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制 절제할 제: - 1

1. 가격제 (價格制) [가격쩨]

한자: 價(값 가), 格(격식 격), 制(절제할 제:)

물건의 가치를 가격으로 나타내는 제도.

용례:

정부는 가격 등락이 심한 농축산물에 최저 가격제를 실시하기로 하였다.

2. 가격통제 (價格統制) [가격통:제]

한자: 價(값 가), 格(격식 격), 統(거느릴 통:), 制(절제할 제:)

정부가 경제를 안정시키기 위하여 가격을 조절하는 일.

용례:

  • 최근 건설업계 경영난의 가장 큰 원인은 정부의 가격 통제, 가격 규제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 육류, 달걀 등의 일부 농산물의 가격 통제가 해제되자 물가가 오르기 시작했다.

3. 가부장제 (家父長制) [가부장제]

한자: 家(집 가), 父(아비 부), 長(긴 장(:)), 制(절제할 제:)

가부장이 가족에 대한 지배권을 행사하는 가족 형태. 또는 그런 지배 형태.

4. 간선제 (間選制) [간:선제]

한자: 間(사이 간(:)), 選(가릴 선:), 制(절제할 제:)

‘간접 선거 제도’(일반 선거인이 중간 선거인을 대표로 뽑아 그들로 하여금 선거를 하도록 하는 제도.)를 줄여 이르는 말.

5. 감산제 (減算制) [감:산제]

한자: 減(덜 감:), 算(셈 산:), 制(절제할 제:)

일정한 수를 빼면서 계산하는 제도.

용례:

여럿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는 주택은 가구 수에 따라 감산제를 적용해서 재산세를 낮춰 준다.

6. 강제 (強制) [강:제]

한자: 強(강할 강(:)), 制(절제할 제:)

권력이나 위력(威力)으로 남의 자유의사를 억눌러 원하지 않는 일을 억지로 시킴.

용례:

  • 강제 노동.
  • 강제 노역.
  • 강제 동원.
  • 강제 모병.
  • 강제로 일을 시키다.
  • 한평생 땅이나 파먹고 살라고 자식들을 강제로 고향에 주저앉힐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윤흥길, 완장≫

7. 개가제 (開架制) [개가제]

한자: 開(열 개), 架(시렁 가:), 制(절제할 제:)

도서관에서 열람자가 원하는 책을 자유로이 찾아볼 수 있도록 하는 운영 제도.

용례:

개가제 도서관에서는 제한된 수의 독자만이 목록을 이용한다.

8. 검사제 (檢査制) [검:사제]

한자: 檢(검사할 검:), 査(조사할 사), 制(절제할 제:)

검토하고 조사하는 제도.

용례:

검사제를 시행하다.

9. 격일제 (隔日制) [겨길쩨]

한자: 隔(사이뜰 격), 日(날 일), 制(절제할 제:)

일 따위를 하루씩 걸러서 하는 제도.

용례:

아버지는 전기 기사로 회사에 들어갔는데 격일제로 24시간 근무하고 다음 날 쉬셨다.

10. 견제 (牽制) [견제]

한자: 牽(이끌/끌 견), 制(절제할 제:)

「1」일정한 작용을 가함으로써 상대편이 지나치게 세력을 펴거나 자유롭게 행동하지 못하게 억누름.
「2」아군의 공격이 수월하도록 적의 일부를 다른 곳에 묶어 두는 전술적 행동.

용례:

  • 「1」견제 세력.
  • 「1」견제를 당하다.
  • 「1」그는 상대 선수의 집중적인 견제에도 불구하고 역전 골을 넣었다.

11. 경계관제 (警戒管制) [경:계관제]

한자: 警(깨우칠 경:), 戒(경계할 계:), 管(대롱/주관할 관), 制(절제할 제:)

적의 야간 공습이 있을 것에 대비하여 실시하는 등화관제.

용례:

경계관제를 실시하다.

12. 경제 (京制) [경제]

한자: 京(서울 경), 制(절제할 제:)

「1」서울·경기 지방의 독특한 시조 창법. 박절이 엄정하고 속목을 쓰는 것이 특징이다.
「2」판소리 가락의 하나. 경기도 민요의 성조를 많이 도입한 창법을 이르기도 하며, 오음(五音) 음계로 된 특유의 가락이 있다.

