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 일출 (逸出) [일출]
한자: 逸(편안할 일), 出(날[生] 출)
보통보다 뛰어남.
122. 일출 (溢出) [일출]
한자: 溢(넘칠 일), 出(날[生] 출)
물 따위의 액체가 넘쳐흐름.
123. 입출 (入出) [입출]
한자: 入(들 입), 出(날[生] 출)
수입과 지출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입출 내역.
- 입출 명세.
124. 재수출 (再輸出) [재:수출]
한자: 再(두 재:), 輸(보낼 수), 出(날[生] 출)
수입하였던 물품을 다시 수출함. 흔히, 수입한 원료를 가공하고 정제한 뒤에 다시 수출하는 것을 이른다.
125. 재이출 (再移出) [재:이출]
한자: 再(두 재:), 移(옮길 이), 出(날[生] 출)
들여왔던 물품을 가공하여 다시 밖으로 내보내는 일.
126. 재출 (再出) [재:출]
한자: 再(두 재:), 出(날[生] 출)
두 번 나옴. 또는 두 번 냄.
127. 적출 (嫡出) [적출]
한자: 嫡(정실 적), 出(날[生] 출)
정실이 낳은 자식.(정출)
용례:
범강장달이 같은 적출의 아들이 둘씩이나 있다고는 하나 그럴수록 어린 서출의 장래가 애달플 건 인지상정이었다.≪박완서, 미망≫
128. 적출 (摘出) [적출]
한자: 摘(딸[手收] 적), 出(날[生] 출)
「1」끄집어내거나 솎아 냄.
「2」감추어져 있던 것을 들추어냄.
용례:
- 「1」위장 속의 균종(菌種) 적출.
- 「2」묻혀 있던 사건의 적출.
129. 적출 (積出) [적출]
한자: 積(쌓을 적), 出(날[生] 출)
짐이나 상품 따위를 실어 냄.
용례:
화물 적출 금지.
130. 전출 (轉出) [전:출]
한자: 轉(구를 전:), 出(날[生] 출)
「1」이전 거주지에서 새 거주지로 옮겨 감.
「2」새 근무지나 학교 따위로 옮겨 감.
용례:
- 「1」전출 신고.
- 「1」도시로 향한 농촌 인구의 전출이 많은 편이다.
- 「2」전출 명령.
- 「2」전출을 가다.
- 「2」군바리 살림이 오죽했겠소. 전출 다니다가 세월 다 보냈지.≪황석영, 객지≫
131. 정출 (挺出) [정출]
한자: 挺(빼어날 정), 出(날[生] 출)
「1」쑥 비어져 나옴.
「2」남보다 특출하게 뛰어남.
132. 정출 (晶出) [정출]
한자: 晶(맑을 정), 出(날[生] 출)
액체나 기체 속에 녹아 있는 용질을 고체 결정으로 분리하거나 석출하는 일.
133. 제출 (除出) [제출]
한자: 除(덜 제), 出(날[生] 출)
덜어 냄.
134. 제출 (提出) [제출]
한자: 提(끌 제), 出(날[生] 출)
문안(文案)이나 의견, 법안(法案) 따위를 냄.
용례:
- 보고서 제출.
- 융자를 위한 제출 서류가 20가지가 넘는다.
- 나는 이 급작스러운 문제 제출에 어떤 답안을 내려야 할지 어리벙벙했다.≪최정희, 지맥≫
135. 제출 (製出) [제:출]
한자: 製(지을 제:), 出(날[生] 출)
만들어 냄.
136. 조연출 (助演出) [조:연출]
한자: 助(도울 조:), 演(펼 연:), 出(날[生] 출)
연출가를 돕거나 대리하는 사람. 또는 그런 지위.
용례:
- 조연출을 맡다.
- 몇 년 정도 조연출 과정을 거치면 정식 연출자가 된다.
137. 조출 (早出) [조:출]
한자: 早(이를 조:), 出(날[生] 출)
「1」아침에 매우 일찍 나감.
「2」정시나 약속된 시간보다 이르게 나감.
138. 조출 (造出) [조:출]
한자: 造(지을 조:), 出(날[生] 출)
물건을 만들어 세상에 냄.
139. 조출 (繰出) [조출]
한자: 繰(고치켤 조), 出(날[生] 출)
고치를 삶아 실을 뽑아냄.
140. 족출 (簇出) [족출]
한자: 簇(가는대[小竹] 족), 出(날[生] 출)
떼를 지어 잇따라 나오거나 생겨남.
용례:
훌륭한 연구 성과의 족출.
141. 주출 (做出) [주:출]
한자: 做(지을 주), 出(날[生] 출)
없는 사실을 꾸며 만듦.
142. 주출 (鑄出) [주:출]
한자: 鑄(쇠불릴 주), 出(날[生] 출)
쇠붙이를 녹여 거푸집에 부어 만들어 냄.
143. 증출 (拯出) [증출]
한자: 拯(건질 증), 出(날[生] 출)
물에 잠긴 물건 따위를 물 밖으로 꺼냄.
