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出 날[生] 출 - 2

41. 밀반출 (密搬出) [밀반출]

한자: 密(빽빽할 밀), 搬(옮길 반), 出(날[生] 출)

물건 따위를 몰래 내감.

용례:

외화 밀반출.

42. 밀수출 (密輸出) [밀쑤출]

한자: 密(빽빽할 밀), 輸(보낼 수), 出(날[生] 출)

세관을 거치지 아니하고 몰래 물건을 내다 팖.

43. 반소출 (半所出) [반:소출]

한자: 半(반(半) 반:), 所(바 소:), 出(날[生] 출)

예정했던 것보다 절반밖에 안 되는 수확량.

용례:

  • 작년도 늦게 심어서 반소출밖에는 못 내 먹었다.≪이기영, 고향≫
  • 아랫동네 사람들은 반소출, 반농사라고 농사를 제대로 못 짓는 엄마를 비웃고 있는 모양이지만….≪전상국, 지빠귀 둥지 속의 뻐꾸기≫

44. 반출 (搬出) [반출]

한자: 搬(옮길 반), 出(날[生] 출)

운반하여 냄.

용례:

  • 문화재의 반출.
  • 반출 물량.
  • 수출입 화물의 경우에는 입항에서 반출까지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었다.

45. 발출 (拔出) [발출]

한자: 拔(뽑을 발), 出(날[生] 출)

「1」빼내어 나오게 함.
「2」특출하게 뛰어남.

46. 발출 (發出) [발출]

한자: 發(필 발), 出(날[生] 출)

「1」비롯하여 나옴.
「2」최고의 근원자로부터 모든 만물이 비롯되는 일.

47. 방출 (放出) [방:출]

한자: 放(놓을 방(:)), 出(날[生] 출)

「1」비축하여 놓은 것을 내놓음.
「2」입자나 전자기파의 형태로 에너지를 내보냄.

용례:

  • 「1」쌀의 방출.
  • 「1」은행의 자금 방출로 기업의 숨통이 조금 트였다.

48. 배출 (倍出) [배:출]

한자: 倍(곱 배(:)), 出(날[生] 출)

소출이나 생산량 따위가 갑절이나 더 남. 또는 그렇게 하게 함.

용례:

  • 올해 이 대추나무에서 딴 대추의 양은 작년의 배출이다.
  • 수확이 배출로 나온 것은 좋은 퇴비를 많이 썼기 때문이다.

49. 배출 (排出) [배출]

한자: 排(밀칠 배), 出(날[生] 출)

「1」안에서 밖으로 밀어 내보냄.
「2」동물이 섭취한 음식물을 소화하여 항문으로 내보내는 일.

용례:

  • 「1」가스 배출.
  • 「1」노폐물 배출.
  • 「1」오염 물질 배출.
  • 「1」공해 배출 업소.
  • 「1」쓰레기 종량제가 실시되자 쓰레기의 배출이 크게 줄었다.
  • 「2」식이 섬유는 콜레스테롤과 당분의 배출을 촉진한다.

50. 배출 (輩出) [배:출]

한자: 輩(무리 배:), 出(날[生] 출)

인재(人材)가 계속하여 나옴.

용례:

  • 인재의 배출.
  • 훌륭한 기술자 배출이 우리 학교의 목표이다.
  • 어지러운 시대일수록 뛰어난 지도자의 배출을 갈망하게 된다.

51. 백출 (百出) [백출]

한자: 百(일백 백), 出(날[生] 출)

여러 가지로 많이 나옴.

52. 병출 (迸出) [병출]

한자: 迸(흩어질 병), 出(날[生] 출)

힘차게 솟아 나옴.

53. 병출 (竝出) [병:출]

한자: 竝(나란히 병:), 出(날[生] 출)

함께 나란히 떠나거나 나감.

54. 봉출 (蜂出) [봉출]

한자: 蜂(벌 봉), 出(날[生] 출)

벌떼처럼 나옴.

