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堤 둑 제

1. 가동언제 (可動堰堤) [가:동언제]

한자: 可(옳을 가:), 動(움직일 동:), 堰(둑 언), 堤(둑 제)

한 부분이나 전체를 움직여 물의 높이나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든 둑.

2. 간지제 (杆止堤) [간지제]

한자: 杆(몽둥이 간), 止(그칠 지), 堤(둑 제)

광산에서, 금속 성분을 뽑아내고 남은 찌꺼기를 처리하기 위하여 쌓아 올린 제방.

3. 감파제 (減波堤) [감:파제]

한자: 減(덜 감:), 波(물결 파), 堤(둑 제)

물결을 약하게 하기 위하여 쌓은 둑.

4. 강공제 (姜公堤) [강공제]

한자: 姜(성(姓) 강), 公(공평할 공), 堤(둑 제)

조선 선조 때에, 평안북도 선천군에 만들었던 제방. 당시의 군수(郡守) 강인(姜絪)이 군민(軍民)을 이끌고 쌓아서 30여 리의 수로를 통하게 하였다.

5. 관방제 (官防堤) [관방제]

한자: 官(벼슬 관), 防(막을 방), 堤(둑 제)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객사리에 있는 옛 제방. 조선 정조 18년(1794)에 축조되었다.

6. 김제 (金堤) [김제]

한자: 金(김), 堤(둑 제)

전라북도의 중서부에 있는 시. 쌀의 곡창 지대이며, 고구마·인삼 따위의 재배가 활발하다. 명승지로 금산사, 청운사, 벽골제 따위가 있다.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김제군을 통합하여 도농 복합 형태의 시를 이루었다. 면적은 544.90㎢.

7. 능제 (菱堤) [능제]

한자: 菱(마름 릉), 堤(둑 제)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에 있는 못. 면적은 17.34㎢.

8. 도류제 (導流堤) [도:류제]

한자: 導(인도할 도:), 流(흐를 류), 堤(둑 제)

도랑을 내려고 쌓은 둑. 물 흐름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도하고, 흘러내리는 흙과 모래를 일정 수심까지 배출하기 위하여 만든다.

9. 도수제 (導水堤) [도:수제]

한자: 導(인도할 도:), 水(물 수), 堤(둑 제)

물의 흐름을 일정한 방향으로 돌리고, 물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만든 둑.

10. 도제 (島堤) [도제]

한자: 島(섬 도), 堤(둑 제)

육지에서 떨어진 바다에 만든 방파제.

11. 돌제 (突堤) [돌쩨]

한자: 突(갑자기 돌), 堤(둑 제)

육지에서 강이나 바다로 길게 내밀어 만든 둑. 바다로 들어가는 강어귀에 퇴적물을 막고 물 깊이를 고르게 하기 위하여 만든다.(돌출제)

12. 무제 (霧堤) [무:제]

한자: 霧(안개 무:), 堤(둑 제)

배 위에서 보면 마치 육지처럼 보이는 먼바다의 안개.

13. 반도제 (半島堤) [반:도제]

한자: 半(반(半) 반:), 島(섬 도), 堤(둑 제)

육지에서 바다로 내민 모양의 방파제.

14. 방사제 (防沙堤) [방사제]

한자: 防(막을 방), 沙(모래 사), 堤(둑 제)

흙이나 모래가 항만에 밀려와 물의 깊이가 얕아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쌓은 둑.

15. 방조제 (防潮堤) [방조제]

한자: 防(막을 방), 潮(밀물/조수 조), 堤(둑 제)

높이 밀려드는 조수의 피해를 막기 위하여 바닷가에 쌓은 둑.

용례:

  • 방조제를 쌓다.
  • 태풍에 방조제가 무너졌다.

16. 방파제 (防波堤) [방파제]

한자: 防(막을 방), 波(물결 파), 堤(둑 제)

파도를 막기 위하여 항만에 쌓은 둑. 바다의 센 물결을 막아서 항구를 보호한다.

용례:

  • 작은 통통배는 선착장을 떠나 곧 방파제로 돌아 바다로 나갔다.≪윤후명, 별보다 멀리≫
  • 몇 개의 큰 바위들이 무리를 이루어 포구의 입구를 막아서 천연적 방파제 구실을 했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17. 벽골제 (碧骨堤) [벽꼴제]

한자: 碧(푸를 벽), 骨(뼈 골), 堤(둑 제)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월승리에 있는 저수지 둑. 백제 11대 비류왕 27년(330)에 쌓은 것으로, 고려 17대 인종과 조선 3대 태종 때 수축(修築)하였으며, 지금은 둑의 일부와 비석이 논 가운데에 드문드문 남아 있다. 우리나라 사적으로, 사적 정식 명칭은 ‘김제 벽골제’이다.

18. 보조제 (保潮堤) [보:조제]

한자: 保(지킬 보(:)), 潮(밀물/조수 조), 堤(둑 제)

바닷물을 막기 위하여 바닷가에 쌓은 둑.

