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照 비칠 조:

1. 고조 (高照) [고조]

한자: 高(높을 고), 照(비칠 조:)

높이 비침.

2. 과조 (寡照) [과:조]

한자: 寡(적을 과:), 照(비칠 조:)

농작물에 쪼이는 햇볕의 양이 적음.

용례:

장마가 계속됨에 따라 과조 현상으로 농작물 피해가 극심한 상태이다.

3. 관조 (觀照) [관조]

한자: 觀(볼 관), 照(비칠 조:)

「1」고요한 마음으로 사물이나 현상을 관찰하거나 비추어 봄.
「2」미(美)를 직접적으로 인식하는 일.
「3」지혜로 모든 사물의 참모습과 나아가 영원히 변하지 않는 진리를 비추어 봄.

용례:

「1」관조는 하되 비판하지 말고, 분석은 하되 조급한 예언은 피해야 하는 거다.≪이병주, 지리산≫

4. 광조 (光照) [광조]

한자: 光(빛 광), 照(비칠 조:)

빛을 내어 환하게 비춤.

5. 균조 (均照) [균조]

한자: 均(고를 균), 照(비칠 조:)

고루 비춤.

6. 낙조 (落照) [낙쪼]

한자: 落(떨어질 락), 照(비칠 조:)

「1」저녁에 지는 햇빛.
「2」지는 해 주위로 퍼지는 붉은빛.

용례:

  • 「1」낙조의 아름다움.
  • 「1」낙조가 붉게 타오르고 있다.
  • 「1」서편 하늘로 고개를 돌이키니 찬란한 금빛 낙조가 서산 허리에 반 나마 걸렸는데 뭉게뭉게 떠오르는 여름 흰 구름이 벌겋게 취해서 물들기 시작한다.≪박종화, 임진왜란≫
  • 「2」낙조에 붉게 물든 얼굴.
  • 「2」지는 해는 이미 하늘 끝으로 잦아 갔고, 벌써부터 깔리기 시작하는 낙조에 물든 주위는 온통 핏빛이었다.≪김성동, 연꽃과 진흙≫
  • 「2」넓은 벌판 서쪽 가녘은 엷은 낙조로 물들었고 해는 크고 둥글어 갔다. ≪서정인, 후송≫

7. 다조 (多照) [다조]

한자: 多(많을 다), 照(비칠 조:)

농작물에 쪼이는 햇볕의 양이 많음.

8. 대일조 (對日照) [대:일쪼]

한자: 對(대할 대:), 日(날 일), 照(비칠 조:)

태양과 정반대 쪽의 황도(黃道) 위에 희미하게 보이는 빛. 황도면에 밀집해 있는 행성들 사이의 미립자가 태양의 빛을 반사하여 생기는 것으로 추정된다. 맑은 가을날 밤에 가장 잘 보인다.

9. 대조 (對照) [대:조]

한자: 對(대할 대:), 照(비칠 조:)

「1」둘 이상인 대상의 내용을 맞대어 같고 다름을 검토함.
「2」서로 달라서 대비가 됨.

용례:

  • 「1」장부 대조.
  • 「1」원문과의 대조가 필요하다.
  • 「1」설명의 방법으로는 정의, 예시, 비교와 대조, 분류와 구분 등이 있다.
  • 「2」둘의 성격이 대조가 된다.
  • 「2」그의 까만 얼굴과 흰 이가 선명한 대조를 보인다.
  • 「2」술에 젖은 붉은 입술이 눈 가장자리에 뒤덮인 어두운 그늘과 이상한 대조를 이루고 있었다.≪오상원, 모반≫

10. 만조 (晩照) [만:조]

한자: 晩(늦을 만:), 照(비칠 조:)

저녁에 지는 햇빛.

11. 반조 (反照) [반:조]

한자: 反(돌이킬/돌아올 반:), 照(비칠 조:)

돌이켜 살펴봄.

12. 반조 (返照) [반:조]

한자: 返(돌이킬 반:), 照(비칠 조:)

「1」빛이 반사되어 되쪼임. 또는 그 빛.
「2」저녁에 햇빛이 동쪽으로 비침. 또는 그 햇빛.

용례:

「2」이물간과 고물간으로 나와 앉은 선인들의 얼굴도 반조를 받아 이글이글 타는 듯하였다.≪김주영, 객주≫

13. 방조 (傍照) [방조]

한자: 傍(곁 방:), 照(비칠 조:)

적용할 만한 법조문이 없을 때에 비슷한 법조문을 참조하는 일.