55. 분리배출 (分離排出) [불리배출]

한자: 分(나눌 분(:)), 離(떠날 리:), 排(밀칠 배), 出(날[生] 출)

쓰레기 따위를 종류별로 나누어서 버림.

용례:

  • 건설 폐기물 분리배출.
  • 음식물 쓰레기 분리배출.
  • 재활용품 분리배출 요령.
  •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 규칙에 분리배출 표시 대상을 지정하고 있다.
  • 우리 아파트의 분리배출 시간은 매주 월요일 아침 6시부터 10시까지입니다.

56. 분출 (分出) [분출]

한자: 分(나눌 분(:)), 出(날[生] 출)

나뉘어 나옴. 또는 나뉘어 나오게 함.

57. 분출 (奔出) [분출]

한자: 奔(달릴 분), 出(날[生] 출)

세차게 쏟아져 나옴.

58. 분출 (噴出) [분:출]

한자: 噴(뿜을 분), 出(날[生] 출)

「1」액체나 기체 상태의 물질이 솟구쳐서 뿜어져 나옴. 또는 그렇게 되게 함.
「2」요구나 욕구 따위가 한꺼번에 터져 나옴. 또는 그렇게 되게 함.

용례:

  • 「1」천연가스의 분출.
  • 「1」온천의 분출.
  • 「1」용암의 분출로 인하여 주변의 생태계가 변화되었다.
  • 「2」집단 이기주의의 분출.
  • 「2」그 딱딱한 소리가 실은 어떤 깊은 분노의 분출을 억제하는 그의 마음의 울부짖음 같기도 했다.≪김정한, 모래톱 이야기≫

59. 불세출 (不世出) [불쎄출]

한자: 不(아닐 불), 世(인간 세:), 出(날[生] 출)

좀처럼 세상에 나타나지 아니할 만큼 뛰어남.

용례:

  • 불세출의 영웅.
  • 흥선을 비범한 인물로 알기는 알았으나 이다지 불세출의 포부를 가진 줄은 과연 몰랐다.≪박종화, 전야≫

60. 불출 (不出) [불출]

한자: 不(아닐 불), 出(날[生] 출)

「1」밖으로 나가지 아니함.
「2」못나고 어리석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용례:

「2」계집 덕 보자는 놈은 불출 중에서도 상불출이다.≪박경리, 토지≫

61. 불출 (拂出) [불출]

한자: 拂(떨칠 불), 出(날[生] 출)

돈이나 물품을 내어줌.

용례:

총기 불출.

62. 빈출 (頻出) [빈출]

한자: 頻(자주 빈), 出(날[生] 출)

「1」자주 나오거나 나타남.
「2」자주 외출함.

용례:

「1」빈출 문제.

63. 사출 (査出) [사출]

한자: 査(조사할 사), 出(날[生] 출)

조사하여 드러냄.

64. 사출 (射出) [사출]

한자: 射(쏠 사(:)), 出(날[生] 출)

「1」화살이나 탄알, 가스 따위를 쏘아서 내보냄.
「2」한 점으로부터 부챗살 모양으로 뿜어냄.
「3」함선(艦船) 위에서 비행기 따위를 캐터펄트로 발진시킴.

65. 사출 (斜出) [사출]

한자: 斜(비낄 사), 出(날[生] 출)

관아에서 증명서 따위를 발급하여 주던 일.

66. 사출 (寫出) [사출]

한자: 寫(베낄 사), 出(날[生] 출)

글씨나 그림 따위를 그대로 베끼어 냄.

67. 사출 (瀉出) [사출]

한자: 瀉(쏟을 사(:)), 出(날[生] 출)

내쏟는 일.

68. 산출 (産出) [산:출]

한자: 産(낳을 산:), 出(날[生] 출)

물건을 생산하여 내거나 인물·사상 따위를 냄.

