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 의원내각제 (議院內閣制) [의원내:각쩨]
한자: 議(의논할 의(:)), 院(집 원), 內(안 내:), 閣(집 각), 制(절제할 제:)
국회의 신임에 따라 정부가 성립·존속하는 정치 제도. 18세기 초에 영국에서 처음 성립되었으며, 다수당을 중심으로 행정부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국민은 국회를 통하여 정부의 시책을 감시할 수 있다.
92. 이교대제 (二交代制) [이:교대제]
한자: 二(두 이:), 交(사귈 교), 代(대신할 대:), 制(절제할 제:)
작업을 제정된 시간만큼씩 두 교대로 하는 제도.
용례:
우리 공장에서는 이교대제로 작업을 한다.
93. 일급제 (日給制) [일급쩨]
한자: 日(날 일), 給(줄 급), 制(절제할 제:)
하루를 단위로 급료를 계산하여 주는 제도.
용례:
- 일급제를 실시하다.
- 일급제를 폐지하다.
94. 일당제 (日當制) [일땅제]
한자: 日(날 일), 當(마땅 당), 制(절제할 제:)
하루를 단위로 급료를 계산하여 주는 제도.
용례:
형식상으로야 매일 지급하는 전표 때문에 일당제라고 하여 하루살이 인생이니 열두 냥짜리 인생이니 하지만 사실은 반나절 인생도 못 되었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95. 일부다처제 (一夫多妻制) [일부다처제]
한자: 一(한 일), 夫(지아비 부), 多(많을 다), 妻(아내 처), 制(절제할 제:)
한 남편이 동시에 여러 아내를 두는 혼인 제도.
96. 일부일처제 (一夫一妻制) [일부일처제]
한자: 一(한 일), 夫(지아비 부), 一(한 일), 妻(아내 처), 制(절제할 제:)
한 남편이 한 아내만 두는 혼인 제도.
97. 일처다부제 (一妻多夫制) [일처다부제]
한자: 一(한 일), 妻(아내 처), 多(많을 다), 夫(지아비 부), 制(절제할 제:)
일처다부의 혼인 제도. 군집 혼인으로부터 단혼(單婚)으로 옮아가는 과정에서 있었다.
용례:
- 일처다부제 사회.
- 일처다부제를 시행하다.
98. 임명제 (任命制) [임:명제]
한자: 任(맡길 임(:)), 命(목숨 명:), 制(절제할 제:)
관직이나 공공의 직무를 어떤 한정된 신분의 사람에게 임명하는 제도.
99. 자제 (自制) [자제]
한자: 自(스스로 자), 制(절제할 제:)
자기의 감정이나 욕망을 스스로 억제함.
용례:
- 시민 단체는 호화 해외여행에 대한 자제를 촉구했다.
- 자칫하면 다시 쏟아질 것 같은 눈물을 억누르며 그렇게 담담히 대답할 수 있었던 것만도 놀라운 자제의 결과였다.≪이문열, 영웅시대≫
100. 자치제 (自治制) [자치제]
한자: 自(스스로 자), 治(다스릴 치), 制(절제할 제:)
지방의 행정을 지방 주민이 선출한 기관을 통하여 처리하는 제도.
101. 장제 (葬制) [장:제]
한자: 葬(장사지낼 장:), 制(절제할 제:)
장사를 지내는 방식과 제도. 토장(土葬), 화장(火葬), 수장(水葬), 풍장(風葬), 조장(鳥葬) 따위의 장법(葬法)과 사후의 제사가 포함된다. 각 겨레가 지니는 사생관, 영혼관, 내세관 따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다.
용례:
삼국 시대의 장제는 삼국이 조금씩 달랐다.
102. 전일제 (全日制) [저닐쩨]
한자: 全(온전 전), 日(날 일), 制(절제할 제:)
「1」어떤 일을 온종일 실시하도록 만든 제도.
「2」일반적으로 평일 주간에 규칙적으로 수업을 하는 제도. 흔히 학교에서 채택하는 방식이다.
용례:
「1」토요 전일제 근무.
103. 전제 (田制) [전제]
한자: 田(밭 전), 制(절제할 제:)
논밭에 관한 제도.
용례:
- 전제 개혁.
- 전제를 정비하다.
104. 전제 (專制) [전제]
한자: 專(오로지 전), 制(절제할 제:)
「1」다른 사람의 의사는 존중하지 않고 제 생각대로만 일을 결정함.
「2」국가의 권력을 개인이 장악하고 그 개인의 의사에 따라 모든 일을 처리함.
용례:
- 「1」한 사람의 전제에 대항한 이야기 속의 주인공들이었다.≪조세희, 육교 위에서≫
- 「2」전제 왕권을 강화하다.
