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衆 무리 중:

1. 객중 (客衆) [객쭝]

한자: 客(손 객), 衆(무리 중:)

「1」많은 손님.
「2」‘손님’을 높여 이르는 말.

2. 경중 (警衆) [경:중]

한자: 警(깨우칠 경:), 衆(무리 중:)

여러 사람을 깨우침.

3. 공중 (公衆) [공중]

한자: 公(공평할 공), 衆(무리 중:)

사회의 대부분의 사람들.

용례:

국가의 정책 결정에는 소수보다는 다수가, 특권층보다는 공중이 먼저 고려되어야 한다.

4. 관중 (觀衆) [관중]

한자: 觀(볼 관), 衆(무리 중:)

운동 경기 따위를 구경하기 위하여 모인 사람들.

용례:

  • 야구 관중.
  • 많은 관중이 경기장에 운집했다.
  • 관중들의 환호에 배우들은 피곤한 줄도 몰랐다.
  • 이긴 자는 자기와 싸워서 진 선수를 좋아할까. 자기들에게 박수갈채를 보낸 관중들을 더 좋아할까.≪선우휘, 사도행전≫

5. 군중 (群衆) [군중]

한자: 群(무리 군), 衆(무리 중:)

「1」한곳에 모인 많은 사람.
「2」수많은 사람.

용례:

  • 「1」시위 군중.
  • 「1」군중의 열렬한 환호성.
  • 「1」역 광장에 수만 군중이 모였다.
  • 「1」여삼은 문득 그 군중 속에서 손을 흔들며 활짝 웃고 있는 아내 옥이의 모습을 발견했다.≪유현종, 들불≫
  • 「2」별로 달가워하지 않는 사람들조차도 끌어들여 집단적인 의사라는 것을 만들어 내고 마는 군중이라는 존재를 처음 내 눈으로 본 경험에 어리둥절해 있었다.≪김승옥, 그와 나≫

6. 다중 (多衆) [다중]

한자: 多(많을 다), 衆(무리 중:)

많은 사람.

용례:

  • 다중 앞에 서서 연설하다.
  • 민영수는 순천 부사하고 똑같이 다중이 몰려온 까닭이 무어냐며 고래고래 악을 썼다.≪송기숙, 녹두 장군≫

7. 대중 (大衆) [대:중]

한자: 大(큰 대(:)), 衆(무리 중:)

「1」수많은 사람의 무리.
「2」대량 생산·대량 소비를 특징으로 하는 현대 사회를 구성하는 대다수의 사람. 엘리트와 상대되는 개념으로, 수동적·감정적·비합리적인 특성을 가진다.
「3」많이 모인 승려. 또는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니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 「1」대중을 위한 문화 시설.
  • 「1」대중 앞에 서다.
  • 「1」대중을 모아 놓고 연설하다.
  • 「1」대중의 인기를 얻다.

8. 도중 (徒衆) [도중]

한자: 徒(무리 도), 衆(무리 중:)

사람의 무리.

9. 도중 (盜衆) [도중]

한자: 盜(도둑 도(:)), 衆(무리 중:)

도둑의 무리.

10. 동중 (同衆) [동중]

한자: 同(한가지 동), 衆(무리 중:)

같은 무리.

11. 동행중 (同行衆) [동행중]

한자: 同(한가지 동), 行(다닐 행(:)), 衆(무리 중:)

같은 종파의 사람들이나 신자(信者).

12. 만중 (萬衆) [만:중]

한자: 萬(일만 만:), 衆(무리 중:)

아주 많은 백성.

용례:

이놈을 장바닥 만중 앞에서 작살을 내기로 작정을 했다.≪송기숙, 녹두 장군≫

13. 문중 (門衆) [문중]

한자: 門(문 문), 衆(무리 중:)

한 종가의 문중(門中)에 속하는 사람들.

용례:

익풍은 일본으로 밀항을 가 버렸고, 이제 그가 문중을 거느려야 하는 입장에 섰다.≪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14. 민중 (民衆) [민중]

한자: 民(백성 민), 衆(무리 중:)

국가나 사회를 구성하는 일반 국민. 피지배 계급으로서의 일반 대중을 이른다.