19. 본제 (本堤) [본제]

한자: 本(근본 본), 堤(둑 제)

홍수나 강물의 범람을 막기 위하여 쌓은 둑.

20. 부방파제 (浮防波堤) [부방파제]

한자: 浮(뜰 부), 防(막을 방), 波(물결 파), 堤(둑 제)

파도를 막기 위하여 항만의 일정한 곳에 잇대어 띄워 놓은 뗏목이나 방주(方舟) 따위.

21. 설제 (雪堤) [설쩨]

한자: 雪(눈 설), 堤(둑 제)

눈을 뭉쳐 쌓아 올린 둑. 눈이 많이 내리는 곳에서, 산비탈의 눈이 흘러 내리는 것을 막기 위하여 철도 선로의 주위에 만든다.

22. 수산제 (守山堤) [수산제]

한자: 守(지킬 수), 山(메 산), 堤(둑 제)

경상남도 밀양시에 있는 저수지. 삼한 시대의 대표적인 수리 시설 가운데 하나이다.

23. 언제 (堰堤) [언:제]

한자: 堰(둑 언), 堤(둑 제)

하천이나 계류 따위를 막는 구조물.

용례:

보를 점유한 양반들이 언제를 잘 쌓고 충분히 저수를 하여 관개에 이용할 수 있게 했으나….≪문순태, 타오르는 강≫

24. 월류제 (越流堤) [월류제]

한자: 越(넘을 월), 流(흐를 류), 堤(둑 제)

논에 물이 알맞게 고이고 남은 물이 흘러넘쳐 빠질 수 있도록 만든 둑.

25. 유제 (柳堤) [유:제]

한자: 柳(버들 류(:)), 堤(둑 제)

버드나무를 심은 둑.

26. 윤중제 (輪中堤) [윤중제]

한자: 輪(바퀴 륜), 中(가운데 중), 堤(둑 제)

강섬의 둘레를 둘러서 쌓은 제방.

용례:

  • 윤중제 공사.
  • 윤중제를 쌓다.

27. 일류언제 (溢流堰堤) [일륜언제]

한자: 溢(넘칠 일), 流(흐를 류), 堰(둑 언), 堤(둑 제)

둑 안에 물이 너무 많을 때에, 그 위로 물이 넘쳐흐르도록 만든 부분.(일류제)

28. 잠제 (潛堤) [잠제]

한자: 潛(잠길 잠), 堤(둑 제)

파도의 힘을 줄이기 위해서 해안에 설치한 수중 구조물.

29. 장제 (長堤) [장제]

한자: 長(긴 장(:)), 堤(둑 제)

기다란 둑.

30. 지제 (支堤) [지제]

한자: 支(지탱할 지), 堤(둑 제)

흙이나 돌이 쌓인 무더기라는 뜻으로, 부처의 복덕이 쌓여 있는 것을 이르는 말. 사리가 없는 불탑을 가리킨다.

31. 축제 (築堤) [축쩨]

한자: 築(쌓을 축), 堤(둑 제)

둑을 쌓는 일.

32. 토언제 (土堰堤) [토언제]

한자: 土(흙 토), 堰(둑 언), 堤(둑 제)

흙으로 쌓아 올린 댐. 콘크리트 댐에 비하여 바닥이 약할 때 쌓는다.

33. 토제 (土堤) [토제]

한자: 土(흙 토), 堤(둑 제)

흙으로 쌓아 올린 제방.

34. 파제 (破堤) [파:제]

한자: 破(깨뜨릴 파:), 堤(둑 제)

홍수 따위로 둑이 무너짐.

35. 하제 (河堤) [하제]

한자: 河(물 하), 堤(둑 제)

하천에 만든 제방.

36. 한지제 (扞止堤) [한지제]

한자: 扞(막을 한), 止(그칠 지), 堤(둑 제)

광산에서, 광석으로부터 금속 성분을 뽑아낸 잔류물을 처리하려고 마련한 둑.

37. 혼성제 (混成堤) [혼:성제]

한자: 混(섞을 혼:), 成(이룰 성), 堤(둑 제)

아래는 잡석을 둑 모양으로 쌓고 위는 벽 모양으로 만든 방파제.

38. 횡제 (橫堤) [횡제]

한자: 橫(가로 횡), 堤(둑 제)

홍수의 빠른 흐름을 늦추기 위하여 물줄기의 방향에 가로 쌓은 둑.

39. 흙방조제 (흙防潮堤) [흑빵조제]

한자: 防(막을 방), 潮(밀물/조수 조), 堤(둑 제)

흙으로 쌓은 방조제. 진흙으로 둑을 쌓고 경사면을 돌 따위로 씌우거나 돌둑을 먼저 쌓아 물막이를 한 다음 그 뒤쪽을 흙으로 다져 물이 스며드는 것을 막는다.

40. 흙수제 (흙水堤) [흑쑤제]

한자: 水(물 수), 堤(둑 제)

흙으로 쌓은 수제. 물살이 세지 않은 얕은 강 따위에서 강기슭을 보호하기 위하여 임시로 쌓는다.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