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重 무거울 중: - 1

1. 가중 (加重) [가중]

한자: 加(더할 가), 重(무거울 중:)

「1」부담이나 고통 따위를 더 크게 하거나 어려운 상태를 심해지게 함.
「2」여러 번 죄를 저지르거나 같은 죄를 거듭하여 저지를 때, 형벌을 더 무겁게 하는 일.

용례:

  • 「1」교통난 가중.
  • 「1」스트레스와 피로 가중.
  • 「1」생활고 가중에 시달리다.
  • 「1」학생 간 지나친 경쟁은 사교육비 부담 가중을 불러왔다.

2. 가중 (苛重) [가:중]

한자: 苛(가혹할 가:), 重(무거울 중:)

‘가중하다’
(정도가 심하고 부담이 무겁다.)의 어근.

3. 검중 (檢重) [검:중]

한자: 檢(검사할 검:), 重(무거울 중:)

큰 저울로 부피가 큰 물건의 무게를 다는 일.

4. 겉비중 (겉比重) [걷삐중]

한자: 比(견줄 비:), 重(무거울 중:)

다공성 물질이나 가루 물질에서 열린 기공을 제외하고 닫힌 기공을 포함한 고상의 부피를 겉보기 부피로 생각할 때, 그 물질의 비중.

5. 견중 (見重) [견:중]

한자: 見(볼 견:), 重(무거울 중:)

남에게 소중하게 여겨짐.

6. 경중 (敬重) [경:중]

한자: 敬(공경 경:), 重(무거울 중:)

공경하여 소중히 여김.

7. 경중 (輕重) [경중]

한자: 輕(가벼울 경), 重(무거울 중:)

「1」가벼움과 무거움. 또는 가볍고 무거운 정도.
「2」중요함과 중요하지 않음.

용례:

  • 「1」병세의 경중을 가리다.
  • 「1」상처의 경중을 가려 치료하다.
  • 「1」죄의 경중에 따라 죄인을 처벌하다.
  • 「1」피해 정도의 경중을 따지다.
  • 「2」일의 경중을 가리다.
  • 「2」너는 말을 할 때 반드시 경중을 가려서 해라.
  • 「2」사안의 경중을 따져서 중요한 사안부터 처리해야 한다.

8. 고중 (高重) [고중]

한자: 高(높을 고), 重(무거울 중:)

도량형기를 불법으로 만들거나 사용하던 일.

9. 골중 (骨重) [골쭝]

한자: 骨(뼈 골), 重(무거울 중:)

몸이 무거워지는 일.

10. 과중 (果重) [과:중]

한자: 果(실과 과:), 重(무거울 중:)

열매의 무게.

11. 과중 (過重) [과:중]

한자: 過(지날 과:), 重(무거울 중:)

‘과중하다’
(「1」지나치게 무겁다.
「2」부담이 지나쳐 힘에 벅차다.)의 어근.

12. 과체중 (過體重) [과:체중]

한자: 過(지날 과:), 體(몸 체), 重(무거울 중:)

기준이나 표준에 비하여 지나치게 많이 나가는 몸무게.

용례:

과체중이나 비만인 사람들은 다이어트를 하는 게 좋다.

13. 관중 (款重) [관:중]

한자: 款(항목 관:), 重(무거울 중:)

‘관중하다’
(요긴하고 중요하다.)의 어근.

14. 관중 (關重) [관중]

한자: 關(관계할 관), 重(무거울 중:)

‘관중하다’
(중요한 관계가 있다.)의 어근.

15. 구중 (九重) [구중]

한자: 九(아홉 구), 重(무거울 중:)

「1」아홉 겹이라는 뜻으로, 여러 겹이나 층을 이르는 말.
「2」겹겹이 문으로 막은 깊은 궁궐이라는 뜻으로, 임금이 있는 대궐 안을 이르는 말.

용례:

「2」구중 깊은 곳에 왕을 호위하는 장수가 오죽 많겠어요.≪박종화, 다정불심≫

16. 권중 (權重) [권중]

한자: 權(권세 권), 重(무거울 중:)

권세가 큼.

17. 귀중 (貴重) [귀:중]

한자: 貴(귀할 귀:), 重(무거울 중:)

‘귀중하다’
(귀하고 중요하다.)의 어근.

