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 초출 (招出) [초출]
한자: 招(부를 초), 出(날[生] 출)
사람을 불러냄.
162. 초출 (超出) [초출]
한자: 超(뛰어넘을 초), 出(날[生] 출)
‘초출하다’
(다른 사람에 비하여 두드러지게 뛰어나다.)의 어근.
163. 총지출 (總支出) [총:지출]
한자: 總(다[皆] 총:), 支(지탱할 지), 出(날[生] 출)
어떤 목적을 위하여 지급한 모든 돈.
용례:
경제적으로 가계를 운영하면 총지출이 총수입의 절반을 넘기지 않을 수도 있다.
164. 총출 (總出) [총:출]
한자: 總(다[皆] 총:), 出(날[生] 출)
구성원 모두가 나옴.
165. 추출 (抽出) [추출]
한자: 抽(뽑을 추), 出(날[生] 출)
「1」전체 속에서 어떤 물건, 생각, 요소 따위를 뽑아냄.
「2」모집단(母集團)에서 표본을 뽑아내는 일.
「3」고체 또는 액체의 혼합물에 용매(溶媒)를 가하여 혼합물 속의 어떤 물질을 용매에
녹여 뽑아내는 일.
166. 축출 (逐出) [축출]
한자: 逐(쫓을 축), 出(날[生] 출)
쫓아내거나 몰아냄.
용례:
- 강제 축출.
- 당 지도부는 뇌물죄로 사법 처리를 당한 의원들의 축출을 결의하였다.
167. 층생첩출 (層生疊出) [층생첩출]
한자: 層(층[層階] 층), 生(날 생), 疊(거듭 첩), 出(날[生] 출)
일이 여러 가지로 겹쳐서 자꾸 생겨남.
용례:
난리가 나려면 괴상한 일이 층생첩출 생기는 것이다.≪박종화, 임진왜란≫
168. 층출 (層出) [층출]
한자: 層(층[層階] 층), 出(날[生] 출)
어떤 일이 거듭하여서 일어남.
169. 칠출 (七出) [칠출]
한자: 七(일곱 칠), 出(날[生] 출)
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170. 침출 (浸出) [침:출]
한자: 浸(잠길 침:), 出(날[生] 출)
「1」경계나 테두리 따위를 넘어서 다른 영역으로 진출함.
「2」고체를 용액 속에 담가서 우려냄.
171. 타출 (打出) [타:출]
한자: 打(칠 타:), 出(날[生] 출)
철판 밑에 모형을 대고 두드려 그 모형과 같은 모양이 겉으로 나오게 함.
172. 탁출 (卓出) [탁출]
한자: 卓(높을 탁), 出(날[生] 출)
‘탁출하다’
(남보다 훨씬 뛰어나다.)의 어근.
173. 탈출 (脫出) [탈출]
한자: 脫(벗을 탈), 出(날[生] 출)
어떤 상황이나 구속 따위에서 빠져나옴.
용례:
- 탈출을 시도하다.
- 탈출에 성공하다.
- 나는 일찍이 거름통과의 뼈저린 고역을 버리기 위해 새벽차를 타고 고향에서의 탈출을 감행했습니다.≪황석영, 섬섬옥수≫
174. 택출 (擇出) [택출]
한자: 擇(가릴 택), 出(날[生] 출)
가려서 골라냄.
175. 토출 (吐出) [토:출]
한자: 吐(토할 토(:)), 出(날[生] 출)
「1」먹은 것을 토해 냄.
「2」속에 품은 뜻을 털어놓고 말함.
176. 퇴출 (退出) [퇴:출]
한자: 退(물러날 퇴:), 出(날[生] 출)
「1」물러나서 나감.
「2」내어놓고 나가게 함.
용례:
「2」부실 은행 퇴출.
177. 투출 (投出) [투출]
한자: 投(던질 투), 出(날[生] 출)
「1」물건 따위를 아무렇게나 던짐.