용례:

  • 「1」평시조에 있어서도 지역적 배경으로 경제와 향제의 분별이 있다.
  • 「2」서울 장악원을 중심으로 전승되어 온 것을 경제 줄풍류라 하고 여러 고장에서 전승되어 온 것을 향제 줄풍류라 일렀다.

13. 경제통제 (經濟統制) [경제통:제]

한자: 經(지날/글 경), 濟(건널 제:), 統(거느릴 통:), 制(절제할 제:)

국민 경제 개개의 시장 경제 활동에 가해지는 일반적인 규제와 간섭을 통틀어 이르는 말. 국가나 공공 단체가 국리민복(國利民福)을 증대할 목적으로 공정 가격, 배급제, 전표제 따위를 실시하여 개인의 자유로운 경제 활동과 이윤의 사적인 추구를 억제한다.

용례:

1939년에 들어와 전시 경제 통제가 시작되었다.

14. 고제 (古制) [고:제]

한자: 古(예 고:), 制(절제할 제:)

옛 제도.

용례:

지금 우리 국가에서는 관사를 설치하고 직책을 나눈 것이 한결같이 고제를 따르고, 오직 이 한 가지 일만을 아직도 예전 습관을 따르니….≪번역 정종실록≫

15. 공산제 (共産制) [공:산제]

한자: 共(한가지 공:), 産(낳을 산:), 制(절제할 제:)

재산을 공동으로 소유하는 제도.

용례:

원시 공산제 사회.

16. 공영제 (公營制) [공영제]

한자: 公(공평할 공), 營(경영할 영), 制(절제할 제:)

주로 공적인 기관에서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경영하거나 관리하는 제도.

용례:

몇몇 나라에서는 버스를 공영제로 운영하고 있다.

17. 공유제 (共有制) [공:유제]

한자: 共(한가지 공:), 有(있을 유:), 制(절제할 제:)

두 사람 이상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제도.

용례:

경제적으로 중국은 착취 제도를 없애고 생산 수단 공유제를 기초로 한 사회주의 제도를 건립하였다.

18. 공화제 (共和制) [공:화제]

한자: 共(한가지 공:), 和(화할 화), 制(절제할 제:)

공화 정치를 하는 정치 제도. 간접 민주제, 직접 민주제, 귀족제, 과두 정치 따위가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간접 민주제만을 이른다.

용례:

이집트에 혁명이 일어나 공화제가 선포되었다.≪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19. 과거제 (科擧制) [과거제]

한자: 科(과목 과), 擧(들 거:), 制(절제할 제:)

고려·조선 시대에, 과거를 통하여 관리를 선발하던 제도.

20. 관료제 (官僚制) [괄료제]

한자: 官(벼슬 관), 僚(동료 료), 制(절제할 제:)

특권을 가진 관료가 국가 권력을 장악하고 지배하는 정치 제도. 또는 그런 정치. 권위적·획일적·형식적 경향을 지닌 제도나 기구를 비판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21. 관제 (官制) [관제]

한자: 官(벼슬 관), 制(절제할 제:)

국가의 행정 조직 및 권한을 정하는 법규.

용례:

  • 관제를 개혁하다.
  • 황제의 동의를 얻은 신기죽은 더욱 열을 올려 서책을 뒤지고 생각에 잠기더니 열흘 후에 새 나라의 관제에 대한 건의를 올렸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22. 관제 (管制) [관제]

한자: 管(대롱/주관할 관), 制(절제할 제:)

관리하여 통제함. 특히 국가나 공항 따위에서 필요에 따라 강제적으로 관리하여 통제하는 일을 이른다.

용례:

  • 관제 시스템.
  • 중앙 관제.
  • 최첨단 관제 시설을 갖춘 공항.

23. 교대제 (交代制) [교대제]

한자: 交(사귈 교), 代(대신할 대:), 制(절제할 제:)

어떤 일을 해 나가는 데 있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둘 이상 또는 여러 조(組)가 번갈아 하는 제도.

용례:

  • 교대제 근무.
  • 병원의 간호사들은 교대제로 일한다.

24. 구제 (舊制) [구:제]

한자: 舊(예 구:), 制(절제할 제:)

이전의 제도.

