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正 바를 정 - 2

41. 숙정 (肅正) [숙쩡]

한자: 肅(엄숙할 숙), 正(바를 정(:))

부정(不正)을 엄격히 단속하여 바로잡음.

용례:

  • 군기 숙정.
  • 숙정을 단행하다.
  • 최고 연장자가 마을 안의 숙정을 하기로 했다.

42. 순정 (純正) [순정]

한자: 純(순수할 순), 正(바를 정(:))

「1」순수하고 올바름.
「2」학문에서, 응용이나 경험과는 관계없이 주로 이론이나 형식을 중히 여기는 태도.

용례:

「1」이것은 애초의 순정을 더럽히는 불순한 야욕일 뿐이다.

43. 순정 (順正) [순:정]

한자: 順(순할 순:), 正(바를 정(:))

‘순정하다’
(도리에 어긋나지 않고 올바르다.)의 어근.

44. 시정 (是正) [시:정]

한자: 是(이[斯]/옳을 시:), 正(바를 정(:))

잘못된 것을 바로잡음.

용례:

  • 시정을 촉구하다.
  • 시정을 권고하다.
  • 그녀는 고용 차별 대우에 대한 시정을 요구하였다.
  • 우리 회사는 무역 역조 시정 방안을 강구하였다.
  • 그 회사는 불공정 행위로 시정 명령을 받았다.
  • 우리는 이 문제의 시정을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45. 신정 (新正) [신정]

한자: 新(새 신), 正(바를 정(:))

「1」양력 1월 1일.
「2」‘양력설’을 구정(舊正)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용례:

  • 「2」신정 연휴.
  • 「2」신정을 맞아 민욱은 며칠 동안 집에 머물러 있었다.≪신상웅, 심야의 정담≫

46. 심정 (審正) [심정]

한자: 審(살필 심(:)), 正(바를 정(:))

‘심정하다’
(자세하고 바르다.)의 어근.

47. 아정 (雅正) [아:정]

한자: 雅(맑을 아(:)), 正(바를 정(:))

‘아정하다’
(기품이 높고 바르다.)의 어근.

48. 양정 (良正) [양정]

한자: 良(어질 량), 正(바를 정(:))

착하고 바름.

49. 양정 (養正) [양:정]

한자: 養(기를 양:), 正(바를 정(:))

옳고 바르게 마음을 닦음.

50. 엄정 (嚴正) [엄정]

한자: 嚴(엄할 엄), 正(바를 정(:))

「1」엄격하고 바름.
「2」날카롭고 공정함.

용례:

「1」경례 엄정,…복명복창이라고 입구에 쓰여 있었다.≪최인호, 무서운 복수≫

51. 연정 (鍊正) [연:정]

한자: 鍊(쇠불릴/단련할 련:), 正(바를 정(:))

도자기를 만들 때 흙을 개어 이기거나 잿물을 다루는 사람.

52. 염정 (廉正) [염정]

한자: 廉(청렴할 렴), 正(바를 정(:))

‘염정하다’
(마음이 청렴하고 바르다.)의 어근.

53. 영정 (令正) [영정]

한자: 令(하여금 령(:)), 正(바를 정(:))

남의 아내를 높여 이르는 말.

54. 오정 (午正) [오:정]

한자: 午(낮 오:), 正(바를 정(:))

낮 열두 시. 곧 태양이 표준 자오선을 지나는 순간을 이른다.

용례:

아침나절부터 하늘에 잿빛 구름이 얼어붙은 듯 깔려 있더니 오정을 넘어서자 펑펑 함박눈이 쏟아지기 시작했다.≪유주현, 대한 제국≫

55. 원정 (元正) [원정]

한자: 元(으뜸 원), 正(바를 정(:))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정월 초하룻날이다.

56. 이정 (釐正) [이정]

한자: 釐(다스릴 리), 正(바를 정(:))

문서나 글을 정리하여 바로잡음.

57. 적정 (適正) [적쩡]

한자: 適(맞을 적), 正(바를 정(:))

알맞고 바른 정도.

