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提 끌 제

1. 대전제 (大前提) [대:전제]

한자: 大(큰 대(:)), 前(앞 전), 提(끌 제)

삼단 논법에서, 대개념을 포함한 전제. 결론의 술어를 포함하며, 추론에 있어서 결론의 기초가 되는 판단을 나타낸다.

2. 번제 (煩提) [번제]

한자: 煩(번거로울 번), 提(끌 제)

번거롭게 말을 꺼냄.

3. 별제 (別提) [별쩨]

한자: 別(다를/나눌 별), 提(끌 제)

조선 시대에, 각 관아에 속한 정육품·종육품 벼슬. 호조, 형조, 교서관, 전설사, 장원서, 빙고, 와서, 활인서, 상의원, 군기시, 예빈시 따위에 두었다.

4. 보제 (菩提) [보제]

한자: 菩(보살 보), 提(끌 제)

「1」불교 최고의 이상인 불타 정각의 지혜.
「2」불타 정각의 지혜를 얻기 위하여 닦는 도. 불과(佛果)에 이르는 길을 이른다.

5. 삼마제 (三摩提) [삼마제]

한자: 三(석 삼), 摩(문지를 마), 提(끌 제)

잡념을 떠나서 오직 하나의 대상에만 정신을 집중하는 경지. 이 경지에서 바른 지혜를 얻고 대상을 올바르게 파악하게 된다.

6. 섭제 (攝提) [섭쩨]

한자: 攝(다스릴/잡을 섭), 提(끌 제)

「1」고갑자에서, 지지(地支)의 셋째인 인(寅)을 이르는 말.
「2」북두칠성 남쪽에 있는 아르크투루스의 양쪽에 각각 세 개씩 있는 별.
「3」태양에서 다섯째로 가까운 행성. 태양계의 행성 가운데 가장 큰 천체로, 공전 주기는 약 11.9년, 자전 주기는 약 9.9시간, 질량은 지구의 317.83배이다. 주성분은 수소이며, 헬륨 및 소량의 메탄, 암모니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갈릴레이가 1610년에 발견한 4개의 위성을 비롯해 수십 개의 많은 위성이 있다.

7. 소전제 (小前提) [소:전제]

한자: 小(작을 소:), 前(앞 전), 提(끌 제)

삼단 논법에서 소개념을 가진 전제. ‘사람은 죽는다. 임금은 사람이다. 그러므로 임금은 죽는다.’에서 ‘임금은 사람이다.’ 따위이다.

8. 염부제 (閻浮提) [염부제]

한자: 閻(마을 염), 浮(뜰 부), 提(끌 제)

사주(四洲)의 하나. 수미산 남쪽에 있다는 대륙으로, 인간들이 사는 곳이며, 여러 부처가 나타나는 곳은 사주(四洲) 가운데 이곳뿐이라고 한다.

9. 염제 (拈提) [염제]

한자: 拈(집을 념(염)), 提(끌 제)

옛사람이 학인(學人)을 깨달음에 이르게 하기 위하여 준 문제인 고칙(古則)을 해석하고 비평하는 일.

10. 일천제 (一闡提) [일천제]

한자: 一(한 일), 闡(밝힐 천:), 提(끌 제)

「1」본디 해탈의 소인을 갖지 못하여 부처가 될 수 없는 이.
「2」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일부러 열반의 깨달음에 들지 아니한 보살.

11. 전제 (前提) [전제]

한자: 前(앞 전), 提(끌 제)

「1」어떠한 사물이나 현상을 이루기 위하여 먼저 내세우는 것.
「2」추리를 할 때, 결론의 기초가 되는 판단. 삼단 논법에서는 대전제, 소전제를 구별한다.

용례:

  • 「1」전제 조건.
  • 「1」전제를 달다.
  • 「1」그들은 결혼을 전제로 사귀고 있다.

12. 천제 (闡提) [천:제]

한자: 闡(밝힐 천:), 提(끌 제)

본디 해탈의 소인을 갖지 못하여 부처가 될 수 없는 이.

13. 초제 (招提) [초제]

한자: 招(부를 초), 提(끌 제)

「1」사방에서 모여드는 수행 승려들이 머무는 객사.
「2」관부(官府)에서 사액(賜額)한 절.

14. 편제 (扁提) [편제]

한자: 扁(작을 편), 提(끌 제)

자라 모양으로 만든 병. 납작하고 둥근 몸통에 짧은 목이 달려 있다. 여행을 하거나 들에 나갈 때 물이나 술을 담는 데에 쓰인다.

15. 해제 (孩提) [해제]

한자: 孩(어린아이 해), 提(끌 제)

나이가 적은 아이.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