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燥 마를 조

1. 건조 (乾燥) [건조]

한자: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1」말라서 습기가 없음.
「2」물기나 습기가 말라서 없어짐. 또는 물기나 습기를 말려서 없앰.
「3」분위기, 정신, 표현, 환경 따위가 여유나 윤기 없이 딱딱함.

용례:

  • 「2」건조가 빨리 되다.
  • 「2」목재를 말리는 방법에는 자연 건조와 인공 건조가 있다.

2. 경조 (輕燥) [경조]

한자: 輕(가벼울 경), 燥(마를 조)

‘경조하다’
(가볍고 건조하다.)의 어근.

3. 고조 (高燥) [고조]

한자: 高(높을 고), 燥(마를 조)

‘고조하다’
(땅이 높고 메마르다.)의 어근.

4. 고주파건조 (高周波乾燥) [고주파건조]

한자: 高(높을 고), 周(두루 주), 波(물결 파),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고주파 장치를 이용하여 물체를 말리는 것. 전극(電極) 사이에 건조시킬 물체를 놓아두고 거기에 고주파를 가하여, 건조 대상물의 내부에 유전 손실(誘電損失)이 일어나게 함으로써 발열하는 것을 이용한다.

5. 기류건조 (氣流乾燥) [기류건조]

한자: 氣(기운 기), 流(흐를 류),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가루나 알갱이 상태의 물체를 뜨겁고 아주 빠른 기류 속에 떠 날리게 하여 빨리 말리는 방법.

6. 내조 (內燥) [내:조]

한자: 內(안 내:), 燥(마를 조)

몸 안의 진액이 말라 생기는 병. 흔히 열병을 앓은 뒤, 게우고 설사한 뒤, 피나 땀을 지나치게 흘렸거나 약을 잘못 썼을 때에 생긴다.

7. 냉동건조 (冷凍乾燥) [냉:동건조]

한자: 冷(찰 랭(냉):), 凍(얼 동:),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진공 상태에서 수분이 있는 세포를 급히 얼린 후에, 얼음을 승화시켜 건조하는 방법.

용례:

냉동 건조 커피.

8. 동결건조 (凍結乾燥) [동:결건조]

한자: 凍(얼 동:), 結(맺을 결),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진공 상태에서 수분이 있는 세포를 급히 얼린 후에, 얼음을 승화시켜 건조하는 방법.

9. 무미건조 (無味乾燥) [무미건조]

한자: 無(없을 무), 味(맛 미:),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재미나 멋이 없이 메마름.

용례:

학구의 생활이란 무미건조의 도를 지나쳐, 순환의 고행이라고만 보여질 것이다.≪이희승, 소경의 잠꼬대≫

10. 민조 (憫燥) [민조]

한자: 憫(민망할 민), 燥(마를 조)

‘민조하다’
(초조하고 걱정스럽다.)의 어근.

11. 번조 (煩燥) [번조]

한자: 煩(번거로울 번), 燥(마를 조)

몸과 마음이 답답하고 열이 나서 손과 발을 가만히 두지 못하는 짓.

12. 분무건조 (噴霧乾燥) [분무건조]

한자: 噴(뿜을 분), 霧(안개 무:),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가열한 공기나 가스 속으로 액체 상태의 물질을 뿜어 넣어 물기를 증발시키고 고체 상태의 가루로 만드는 방식. 분유나 가루비누 따위를 만드는 데에 쓴다.

13. 산화건조 (酸化乾燥) [산화건조]

한자: 酸(실[味覺] 산), 化(될 화(:)),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잉크가 산화되면서 끈끈하게 포개어 합해져서 굳어지는 일.

14. 상한번조 (傷寒煩燥) [상한번조]

한자: 傷(다칠 상), 寒(찰 한), 煩(번거로울 번), 燥(마를 조)

찬 기운으로 인하여 가슴이 불안하고 열이 나며 손발을 가만히 두지 못하는 증상.

15. 성조 (性燥) [성:조]

한자: 性(성품 성:), 燥(마를 조)

‘성조하다’
(성질이 조급하다.)의 어근.