- 「2」역사 이래 실컷 전제만 받아 온 백성이 겨우 해방을 맞이했는데 곧바로 또 공산 독재를 받아야 한다면 너무나 쓸쓸하지 않을까.≪이병주, 지리산≫
105. 전표제 (傳票制) [전표제]
한자: 傳(전할 전), 票(표 표), 制(절제할 제:)
전표를 가진 사람에게만 물건을 내주거나 상품을 파는 제도.
용례:
전표제로 팔다.
106. 절제 (節制) [절쩨]
한자: 節(마디 절), 制(절제할 제:)
정도에 넘지 아니하도록 알맞게 조절하여 제한함.
용례:
- 감정의 절제.
- 절제 있는 생활.
- 한번 절제를 잃어버린 악의는 점점 걷잡을 수 없게 동영을 휘몰았다.≪이문열, 영웅시대≫
107. 정가제 (定價制) [정:까제]
한자: 定(정할 정:), 價(값 가), 制(절제할 제:)
정해진 가격대로 상품을 판매하는 제도.
용례:
온라인 매장인지 아닌지에 상관없이 정가제를 도입하여 물건을 판매하고 있다.
108. 정원제 (定員制) [정:원제]
한자: 定(정할 정:), 員(인원 원), 制(절제할 제:)
어떤 일이나 기관 따위에 참가하는 사람의 수효를 일정하게 정한 제도.
용례:
- 졸업 정원제.
- 이 학원은 정원제로 학생을 모집합니다.
109. 정찰제 (正札制) [정:찰쩨]
한자: 正(바를 정(:)), 札(편지 찰), 制(절제할 제:)
가격표를 상품에 붙이고 그 가격대로 판매하도록 하는 제도.
용례:
- 건전한 시장 질서 확립을 위해 정찰제가 도입되었다.
- 정찰제를 실시하여 불필요한 흥정을 없앴다.
110. 종량제 (從量制) [종냥제]
한자: 從(좇을 종(:)), 量(헤아릴 량), 制(절제할 제:)
물품의 무게나 길이, 용량에 따라 세금이나 이용 요금을 매기는 제도.
111. 주급제 (週給制) [주급쩨]
한자: 週(주일 주), 給(줄 급), 制(절제할 제:)
한 주를 단위로 급료를 계산하여 주는 제도.
용례:
이 회사에서는 주급제를 실시한다.
112. 주문제 (注文制) [주:문제]
한자: 注(부을 주:), 文(글월 문), 制(절제할 제:)
생산자가 수요자의 주문에 따라 상품을 생산·공급하는 제도.
113. 중임제 (重任制) [중:임제]
한자: 重(무거울 중:), 任(맡길 임(:)), 制(절제할 제:)
원래 정해진 임기를 다 마친 뒤에 다시 그 직위에 임용할 수 있는 제도.
용례:
이사장 중임제를 도입하고자 했으나 무산되었다.
114. 지자제 (地自制) [지자제]
한자: 地(따 지), 自(스스로 자), 制(절제할 제:)
‘지방 자치 제도’(지방의 행정을 지방 주민이 선출한 기관을 통하여 처리하는 제도.)를 줄여 이르는 말.
115. 직선제 (直選制) [직썬제]
한자: 直(곧을 직), 選(가릴 선:), 制(절제할 제:)
‘직접 선거 제도’(국민이 직접 선거를 통하여 대표를 선출하는 제도.)를 줄여 이르는 말.
116. 직제 (職制) [직쩨]
한자: 職(직분 직), 制(절제할 제:)
「1」직무나 직위에 관한 제도.
「2」국가의 행정 조직 및 권한을 정하는 법규.
용례:
「1」곧 직제 개편에 따른 인사이동이 있을 예정이다.
117. 징병제 (徵兵制) [징병제]
한자: 徵(부를 징), 兵(병사 병), 制(절제할 제:)
국가가 국민 모두에게 강제적으로 병역의 의무를 지우는 의무 병역 제도.
118. 창제 (創制) [창:제]
한자: 創(비롯할 창:), 制(절제할 제:)
전에 없던 것을 처음으로 만들거나 제정함.
용례:
훈민정음 창제.
119. 체제 (體制) [체제]
한자: 體(몸 체), 制(절제할 제:)
「1」생기거나 이루어진 틀. 또는 그런 됨됨이.
「2」국가나 사회를 조직하고 유지하는 전체적인 틀 또는 그 상태를 이르는 말.
「3」생물체 구조의 기본 형식. 몸체 각 부분의 분화 상태 및
상호 관계를 이른다.
「4」각 부분이 목적에 맞도록 유기적으로 통일된 전체.
용례:
- 「2」냉전 체제.
- 「2」체제 개편.
- 「2」중앙 집권 체제.
- 「2」새로운 지도 체제가 들어서다.
- 「2」그는 국왕이 명실상부하게 정치를 주도하는 체제를 구축하고자 노력하였다.
120. 초상상제 (初喪喪制) [초상상제]
한자: 初(처음 초), 喪(잃을 상(:)), 喪(잃을 상(:)), 制(절제할 제:)
초상을 당하여 상중에 있는 상제.
