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濟 건널 제:

1. 가정경제 (家政經濟) [가정경제]

한자: 家(집 가), 政(정사(政事) 정), 經(지날/글 경), 濟(건널 제:)

한집안의 살림을 합리적으로 잘 다스리는 데에 관한 경제. 주로 수입과 지출을 다룬다.

용례:

과도한 사교육비 지출은 가정 경제에 큰 부담을 준다.

2. 간편결제 (簡便決濟) [간편결쩨]

한자: 簡(대쪽/간략할 간(:)), 便(편할 편(:)), 決(결단할 결), 濟(건널 제:)

기기에 미리 등록해 놓은 계좌나 카드 정보를 활용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결제하는 방식.

용례:

최근 비접촉 결제를 선호하는 경향에 따라 간편결제의 사용이 크게 늘었다.

3. 개제 (皆濟) [개제]

한자: 皆(다[總] 개), 濟(건널 제:)

「1」빌렸던 돈이나 물건 따위를 남김없이 다 갚음.
「2」모든 일을 남김없이 정리하여 끝냄.

용례:

  • 「1」묵은 채무의 개제.
  • 「2」해묵은 숙원 사업의 개제.

4. 결제 (決濟) [결쩨]

한자: 決(결단할 결), 濟(건널 제:)

「1」일을 처리하여 끝을 냄.
「2」증권 또는 대금을 주고받아 매매 당사자 사이의 거래 관계를 끝맺는 일.

용례:

  • 「2」결제 자금.
  • 「2」어음의 결제.

5. 경제 (經濟) [경제]

한자: 經(지날/글 경), 濟(건널 제:)

세상을 다스리고 백성을 구제함.

6. 경제 (經濟) [경제]

한자: 經(지날/글 경), 濟(건널 제:)

「1」인간의 생활에 필요한 재화나 용역을 생산·분배·소비하는 모든 활동. 또는 그것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사회적 관계.
「2」경제 현상을 분석하고 연구하는 학문. 사회 과학의 한 분야로 국민 경제학, 경영학, 재정학, 가정학을 통틀어 이르는 말인데 일반적으로는 국민 경제학을 이른다.
「3」돈이나 시간, 노력을 적게 들임.

용례:

  • 「1」경제가 발전하다.
  • 「1」경제가 안정되다.
  • 「1」경제가 침체되다.
  • 「1」경제를 살리다.
  • 「2」경제를 전공하다.
  • 「3」노력 경제의 원칙.

7. 계획경제 (計劃經濟) [계:획꼉제]

한자: 計(셀 계:), 劃(그을 획), 經(지날/글 경), 濟(건널 제:)

한 나라의 경제 전체 부문이 국가의 의사에 따라 통일적·계획적으로 움직이는 구조. 자본주의 체제에서는 특정 부문에 대하여 계획을 수립할 수는 있으나 완전한 계획 경제를 채택할 수는 없다.

8. 공제 (共濟) [공:제]

한자: 共(한가지 공:), 濟(건널 제:)

「1」힘을 합하여 서로 도움.
「2」공동으로 일을 함.

9. 관리경제 (管理經濟) [괄리경제]

한자: 管(대롱/주관할 관), 理(다스릴 리:), 經(지날/글 경), 濟(건널 제:)

자유 경제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국가가 필요한 범위 안에서 규제와 조정을 하는 경제 체제.

용례:

국제 통화 기금 관리 경제 이후 국내 기업 인수나 지사 개설 등으로 외국 기업의 진출이 크게 늘었다.

10. 구제 (救濟) [구:제]

한자: 救(구원할 구:), 濟(건널 제:)

자연적인 재해나 사회적인 피해를 당하여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을 도와줌.

용례:

  • 구제 기관.
  • 구제 대책.
  • 구제 사업.
  • 난민 구제.
  • 소비자 피해 구제.
  • 구제를 받다.

11. 국제경제 (國際經濟) [국쩨경제]

한자: 國(나라 국), 際(즈음/가[邊] 제:), 經(지날/글 경), 濟(건널 제:)

둘 이상의 나라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 경제적인 상호 교섭. 또는 그 교섭으로 성립된 경제 체제. 무역, 이민, 사적(私的) 자본의 이동, 배상 지불, 정부의 대외 원조, 국제기관의 여러 가지 활동 따위이다.

12. 미결제 (未決濟) [미:결쩨]

한자: 未(아닐 미(:)), 決(결단할 결), 濟(건널 제:)

아직 처결하여 끝내지 아니함.

용례:

미결제 어음.

13. 미제 (未濟) [미:제]

한자: 未(아닐 미(:)), 濟(건널 제:)

「1」일이 아직 끝나지 아니함.
「2」육십사괘의 하나. 이괘(離卦)와 감괘(坎卦)가 거듭된 것으로 불 밑에 물이 있어서 물이 불을 이기지 못함을 상징한다.

용례:

  • 「1」미제 사건.
  • 「1」미제로 처리된 일들을 해결하다.
  • 「1」결국 발생 3개월 만에 사건은 미제로 처리되고 수사본부는 해체되고 말았다.≪이문열, 사람의 아들≫

14. 반제 (半濟) [반:제]

한자: 半(반(半) 반:), 濟(건널 제:)

강 따위를 반쯤 건넘.

용례:

을지문덕은 살수에서 적의 반제를 노려 대파하였다.

15. 반제 (返濟) [반:제]

한자: 返(돌이킬 반:), 濟(건널 제:)

빌렸던 돈을 모두 다 갚음.

용례:

어제 문진 영감의 전갈이 있어서 돈 반제 문제로 봉룡은 한영을 찾아갔었는데 오늘 또 만난 것이다.≪황순원, 신들의 주사위≫

16. 백제 (百濟) [백쩨]

한자: 百(일백 백), 濟(건널 제:)

우리나라 삼국 시대의 삼국 가운데 하나로, 기원전 18년에 온조왕이 위례성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한반도의 서남부에 세력을 펼쳤으며, 고이왕 때 고대 국가의 면모를 갖추었다. 중국의 남조(南朝), 일본 등과 우호 관계를 유지하였으며 일본 문화에 큰 영향을 끼쳤다. 660년에 신라와 중국 당나라의 연합군에게 패하여 멸망하였다.

17. 변제 (辨濟) [변:제]

한자: 辨(분별할 변:), 濟(건널 제:)

남에게 진 빚을 갚음.

용례:

  • 회사 측은 피해자들에게 변제의 책임이 없다고 주장했다.
  • 채권자들이 그의 가족에게 연락하여 채무 변제를 요구했다.

18. 불경제 (不經濟) [불경제]

한자: 不(아닐 불), 經(지날/글 경), 濟(건널 제:)

경제적이 아님. 물자나 노력 따위가 쓸데없이 낭비되는 것을 이른다.

용례:

이런 날 방구석에서 체력 소모하는 것은 그야말로 불경제라는 거다.≪박경리, 토지≫

19. 실물경제 (實物經濟) [실물경제]

한자: 實(열매 실), 物(물건 물), 經(지날/글 경), 濟(건널 제:)

「1」화폐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물건과 물건을 맞바꾸거나 자급자족으로 이루어지는 경제.
「2」이론이 아닌 실제의 동향으로 나타나는 경제.

용례:

「2」그는 사업가 출신으로 실물 경제에 밝다.

20. 후백제 (後百濟) [후:백쩨]

한자: 後(뒤 후:), 百(일백 백), 濟(건널 제:)

후삼국의 하나로, 900년에 견훤이 완산주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한반도의 서남부를 중심으로 세력을 펼쳤다. 936년에 고려에 의해 멸망하였다.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