144. 지출 (支出) [지출]
한자: 支(지탱할 지), 出(날[生] 출)
「1」어떤 목적을 위하여 돈을 지급하는 일.
「2」국가 또는 지방 자치 단체가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지불하는 경비.
용례:
- 「1」한 달간의 지출 명세.
- 「1」지출을 줄이다.
- 「1」아이가 학교에 들어가면서 지출이 부쩍 늘었다.
- 「1」이달에는 지출이 수입을 초과해 적자를 보았다.
- 「1」깨알 같은 볼펜 글씨로 돈의 수입 지출과 그 내역이 씌어 있었고 군데군데 메모도 보였다.≪황석영, 무기의 그늘≫
- 「2」정부 지출 축소안이 통과되었다.
145. 지출 (持出) [지출]
한자: 持(가질 지), 出(날[生] 출)
물품을 가지고 나감.
146. 직수출 (直輸出) [직쑤출]
한자: 直(곧을 직), 輸(보낼 수), 出(날[生] 출)
중개하는 나라나 상인을 거치지 아니하고 상품을 직접 수출함.
147. 직출 (直出) [직출]
한자: 直(곧을 직), 出(날[生] 출)
곧 나아감.
148. 진출 (振出) [진:출]
한자: 振(떨칠 진:), 出(날[生] 출)
어음이나 환(換) 따위를 발행함.
149. 진출 (進出) [진:출]
한자: 進(나아갈 진:), 出(날[生] 출)
「1」어떤 방면으로 활동 범위나 세력을 넓혀 나아감.
「2」앞으로 나아감.
용례:
- 「1」정계 진출.
- 「1」여성의 사회 진출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 「1」해외 시장 진출에 회사의 사활이 걸려 있다.
- 「2」일본군과 경군은 거기 유리한 지대에다 진을 치고 동학군의 진출을 기다렸다.≪유주현, 대한 제국≫
150. 징출 (徵出) [징출]
한자: 徵(부를 징), 出(날[生] 출)
세금이나 빚 따위를 갚지 못할 때에 그 친척이나 관계자에게 물어내게 하던 일.
151. 차출 (差出) [차출]
한자: 差(다를 차), 出(날[生] 출)
「1」예전에, 관원으로 임명하기 위하여 인재를 뽑던 일.
「2」어떤 일을 시키기 위하여 인원을 선발하여 냄.
용례:
- 「2」인원 차출.
- 「2」노동력 차출.
- 「2」병력 차출.
- 「2」대표 팀 차출.
- 「2」곁에 약혼녀가 붙어 있다 해서 당번병의 차출이 중지되지는 않았다.≪윤흥길, 빙청과 심홍≫
152. 창출 (創出) [창:출]
한자: 創(비롯할 창:), 出(날[生] 출)
전에 없던 것을 처음으로 생각하여 지어내거나 만들어 냄.
용례:
- 공화국의 창출 과정.
- 새로운 국가 지도력의 창출.
- 소설은 어떤 태도나 신념의 창출 과정이지 그것의 완결적 주장이 아니라는 점에서….≪이청준, 전짓불 앞의 방백≫
153. 책출 (責出) [책출]
한자: 責(꾸짖을 책), 出(날[生] 출)
필요한 인원, 마소 따위를 책임지고 차출하던 일.
154. 척출 (剔出) [척출]
한자: 剔(뼈바를 척), 出(날[生] 출)
발라내거나 도려냄.
용례:
때에 따라선 자궁 척출을 해 내야 되니까. 임신 능력을 잃게 될지도 모르오.≪황석영, 한 씨 연대기≫
155. 천출 (天出) [천출]
한자: 天(하늘 천), 出(날[生] 출)
하늘이 냄. 또는 아주 뛰어나게 훌륭함.
156. 천출 (賤出) [천:출]
한자: 賤(천할 천:), 出(날[生] 출)
「1」천첩에게서 난 자손.
「2」천한 출신.
용례:
「2」장개동은 자신의 아버지가 노비 출신이었다는 것을 이미 알고, 그의 어머니 역시 아버지와 같은 천출이라는 것을 짐작한 바 있었으나….≪문순태, 타오르는 강≫
157. 첩출 (妾出) [첩출]
한자: 妾(첩 첩), 出(날[生] 출)
첩이 낳은 자식.(서출,측출)
158. 첩출 (疊出) [첩출]
한자: 疊(거듭 첩), 出(날[生] 출)
같은 사물이 거듭 나옴.(중출)
159. 초출 (初出) [초출]
한자: 初(처음 초), 出(날[生] 출)
과일, 채소, 생선 따위가 그해 처음으로 나옴.
160. 초출 (抄出) [초출]
한자: 抄(뽑을 초), 出(날[生] 출)
필요한 부분을 골라서 뽑아냄.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出 날[生] 출 - 1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出 날[生] 출 - 2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出 날[生] 출 - 3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出 날[生] 출 - 5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