18. 귀중 (歸重) [귀:중]

한자: 歸(돌아갈 귀:), 重(무거울 중:)

「1」중요한 곳을 좇음.
「2」글 속의 특히 중요한 곳.

19. 극중 (極重) [극쭝]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重(무거울 중:)

‘극중하다’
(「1」극히 무겁다.
「2」병세나 형벌 따위가 몹시 무겁다.)의 어근.

20. 근중 (斤重) [근중]

한자: 斤(근[무게단위]/날[刃] 근), 重(무거울 중:)

‘근중하다’
(「1」무게가 무겁다.
「2」언행 따위가 무게가 있다.)의 어근.

21. 근중 (根重) [근중]

한자: 根(뿌리 근), 重(무거울 중:)

음식이 차지거나 영양이 풍부하여 먹은 뒤 오랫동안 든든한 기운.

22. 기중 (綦重) [기중]

한자: 綦(들메끈 기), 重(무거울 중:)

‘기중하다’
(꼭 필요하고 중요하다.)의 어근.

23. 기중 (器重) [기중]

한자: 器(그릇 기), 重(무거울 중:)

크게 될 인물로 보아 그의 재주와 기량을 소중히 여김.

24. 긴중 (緊重) [긴중]

한자: 緊(긴할 긴), 重(무거울 중:)

‘긴중하다’
(꼭 필요하고 중요하다.)의 어근.

25. 난중 (難重) [난중]

한자: 難(어려울 난(:)), 重(무거울 중:)

‘난중하다’
(매우 어렵고 중대하다.)의 어근.

26. 눈하중 (눈荷重) [눈:하중]

한자: 荷(멜 하(:)), 重(무거울 중:)

겨울철에 구조물 위에 쌓인 눈의 무게로 인한 하중.

27. 다중 (多重) [다중]

한자: 多(많을 다), 重(무거울 중:)

여러 겹.

용례:

  • 다중 포장.
  • 다중 안전장치.
  • 다중 전송 기술.

28. 단중 (端重) [단중]

한자: 端(끝 단), 重(무거울 중:)

‘단중하다’
(단정하고 정중하다.)의 어근.

29. 동하중 (動荷重) [동:하중]

한자: 動(움직일 동:), 荷(멜 하(:)), 重(무거울 중:)

움직이고 있는 물체가 다른 물체에 주는 무게. 예를 들면, 다리 위를 통과하는 차의 무게 따위가 있다.

30. 두중 (頭重) [두중]

한자: 頭(머리 두), 重(무거울 중:)

머리가 무겁고 무엇으로 싼 듯한 느낌이 있는 증상.

31. 둔중 (鈍重) [둔:중]

한자: 鈍(둔할 둔:), 重(무거울 중:)

‘둔중하다’
(「1」부피가 크고 무겁다.
「2」소리 따위가 매우 무겁고 무디다.
「3」성질이나 동작이 둔하고 느리다.
「4」분위기나 상태 따위가 마음이 내키지 않게 느른하고 활발하지 못하다.
「5」빛 따위가 산뜻하지 않고 매우 어둡고 흐리다.)의 어근.

32. 막중 (莫重) [막쭝]

한자: 莫(없을 막), 重(무거울 중:)

‘막중하다’
(더할 수 없이 중대하다.)의 어근.

33. 만중 (萬重) [만:중]

한자: 萬(일만 만:), 重(무거울 중:)

아주 많은 겹.

용례:

천인단애 까마득한 낭떠러지나 만중 철벽 척박한 땅에 서서….≪최명희, 혼불≫

34. 만중 (萬重) [만:중]

한자: 萬(일만 만:), 重(무거울 중:)

‘만중하다’
(윗사람의 원기가 매우 왕성하다.)의 어근.

35. 망중 (望重) [망:중]

한자: 望(바랄 망:), 重(무거울 중:)

‘망중하다’
(명망이 높다.)의 어근.

36. 묵중 (默重) [묵쭝]

한자: 默(잠잠할 묵), 重(무거울 중:)

‘묵중하다’
(말이 적고 몸가짐이 신중하다.)의 어근.

37. 보중 (保重) [보:중]

한자: 保(지킬 보(:)), 重(무거울 중:)

몸의 관리를 잘하여 건강하게 유지함.

