:)

「1」감정이나 욕망, 충동적 행동 따위를 내리눌러서 그치게 함.
「2」정도나 한도를 넘어서 나아가려는 것을 억눌러 그치게 함.
「3」자극으로 흥분한 신경 세포의 활동이 다른 신경 세포에 의하여 억눌림.

용례:

  • 「1」사대부 집 여인으로 감정의 억제가 일상이었으니….≪박경리, 토지≫
  • 「1」당장의 절박함, 또는 의도적인 억제로 아직 표면화되고 있지는 않지만 언젠가는….≪이문열, 영웅시대≫
  • 「2」인구 증가 억제.
  • 「2」소비 억제.
  • 「2」임금 인상 억제.
  • 「2」수도권 개발 억제.

80. 엄제 (嚴制) [엄제]

한자: 嚴(엄할 엄), 制(절제할 제:)

엄격히 통제함. 또는 그런 제도.

용례:

비록 엄제가 있으나 이용선이가 도피하여 잡지 못하였더니….≪독립신문≫

81. 연방제 (聯邦制) [연방제]

한자: 聯(연이을 련), 邦(나라 방), 制(절제할 제:)

연방의 정치 제도.

82. 연봉제 (年俸制) [연봉제]

한자: 年(해 년), 俸(녹(祿) 봉:), 制(절제할 제:)

급료를 일 년 단위로 계산하여 결정하고 매월 급여를 지급하는 제도.

용례:

우리 회사는 생산성 증대를 위해 내년부터 연봉제를 도입할 예정이다.

83. 연좌제 (緣坐制) [연좌제]

한자: 緣(인연 연), 坐(앉을 좌:), 制(절제할 제:)

범죄자와 일정한 친족 관계가 있는 자에게 연대적으로 그 범죄의 형사 책임을 지우는 제도. 친족이나 가족의 범위는 주로 3촌의 근친이나 처첩에 한정되었으며, 198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사실상 없어졌다.

용례:

  • 연좌제를 적용하다.
  • 공식적으로 연좌제는 80년대 초반에 폐지되었지만 나는 아직도 아버지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워지지는 못했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84. 예약제 (豫約制) [예:약쩨]

한자: 豫(미리 예:), 約(맺을 약), 制(절제할 제:)

상품 구매나 서비스 이용 따위를 미리 약속하는 제도나 방식.

용례:

우리 미용실은 예약제로 운영되는데 다음 달까지 예약이 차 있습니다.

85. 왕제 (王制) [왕제]

한자: 王(임금 왕), 制(절제할 제:)

「1」임금이 정한 제도.
「2」세습 군주가 나라를 다스리는 정치 형태. 입헌 군주제와 전제 군주제가 있다.

86. 요금제 (料金制) [요:금제]

한자: 料(헤아릴 료(:)), 金(쇠 금), 制(절제할 제:)

물건이나 서비스 따위를 이용하는 대가로 돈을 내는 제도. 또는 그런 돈의 체계.

용례:

  • 휴대 전화 요금제.
  • 선불식 요금제.
  • 청소년 할인 요금제에 가입하다.
  • 장기 이용 고객에게는 더 많이 할인해 주는 요금제가 출시되었습니다.

87. 월급제 (月給制) [월급쩨]

한자: 月(달 월), 給(줄 급), 制(절제할 제:)

한 달을 단위로 급료를 계산하여 주는 제도.

용례:

선장과 주방장은 월급제라서 선주에게 월급만 받으면 그만이지만….≪박해준, 이산별곡≫

88. 유제 (遺制) [유제]

한자: 遺(남길 유), 制(절제할 제:)

예로부터 전하여 오는 제도.

용례:

요즘도 촌락 구성원이나 친족 집단 간에는 공동체적 유제가 계속되고 있다.

89. 윤번제 (輪番制) [윤번제]

한자: 輪(바퀴 륜), 番(차례 번), 制(절제할 제:)

돌아가며 차례로 하는 방식이나 제도.

용례:

발표를 윤번제로 진행하다.

90. 음향관제 (音響管制) [음향관제]

한자: 音(소리 음), 響(울릴 향:), 管(대롱/주관할 관), 制(절제할 제:)

도심 지대의 중요한 기관이나 학교, 병원 또는 소음의 제거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차량의 경적을 울리지 못하게 하거나 시끄러운 소리를 내지 못하게 하는 일.

용례:

음향관제를 알리는 표지판을 세우다.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制 절제할 제: - 1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制 절제할 제: - 3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