「2」자신의 외부에 존재하는 객관적인 대상을 자기의 정신과 똑같이 생각하고 해석하는 일.
178. 특출 (特出) [특출]
한자: 特(특별할 특), 出(날[生] 출)
‘특출하다’
(특별히 뛰어나다.)의 어근.
179. 파출 (派出) [파출]
한자: 派(갈래 파), 出(날[生] 출)
임무를 주어 사람을 파견함.
180. 판출 (辦出) [판출]
한자: 辦(힘들일 판), 出(날[生] 출)
돈이나 물건 따위를 변통하여 마련하여 냄.
용례:
사업 자금 판출 방법.
181. 팔불출 (八不出) [팔불출]
한자: 八(여덟 팔), 不(아닐 불), 出(날[生] 출)
몹시 어리석은 사람을 이르는 말.
용례:
자식 자랑은 팔불출이라지만 우리 아들 자랑 좀 해야겠다.
182. 팽출 (膨出) [팽출]
한자: 膨(불을 팽), 出(날[生] 출)
부풀어 나옴.
183. 평출 (平出) [평출]
한자: 平(평평할 평), 出(날[生] 출)
국악 가곡(歌曲)의 하나. 이삭대엽을 변화시킨 곡으로, 첫머리를 평탄하게 시작하며, 남창과 여창이 있다.
184. 표출 (表出) [표출]
한자: 表(겉 표), 出(날[生] 출)
겉으로 나타냄.
용례:
- 감정의 표출.
- 개성의 과감한 표출.
- 전쟁은 사실 인간들이 연출하는 가장 노골적인 적대감의 표출이었다.≪홍성원, 육이오≫
185. 현출 (現出) [현:출]
한자: 現(나타날 현:), 出(날[生] 출)
「1」겉으로 드러나거나 드러냄.
「2」일식이나 월식 따위로 다른 천체에 가리어 보이지 아니하던 천체가 다시 나타남. 또는 그런 현상.
용례:
「1」만약 자기와 자기의 형의 추측이 옳다 할진대, 장래 과연 무서운 세상은 현출이 될 것이다.≪김동인, 운현궁의 봄≫
186. 현출 (顯出) [현:출]
한자: 顯(나타날 현:), 出(날[生] 출)
두드러지게 드러나거나 드러냄.
187. 호출 (呼出) [호출]
한자: 呼(부를 호), 出(날[生] 출)
「1」전화나 전신 따위의 신호로 상대편을 부르는 일.
「2」법원이 피고인, 증인, 변호인, 대리인 따위의 소송 관계인에게 소환장을 발부하여, 공판 기일이나 그 밖의 일정한 일시에 법원 또는 법원이
지정한 장소에 나올 것을 명령하는 일.
용례:
- 「1」호출이 오다.
- 「1」김철은 점심 식사 뒤부터는 어디서도 눈에 띄지 않았다. 부관에게 알아보았더니 사령부의 호출을 받고 나갔다는 것이었다.≪이문열, 영웅시대≫
- 「2」호출 명령.
188. 홀출 (忽出) [홀출]
한자: 忽(갑자기 홀), 出(날[生] 출)
갑자기 나타남.
189. 획출 (劃出) [획출]
한자: 劃(그을 획), 出(날[生] 출)
꾀를 생각하여 냄.
190. 횡출 (橫出) [횡출]
한자: 橫(가로 횡), 出(날[生] 출)
바르지 못한 짓이나 빗나간 행동을 함.
191. 흘출 (屹出) [흘출]
한자: 屹(산우뚝할 흘), 出(날[生] 출)
산이나 바위 따위가 험하고 날카롭게 우뚝 솟음.
192. 흡출 (吸出) [흡출]
한자: 吸(마실 흡), 出(날[生] 출)
어떤 물질을 빨아냄.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出 날[生] 출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出 날[生] 출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出 날[生] 출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出 날[生] 출 - 4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