용례:

  • 민중의 힘.
  • 정치는 한 전문 분야가 되고 정치가들은 한 기능 집단이 되어 정치에 종사하지 않는 일반 민중과 구분될 수밖에 없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15. 부중 (部衆) [부중]

한자: 部(떼 부), 衆(무리 중:)

부하의 무리.

16. 속중 (俗衆) [속쭝]

한자: 俗(풍속 속), 衆(무리 중:)

「1」일반 사람을 승려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2」속된 사람들의 무리.

17. 승중 (僧衆) [승중]

한자: 僧(중 승), 衆(무리 중:)

여러 승려. 또는 승려의 무리.

용례:

천여 명 승중이 북적거리던 당시의 범절이 어떻게 질번질번하였을 것은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최남선, 심춘순례≫

18. 시중 (示衆) [시:중]

한자: 示(보일 시:), 衆(무리 중:)

여러 사람에게 훈시함.

19. 어중 (御衆) [어:중]

한자: 御(거느릴 어:), 衆(무리 중:)

여러 사람을 부림.

20. 언중 (言衆) [언중]

한자: 言(말씀 언), 衆(무리 중:)

같은 언어를 사용하면서 공동생활을 하는 언어 사회 안의 대중(大衆).

21. 우중 (愚衆) [우중]

한자: 愚(어리석을 우), 衆(무리 중:)

어리석은 대중.

용례:

그는 우중을 바른길로 이끌어 가기 위해 노력했다.

22. 의중 (義衆) [의:중]

한자: 義(옳을 의:), 衆(무리 중:)

의(義)를 주장하는 무리.

23. 이어중 (異於衆) [이:어중]

한자: 異(다를 이:), 於(어조사 어), 衆(무리 중:)

무리 가운데에서 뛰어남.

24. 인중 (人衆) [인중]

한자: 人(사람 인), 衆(무리 중:)

사람이 많음. 또는 많은 사람.

25. 적중 (賊衆) [적쭝]

한자: 賊(도둑 적), 衆(무리 중:)

도둑의 무리.

26. 적중 (敵衆) [적쭝]

한자: 敵(대적할 적), 衆(무리 중:)

많은 사람에 필적함.

27. 제중 (濟衆) [제:중]

한자: 濟(건널 제:), 衆(무리 중:)

대중을 구제함.

28. 종중 (從衆) [종중]

한자: 從(좇을 종(:)), 衆(무리 중:)

여러 사람의 말이나 행동을 좇아서 따라 함.

29. 청중 (聽衆) [청중]

한자: 聽(들을 청), 衆(무리 중:)

강연이나 설교, 음악 따위를 듣기 위하여 모인 사람들.

용례:

  • 청중의 환성.
  • 그의 연설은 청중을 사로잡았다.
  • 가수의 노래에 청중은 열광했다.
  • 그는 청중의 시선을 과도히 의식한 탓에 과장된 연기를 펼쳤다.
  • 지금 네 앞에는 수백 명의 청중이 지켜보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버려선 안 돼!≪이동하, 장난감 도시≫

30. 촌중 (村衆) [촌:중]

한자: 村(마을 촌:), 衆(무리 중:)

시골에 사는 많은 사람.

31. 출중 (出衆) [출쭝]

한자: 出(날[生] 출), 衆(무리 중:)

‘출중하다’
(여러 사람 가운데서 특별히 두드러지다.)의 어근.

32. 합중 (合衆) [합쭝]

한자: 合(합할 합), 衆(무리 중:)

여럿이 모여서 하나가 됨.

33. 행중 (行衆) [행중]

한자: 行(다닐 행(:)), 衆(무리 중:)

남사당패의 한 집단. 꼭두쇠를 우두머리로 하여 짐꾼에 이르기까지 보통 50명쯤으로 이루어진다.

용례:

그 소년에게 기예를 가르쳐 주니 위인이 영리하여 동료들의 뜻을 잘 받아 주고 재주를 금방 익혀서 우리 행중의 사랑을 받았습니다.≪황석영, 장길산≫

34. 회중 (會衆) [회:중]

한자: 會(모일 회:), 衆(무리 중:)

많이 모여 있는 사람들.

용례:

그는 연설 도중 회중을 돌아보더니, 다시 힘차게 열변을 토하기 시작했다.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