용례:

신 교수는 재작년에 마지막 구제 박사 학위를 따냈다.≪김원일, 노을≫

25. 구체제 (舊體制) [구:체제]

한자: 舊(예 구:), 體(몸 체), 制(절제할 제:)

예전의 질서와 편제.

용례:

  • 부패한 구체제를 혁신하다.
  • 구체제로의 복귀를 반대하다.

26. 국민투표제 (國民投票制) [궁민투표제]

한자: 國(나라 국), 民(백성 민), 投(던질 투), 票(표 표), 制(절제할 제:)

헌법 개정안이나 국가 안위에 관한 중대 정책 따위를 국민 투표에 부쳐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제도.

용례:

국민 투표제를 도입하다.

27. 군주제 (君主制) [군주제]

한자: 君(임금 군), 主(임금/주인 주), 制(절제할 제:)

세습 군주가 나라를 다스리는 정치 형태. 입헌 군주제와 전제 군주제가 있다.

28. 권제 (權制) [권제]

한자: 權(권세 권), 制(절제할 제:)

「1」권위와 법제(法制)를 아울러 이르는 말.
「2」권력으로 억눌러 다스림.

용례:

「1」하 감역 집안은 이 근처에서 왕가와 같은 권제를 쥐고 있다.≪이기영, 신개지≫

29. 규제 (規制) [규제]

한자: 規(법 규), 制(절제할 제:)

「1」규칙이나 규정에 의하여 일정한 한도를 정하거나 정한 한도를 넘지 못하게 막음.
「2」규칙으로 정함. 또는 그 정하여 놓은 것.

용례:

  • 「1」수입에 대한 규제.
  • 「1」예술계에서는 예술 작품에 대해 지나치게 규제를 가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반발했다.
  • 「1」많은 학자들은 지금보다도 규제를 더욱 강화하여 배출 가스양을 대폭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2」군국기무처에서 만든 규제에 의하면 총리대신은 의정부의 백관을 관장하고 서정(庶政)을 총람하게 돼 있다.≪유주현, 대한 제국≫

30. 금융실명제 (金融實名制) [금늉실명제]

한자: 金(쇠 금), 融(녹을 융), 實(열매 실), 名(이름 명), 制(절제할 제:)

은행 예금이나 증권 투자 따위 금융 거래를 할 때에 실제 명의로 하여야 하며, 가명이나 무기명 거래는 인정하지 않는 제도. 금융 거래의 정상화와 합리적 과세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31. 금제 (禁制) [금:제]

한자: 禁(금할 금:), 制(절제할 제:)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하게 말림. 또는 그런 법규.

용례:

  • 사회적 금제를 깨뜨리다.
  • 조선 시대의 복식에는 까다로운 금제가 있어 염색 기술이 발달하기 어려웠다.

32. 기제 (機制) [기제]

한자: 機(틀 기), 制(절제할 제:)

「1」기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조직이나 공식 따위의 내부 구성.
「2」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의 작용이나 원리.

용례:

  • 「2」사람은 자기를 어느 집단과 동일시함으로써 자기 자신을 확인하며 만족을 얻는 심리적 기제를 가진다고 한다.
  • 「2」군인이 갖는 특수한 상황을 극복하는 기제가 있으면 되는 거지. 윤 소위는 장교로서 이 전쟁에 어떻게 종군해야 한다고 생각하오?≪이원규, 훈장과 굴레≫

33. 날상제 (날喪制) [날상제]

한자: 喪(잃을 상(:)), 制(절제할 제:)

아직 초상을 다 치르지 아니한 상제.

용례:

암만 법이고 뭐고 없다지만 어머님 돌아가신 지 이 주일밖에 안 되는 날상제가 어떻게 벌써 혼인을 하겠어요?≪유진오, 화상보≫

34. 내각책임제 (內閣責任制) [내:각채김제]

한자: 內(안 내:), 閣(집 각), 責(꾸짖을 책), 任(맡길 임(:)), 制(절제할 제:)

국회의 신임에 따라 정부가 성립·존속하는 정치 제도. 18세기 초에 영국에서 처음 성립되었으며, 다수당을 중심으로 행정부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국민은 국회를 통하여 정부의 시책을 감시할 수 있다.