용례:
초상상제라도 이 지경을 당하면 웃음이 절로 나올 터이라….≪이해조, 빈상설≫
121. 총량규제 (總量規制) [총:냥규제]
한자: 總(다[皆] 총:), 量(헤아릴 량), 規(법 규), 制(절제할 제:)
공해를 방지하기 위한 규칙상 또는 법령상 제한의 하나. 오염 물질의 농도에 의한 것이 아니라 배출되는 오염 물질의 양에 의하여 규제한다.
용례:
환경 정책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오염 물질 총량 규제가 내년부터 실시될 전망이다.
122. 추첨제 (抽籤制) [추첨제]
한자: 抽(뽑을 추), 籤(제비(점대) 첨), 制(절제할 제:)
추첨으로 하는 제도.
용례:
추첨제로 해당자를 뽑다.
123. 탈규제 (脫規制) [탈규제]
한자: 脫(벗을 탈), 規(법 규), 制(절제할 제:)
규제를 과도하게 제정하거나 융통성 없이 적용하려는 경향에서 벗어나는 것.
용례: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들은 이번에 통과된 규제 완화 관련 법들이 실제로 효과를 볼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인 탈규제 행보를 보여 달라고 요청했다.
124. 통제 (統制) [통:제]
한자: 統(거느릴 통:), 制(절제할 제:)
「1」일정한 방침이나 목적에 따라 행위를 제한하거나 제약함.
「2」권력으로 언론·경제 활동 따위에 제한을 가하는 일.
용례:
- 「1」교통 통제.
- 「1」출입 통제.
- 「1」통제를 풀다.
- 「1」상급 부대의 전투 통제는 전과 똑같이 엄중하게 지켜졌다.≪홍성원, 육이오≫
- 「1」멋은 이렇게 스타일과는 달리 구속이 아니라 자유를, 통제가 아니라 해방을, 그리고 타율이 아니라 자율을 가리키는 말이라 할 수 있다.≪이어령,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 「2」언론 통제.
- 「2」물가 통제.
125. 편제 (編制) [편제]
한자: 編(엮을 편), 制(절제할 제:)
어떤 조직이나 기구를 편성하여 체제를 조직함. 또는 그 기구나 체제.
용례:
- 조직의 편제.
- 편제를 짜다.
- 수복 후엔 해안 경비를 위해 파란 대발로 주위를 막아 놓고 네 사람으로 편제를 늘리고….≪한승원, 해일≫
126. 폐가제 (閉架制) [폐:가제]
한자: 閉(닫을 폐:), 架(시렁 가:), 制(절제할 제:)
서가를 열람자에게 자유롭게 공개하지 않고 일정한 절차에 의하여 책을 빌려주는 도서관 운영 제도.
용례:
폐가제 도서관.
127. 하한제 (下限制) [하:한제]
한자: 下(아래 하:), 限(한할 한:), 制(절제할 제:)
가격이나 수량 따위가 일정한 수준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도록 한계를 정하는 제도.
용례:
- 공시 지원금에 하한제를 도입하다.
- 연구 실적의 하한제가 적용되는 교수들은 2년마다 1편 이상의 논문을 내놓아야 한다.
128. 학제 (學制) [학쩨]
한자: 學(배울 학), 制(절제할 제:)
학교 또는 교육에 관한 제도.
용례:
- 4년제 학제.
- 학제를 개편하다.
129. 할당제 (割當制) [할땅제]
한자: 割(벨 할), 當(마땅 당), 制(절제할 제:)
몫을 갈라 나누거나 책임을 지우는 제도.
130. 합의제 (合議制) [하비제]
한자: 合(합할 합), 議(의논할 의(:)), 制(절제할 제:)
「1」행정 기관의 의사를 여러 구성원이 합의하여 결정하는 제도.
「2」재판 사건을 합의체에 의하여 재판하는 제도.
131. 허가제 (許可制) [허가제]
한자: 許(허락할 허), 可(옳을 가:), 制(절제할 제:)
행정 기관에서 허가를 받아야만 특정한 활동이나 상업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한 제도.
132. 호봉제 (號俸制) [호:봉제]
한자: 號(이름 호(:)), 俸(녹(祿) 봉:), 制(절제할 제:)
직급, 근무 연수 따위를 기초로 하여 정해진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
용례:
- 호봉제를 도입하다.
- 우리 회사는 내년부터 호봉제 대신 성과 중심의 임금 체계로 전환할 예정이다.
133. 휴가제 (休暇制) [휴가제]
한자: 休(쉴 휴), 暇(틈/겨를 가:), 制(절제할 제:)
휴가에 관련된 제도. 또는 휴가를 주는 제도.
용례:
다음 주부터 우리 연대에서 휴가제가 실시된다.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制 절제할 제: - 1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制 절제할 제: - 2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