용례:

  • 적정 수준.
  • 적정 온도.
  • 적정 요금.

58. 정정 (正正) [정:정]

한자: 正(바를 정(:)), 正(바를 정(:))

‘정정하다’
(「1」바르고 가지런하다.
「2」바르고 떳떳하다.)의 어근.

59. 정정 (呈正) [정정]

한자: 呈(드릴 정), 正(바를 정(:))

자기 시문(詩文)을 남에게 고쳐 달라고 부탁함.

60. 정정 (訂正) [정정]

한자: 訂(바로잡을 정), 正(바를 정(:))

글자나 글 따위의 잘못을 고쳐서 바로잡음.

61. 정정 (貞正) [정정]

한자: 貞(곧을 정), 正(바를 정(:))

‘정정하다’
(절조(節操)가 있고 마음이 바르다.)의 어근.

62. 중정 (中正) [중정]

한자: 中(가운데 중), 正(바를 정(:))

어느 한쪽으로 지나치거나 모자람이 없이 곧고 올바름. 또는 그런 모양.

63. 지정 (至正) [지정]

한자: 至(이를 지), 正(바를 정(:))

‘지정하다’
(더할 나위 없이 바르다.)의 어근.

64. 지정 (持正) [지정]

한자: 持(가질 지), 正(바를 정(:))

바른 도리를 취하고 지킴.

65. 진정 (眞正) [진정]

한자: 眞(참 진), 正(바를 정(:))

거짓이 없이 참으로.

용례:

  • 선생님을 뵙게 되어 진정 기쁩니다.
  • 이렇게 와 주셔서 진정 감사합니다.
  • 지옥을 벗어나 온 지 몇 시간도 못 되어 또다시 그 구석으로 찾아들기는 진정 싫었다.≪심훈, 영원의 미소≫
  • 춘추 장군은 만면에 희색이 돌면서 진정 즐거워한다.≪홍효민, 신라 통일≫

66. 진정 (眞正) [진정]

한자: 眞(참 진), 正(바를 정(:))

‘진정하다’
(참되고 올바르다.)의 어근.

67. 질정 (叱正) [질쩡]

한자: 叱(꾸짖을 질), 正(바를 정(:))

꾸짖어 바로잡음.

용례:

  • 주민 여러분들의 질정을 바랍니다.
  • 책이 출판된 뒤 그는 독자들로부터 많은 격려와 질정을 받았다.

68. 질정 (質正) [질쩡]

한자: 質(바탕 질), 正(바를 정(:))

묻거나 따져서 바로잡음.

69. 청정 (淸正) [청정]

한자: 淸(맑을 청), 正(바를 정(:))

‘청정하다’
(맑고 바르다.)의 어근.

70. 충정 (忠正) [충정]

한자: 忠(충성 충), 正(바를 정(:))

‘충정하다’
(충실하고 올바르다.)의 어근.

71. 침정 (沈正) [침정]

한자: 沈(잠길 침(:)), 正(바를 정(:))

‘침정하다’
(침착하고 정직하다.)의 어근.

72. 판교정 (版校正) [판교정]

한자: 版(판목 판), 校(학교 교:), 正(바를 정(:))

제판한 인쇄판에 대하여 하는 교정.

73. 평정 (平正) [평정]

한자: 平(평평할 평), 正(바를 정(:))

공평하고 올바름. 또는 그런 태도.

용례:

그 판사는 그의 모든 재판에서 평정을 잃지 않아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고 있다.

74. 표정 (表正) [표정]

한자: 表(겉 표), 正(바를 정(:))

바로잡아서 나타내 보임.

75. 해정 (楷正) [해정]

한자: 楷(본보기 해), 正(바를 정(:))

‘해정하다’
(글자의 획이 바르다.)의 어근.

76. 혁정 (革正) [혁쩡]

한자: 革(가죽 혁), 正(바를 정(:))

바르게 고침.

77. 확정 (廓正) [확쩡]

한자: 廓(클 확), 正(바를 정(:))

잘못을 바로잡음.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正 바를 정 - 1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