35. 누진제 (累進制) [누:진제]

한자: 累(여러/자주 루(누):), 進(나아갈 진:), 制(절제할 제:)

「1」형을 집행할 때, 재판에서 선고한 형기를 여러 단계로 나누고 형을 받은 사람의 개선 정도에 따라 점차 처우를 완화하는 제도.
「2」많이 쓰면 쓸수록 요금이 급격히 많아지거나, 많이 벌면 벌수록 세금 따위가 급격히 많아지는 제도.

36. 다당제 (多黨制) [다당제]

한자: 多(많을 다), 黨(무리 당), 制(절제할 제:)

의회 정치 국가에서, 정당이 여럿으로 분립된 체제.

용례:

  • 다당제 국가.
  • 국민들은 일당 통치 체제를 없애고 다당제 민주주의 체제로 이행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37. 단일제 (單一制) [다닐쩨]

한자: 單(홑 단), 一(한 일), 制(절제할 제:)

단일한 체제.

용례:

교육법 시행령의 공포로 중등학교가 6년 단일제에서 중학교, 고등학교 각 3년씩으로 분할되었다.

38. 단임제 (單任制) [다님제]

한자: 單(홑 단), 任(맡길 임(:)), 制(절제할 제:)

원래 정해진 임기를 다 마친 뒤에 다시 그 직위에 임용하지 않는 제도.

용례:

단임제는 국가 권력의 사유화를 막을 수 있다.

39. 당제 (唐制) [당제]

한자: 唐(당나라/당황할 당(:)), 制(절제할 제:)

중국 당나라의 제도.

용례:

신라가 제일 먼저 당에 굴복하여 그의 속방으로 인정받고 문물제도마저 당제로 고치고….≪유현종, 들불≫

40. 대통령제 (大統領制) [대:통녕제]

한자: 大(큰 대(:)), 統(거느릴 통:), 領(거느릴 령), 制(절제할 제:)

대통령을 중심으로 국정이 운영되는 정부 형태. 또는 그런 통치 구조. 현대 민주주의 정부 형태의 하나이다. 임기 동안 대통령이 강력한 집행권을 행사함으로써 정국이 안정되나, 대통령의 권한이 비대해질 경우 독재로 흐를 가능성도 있다.

41. 도급제 (都給制) [도급쩨]

한자: 都(도읍 도), 給(줄 급), 制(절제할 제:)

일을 도거리로 맡기는 제도.

용례:

도급제를 실시하다.

42. 등록제 (登錄制) [등녹쩨]

한자: 登(오를 등), 錄(기록할 록), 制(절제할 제:)

「1」일정한 자격 조건을 갖추기 위하여 문서를 올리도록 하는 제도.
「2」일정한 법률 사실이나 법률관계를 공증하기 위하여 행정 관서나 공공 기관 따위에 비치한 법정의 공부에 기재하도록 하는 제도.

용례:

  • 「1」그가 담임했던 졸업반 학생 가운데 내내 우등생으로 지내 왔었는데, 그해에 들어서 새로 실시된 등록제로 인한 결석 일수 때문에 졸업이라는 마당에 있어서 그 자격을 상실하게 되는 아이가 있어….≪장용학, 비인 탄생≫
  • 「2」임대료 등록제를 실시하다.
  • 「2」여객 운송 사업이 등록제로 변경되었다.

43. 등화관제 (燈火管制) [등화관제]

한자: 燈(등 등), 火(불 화(:)), 管(대롱/주관할 관), 制(절제할 제:)

적의 야간 공습 시, 또는 그런 때에 대비하여 일정한 지역에서 등불을 모두 가리거나 끄게 하는 일.

용례:

등화관제를 실시하다.

44. 맏상제 (맏喪制) [맏쌍제]

한자: 喪(잃을 상(:)), 制(절제할 제:)

부모나 조부모가 죽어서 상중에 있는 맏아들.

용례:

상가에 가 보니 아직 초등학생인 듯한 맏상제가 조문객의 인사를 받느라 정신이 없었다.

45. 면허제 (免許制) [면:허제]

한자: 免(면할 면:), 許(허락할 허), 制(절제할 제:)

행정 기관에서 받은 면허가 있어야만 특정한 활동이나 상업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한 제도.

용례:

의료 행위는 생명과 직결되기 때문에 면허제를 시행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制 절제할 제: - 2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制 절제할 제: - 3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