용례:

  • 산출이 많다.
  • 비용의 증가분은 산출 수준에 따라 다르다.
  • 거의 모든 분야에서 다양하게 분출된 욕구의 총량도 그렇지만 그런 사회적 투입에 대한 정치적 산출도 우리가 겪은 그 어떤 혁명에 못지않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69. 산출 (算出) [산:출]

한자: 算(셈 산:), 出(날[生] 출)

계산하여 냄.

용례:

  • 성적 산출.
  • 생산량 산출.
  • 산출 방식.
  • 산출 기준.
  • 그 사람들이라면 신천동에서 파 온 관을 묻는 데에 몇 사람의 손이 며칠간의 작업을 강행해야 끝마칠 수 있다는 것과 그에 따른 경비의 산출도 가장 믿음직할 것이었다.≪이문구, 장한몽≫

70. 살출 (殺出) [살출]

한자: 殺(죽일 살), 出(날[生] 출)

힘차게 돌진하여 나감.

71. 삼배출 (三倍出) [삼배출]

한자: 三(석 삼), 倍(곱 배(:)), 出(날[生] 출)

한 마지기의 땅에서 석 섬의 곡식을 내는 소출.

72. 삼출 (滲出) [삼출]

한자: 滲(스밀 삼), 出(날[生] 출)

「1」액체가 안에서 밖으로 스며 나옴.
「2」혈관이나 림프관 따위와 같은 맥관(脈管)의 내용물이 맥관 밖으로 스며 나옴. 또는 그런 일. 급성 염증이 있을 때 볼 수 있는 현상으로 단백 성분이 많다는 점에서 누출액과 구분한다.

73. 색출 (索出) [색출]

한자: 索(찾을 색), 出(날[生] 출)

샅샅이 뒤져서 찾아냄.

용례:

  • 경찰이 범인 색출 작업에 나섰다.
  • 가해자 색출에 나서자 섬 안은 다시 시퍼런 긴장과 적개심의 소용돌이 속에 휩싸이고 말았다.≪송기숙, 암태도≫

74. 생출 (生出) [생출]

한자: 生(날 생), 出(날[生] 출)

자기가 낳은 아들이나 딸.

75. 석출 (析出) [석출]

한자: 析(쪼갤 석), 出(날[生] 출)

「1」분석하여 냄.
「2」화합물을 분석하여 어떤 물질을 분리해 내는 일.
「3」액체 속에서 고체가 생김. 또는 그런 현상. 높은 온도의 용액을 냉각하여 용질 성분이 결정이 되어 나오는 경우, 전기 분해로 금속이 전극에 부착되는 경우 따위를 이른다.

76. 선출 (先出) [선출]

한자: 先(먼저 선), 出(날[生] 출)

과일, 푸성귀, 해산물 따위에서 그해의 맨 처음에 나는 것.

77. 선출 (選出) [선:출]

한자: 選(가릴 선:), 出(날[生] 출)

여럿 가운데서 골라냄.

용례:

  • 선출 과정.
  • 선출 방식.
  • 위원장 선출.

78. 성출 (誠出) [성출]

한자: 誠(정성 성), 出(날[生] 출)

성의껏 내어놓음.

용례:

토지 개혁으로 토지를 얻은 농민들도 계획 파종과 현물세와 성출 때문에 골치를 앓고 있다는 소문이 바이 빈말이 아닐 듯싶다.≪김성칠, 역사 앞에서≫

79. 세출 (歲出) [세:출]

한자: 歲(해 세:), 出(날[生] 출)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의 한 회계 연도에 있어서의 모든 지출.

80. 소자출 (所自出) [소:자출]

한자: 所(바 소:), 自(스스로 자), 出(날[生] 출)

어떤 사물이 나온 근본이나 출처.

용례:

  • 소자출을 캐다.
  • 소자출을 알 수 없다.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出 날[生] 출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出 날[生] 출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出 날[生] 출 - 4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出 날[生] 출 - 5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