16. 양달건조 (陽달乾燥) [양달건조]

한자: 陽(볕 양),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1」볕에 쬐어 말리는 일.
「2」겨울 동안에 창고에 보관하였던 씨앗을 봄에 씨뿌리기 전에 꺼내어 펴서 볕에 말리는 일. 씨앗을 잠에서 깨게 하고 발아율을 높이기 위한 씨앗 처리의 한 공정이다.

17. 응달건조 (응달乾燥) [응달건조]

한자: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1」그늘에서 말리는 일.
「2」겨울 동안에 창고에 보관하였던 씨앗을 봄에 씨뿌리기 전에 꺼내어 펴서 그늘에서 말리는 일.

18. 이상건조 (異常乾燥) [이:상건조]

한자: 異(다를 이:), 常(떳떳할 상),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갠 날씨가 오래 계속되어 습도가 지나치게 낮아진 상태. 습도가 낮에는 50~60%, 밤에는 80~90%가 정상인데 10~20% 이하로 되는 것이다. 불이 나기 쉽고 농작물에도 피해가 있다.

19. 장조 (臟燥) [장조]

한자: 臟(오장 장:), 燥(마를 조)

정신 신경 장애 증상의 하나. 주로 여성에게 많이 발병하는데 감정의 변화가 심하여 까닭 없이 조급해지고 한숨을 쉬거나 기뻐하고 슬퍼함이 대중없이 극단으로 흐르는, 일종의 히스테리 증상이다.

20. 적외선건조 (赤外線乾燥) [저괴선건조]

한자: 赤(붉을 적), 外(바깥 외:), 線(줄 선),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적외선 방사 에너지를 이용하는 건조법. 물체의 표면만을 건조하는 데 적합하여 자동차의 도장(塗裝), 인쇄물의 도료, 직물 따위의 건조에 이용된다.

21. 전기건조 (電氣乾燥) [전:기건조]

한자: 電(번개 전:), 氣(기운 기),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전기 저항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말리는 방법. 습기 건조, 함침 건조, 도장 건조가 있으며 방법으로는 저항식, 유도식, 유전 가열식, 적외선식이 있다.

22. 절대건조 (絕對乾燥) [절때건조]

한자: 絕(끊을 절), 對(대할 대:),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용지를 100~107℃에서 말린 상태.

23. 증발건조 (蒸發乾燥) [증발건조]

한자: 蒸(찔 증), 發(필 발),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인쇄 뒤에 휘발성 용제가 증발하여 안료 따위가 남아 막처럼 종이에 달라붙는 일.

24. 진공건조 (眞空乾燥) [진공건조]

한자: 眞(참 진), 空(빌 공),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진공 상태에서 수분이 있는 세포를 급히 얼린 후에, 얼음을 승화시켜 건조하는 방법.

25. 초조 (焦燥) [초조]

한자: 焦(탈[燥] 초), 燥(마를 조)

애가 타서 마음이 조마조마함.

용례:

  • 초조의 빛을 띠다.
  • 생각은 그렇게 하면서도 그의 마음은 한시도 쉴 새 없이 불안과 기대와 초조로 울렁거려서 평정되지 않는 것을 억지로 어찌할 수도 없는 상태였다.≪주요섭, 미완성≫

26. 침투건조 (浸透乾燥) [침:투건조]

한자: 浸(잠길 침:), 透(사무칠 투),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인쇄와 동시에 건조제가 종이에 스며들어 안료(顔料)를 굳히는 일.

27. 통기건조 (通氣乾燥) [통기건조]

한자: 通(통할 통), 氣(기운 기),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건조할 물건을 알맞은 두께로 층을 쌓은 뒤 더운 바람으로 말리는 방법. 주로 스테이플 파이버 따위의 짧은 섬유 재료나 알갱이형 재료를 건조할 때 쓴다.

28. 항조 (亢燥) [항:조]

한자: 亢(높을 항), 燥(마를 조)

‘항조하다’
(지대가 높아 땅이 메마르다.)의 어근.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