14. 변조 (遍照) [변:조]

한자: 遍(두루 편), 照(비칠 조:)

부처의 광명이 온 세계와 사람의 마음을 두루 비추는 일.

15. 사조 (査照) [사조]

한자: 査(조사할 사), 照(비칠 조:)

조사하여 대조하여 봄.

16. 사조 (斜照) [사조]

한자: 斜(비낄 사), 照(비칠 조:)

저녁때의 햇빛. 또는 저녁때의 저무는 해.

17. 사조 (寫照) [사조]

한자: 寫(베낄 사), 照(비칠 조:)

「1」실제의 형상을 그대로 찍어 냄.
「2」초상화나 사진을 이르는 말.

18. 상조 (相照) [상조]

한자: 相(서로 상), 照(비칠 조:)

서로 대조함.

19. 석조 (夕照) [석쪼]

한자: 夕(저녁 석), 照(비칠 조:)

저녁때의 햇빛. 또는 저녁때의 저무는 해.

20. 소조 (小照) [소:조]

한자: 小(작을 소:), 照(비칠 조:)

「1」조그맣게 찍은 얼굴 사진이나 그린 화상(畫像).
「2」자기의 얼굴 사진이나 초상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21. 연조 (淵照) [연조]

한자: 淵(못 연), 照(비칠 조:)

깊이 파고들어 사물이나 사태를 환하게 파악함.

22. 영조 (映照) [영:조]

한자: 映(비칠 영(:)), 照(비칠 조:)

밝게 비춤.

23. 일조 (日照) [일쪼]

한자: 日(날 일), 照(비칠 조:)

햇볕이 내리쬠.

용례:

그녀는 일조 때에 옥상에서 일광욕을 즐겼다.

24. 자조 (自照) [자조]

한자: 自(스스로 자), 照(비칠 조:)

자기를 관찰하고 반성함.

25. 잔조 (殘照) [잔조]

한자: 殘(남을 잔), 照(비칠 조:)

저녁에 지는 햇빛.

26. 전조 (電照) [전:조]

한자: 電(번개 전:), 照(비칠 조:)

빛이 비쳐 밝게 빛남. 또는 그렇게 함.

27. 전조 (轉照) [전:조]

한자: 轉(구를 전:), 照(비칠 조:)

차례로 돌려 가면서 봄.

28. 존조 (尊照) [존조]

한자: 尊(높을 존), 照(비칠 조:)

「1」남의 사진이나 화상 따위를 높여 이르는 말.
「2」편지글에서, 겸손하게 ‘보아 달라’는 뜻으로 쓰는 말.

29. 좌조 (坐照) [좌:조]

한자: 坐(앉을 좌:), 照(비칠 조:)

바둑에서, 조용히 앉아서 조감할 줄 알게 되었다는 뜻에서, 8단을 이르는 말.

30. 준조 (浚照) [준:조]

한자: 浚(깊게할 준:), 照(비칠 조:)

‘준조하다’
(물이 깊고 맑다.)의 어근.

31. 지구조 (地球照) [지구조]

한자: 地(따 지), 球(공 구), 照(비칠 조:)

지구에서 반사된 태양의 빛이 달의 어두운 부분을 희미하게 비치는 현상. 특히 초승달의 앞뒤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32. 지조 (知照) [지조]

한자: 知(알 지), 照(비칠 조:)

알려 주기 위하여 조회함.

33. 직조 (直照) [직쪼]

한자: 直(곧을 직), 照(비칠 조:)

곧바로 비춤.

34. 집조 (執照) [집쪼]

한자: 執(잡을 집), 照(비칠 조:)

외국인에게 내어주던 통행 허가 증명서.

35. 찰조 (察照) [찰쪼]

한자: 察(살필 찰), 照(비칠 조:)

문서나 편지 따위를 자세히 읽어 대조함.

36. 참조 (參照) [참조]

한자: 參(참여할 참), 照(비칠 조:)

참고로 비교하고 대조하여 봄.

용례:

  • 관계 기사 참조.
  • 사진 참조.

37. 탐조 (探照) [탐조]

한자: 探(찾을 탐), 照(비칠 조:)

무엇을 밝히거나 찾아내기 위하여 빛을 멀리 비춤.

용례:

탐조 시설.

38. 편조 (遍照) [편조]

한자: 遍(두루 편), 照(비칠 조:)

「1」두루 비춤.
「2」법신불의 광명이 온 세계를 두루 비춤.

39. 호조 (護照) [호:조]

한자: 護(도울 호:), 照(비칠 조:)

조선 후기에, 외국인에게 내주던 여행권.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