용례:

옥체 보중.

38. 복중 (卜重) [복쭝]

한자: 卜(점 복), 重(무거울 중:)

‘복중하다’
(조금 묵직하다.)의 어근.

39. 비중 (比重) [비:중]

한자: 比(견줄 비:), 重(무거울 중:)

「1」다른 것과 비교할 때 차지하는 중요도.
「2」어떤 물질의 질량과 그것과 같은 체적의 표준 물질의 질량과의 비율. 고체나 액체의 경우에는 표준 물질로서 4℃의 물을 사용하며, 기체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0℃에서의 1기압의 공기를 표준으로 한다.

용례:

  • 「1」비중이 높다.
  • 「1」비중이 크다.
  • 「1」비중이 낮다.
  • 「1」비중이 작다.
  • 「1」오늘 신문들은 대통령의 특별 담화를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
  • 「1」그는 사람됨보다 외모에 비중을 두고 이성 친구를 사귄다.
  • 「2」중금속이 풍부한 암석은 비중이 크다.

40. 비중 (肥重) [비:중]

한자: 肥(살찔 비:), 重(무거울 중:)

‘비중하다’
(몸에 살이 쪄서 무겁다.)의 어근.

41. 비체중 (比體重) [비:체중]

한자: 比(견줄 비:), 體(몸 체), 重(무거울 중:)

키에 대한 몸무게의 백분율.

용례:

비만의 정도는 비체중으로도 알 수 있다.

42. 사하중 (死荷重) [사:하중]

한자: 死(죽을 사:), 荷(멜 하(:)), 重(무거울 중:)

물체 위에 올려놓은 추의 중력과 같이 움직임이 전혀 없는 때의 무게.

43. 삼중 (三重) [삼중]

한자: 三(석 삼), 重(무거울 중:)

「1」세 겹. 또는 셋이 겹쳐 있거나 세 번 거듭됨.
「2」불교 음악의 성명(聲明)에서, 음역을 셋으로 나눌 때 가장 높은 음역.

용례:

  • 「1」삼중 바닥.
  • 「1」삼중 유리.
  • 「1」삼중 추돌 사고.
  • 「1」이중 삼중으로 결박된 그의 몸은 조금도 움직일 수가 없었다.≪김동인, 젊은 그들≫
  • 「1」백제의 군사는 성을 삼중으로 포위하고….≪홍효민, 신라 통일≫

44. 설하중 (雪荷重) [설하중]

한자: 雪(눈 설), 荷(멜 하(:)), 重(무거울 중:)

겨울철에 구조물 위에 쌓인 눈의 무게로 인한 하중.

45. 소중 (所重) [소:중]

한자: 所(바 소:), 重(무거울 중:)

‘소중하다’
(매우 귀중하다.)의 어근.

46. 숭중 (崇重) [숭중]

한자: 崇(높을 숭), 重(무거울 중:)

받들어 귀중히 여김.

47. 승중 (承重) [승중]

한자: 承(이을 승), 重(무거울 중:)

적손인 손자가 할아버지로부터 직접 한집안을 거느릴 권리를 이어받는 일.

48. 신중 (愼重) [신:중]

한자: 愼(삼갈 신:), 重(무거울 중:)

매우 조심스러움.

용례:

  • 이번 작업은 신중을 요한다.
  • 일단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은신처를 확보한 것이나 다름없으니 그다음 일은 신중을 기해야 했다.≪조정래, 태백산맥≫
  • 오가다와는 친면이 없었기 때문에 그런대로 신중을 유지하고 있었지만 마음은 무거웠다.≪박경리, 토지≫
  • 아무리 담대한 사람이라도 돌연 발밑에서 총성이 울리면 일단은 주춤하여 행동의 신중을 잃을 것이었다.≪이병주, 지리산≫

49. 심중 (深重) [심중]

한자: 深(깊을 심), 重(무거울 중:)

‘심중하다’
(「1」생각이 깊고 침착하다.
「2」심각하고 중대하다.)의 어근.

50. 애중 (愛重) [애:중]

한자: 愛(사랑 애(:)), 重(무거울 중:)

사랑하고 소중하게 여김.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重 무거울 중: - 2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