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졸 (古拙) [고:졸]
한자: 古(예 고:), 拙(졸할 졸)
‘고졸하다’
(기교는 없으나 예스럽고 소박한 멋이 있다.)의 어근.
2. 공졸 (工拙) [공졸]
한자: 工(장인 공), 拙(졸할 졸)
기교의 능함과 서투름을 아울러 이르는 말.
3. 교졸 (巧拙) [교졸]
한자: 巧(공교할 교), 拙(졸할 졸)
「1」교묘하고 졸렬함.
「2」익숙함과 서투름.
용례:
「2」표현 양식이나 제작 기법에 교졸의 차이가 나타난다.
4. 군졸 (窘拙) [군:졸]
한자: 窘(군색할 군:), 拙(졸할 졸)
‘군졸하다’
(있어야 할 것이 없거나 넉넉하지 못하여 어렵다.)의 어근.
5. 궁졸 (窮拙) [궁졸]
한자: 窮(다할/궁할 궁), 拙(졸할 졸)
‘궁졸하다’
(생활이 좀 궁하고 서툴다.)의 어근.
6. 노졸 (老拙) [노:졸]
한자: 老(늙을 로:), 拙(졸할 졸)
[Ⅰ]늙고 생김새가 보기에 좋지 않음.
[Ⅱ]늙은 사람이 자기를 낮추어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7. 노졸 (露拙) [노졸]
한자: 露(이슬 로(:)), 拙(졸할 졸)
옹졸하고 못남을 드러내 보임.
8. 둔졸 (鈍拙) [둔:졸]
한자: 鈍(둔할 둔:), 拙(졸할 졸)
둔하고 서투름. 또는 그런 모양.
9. 성졸 (性拙) [성:졸]
한자: 性(성품 성:), 拙(졸할 졸)
‘성졸하다’
(성품이 너그럽지 못하고 소견이 좁다.)의 어근.
10. 소졸 (疏拙) [소졸]
한자: 疏(소통할 소), 拙(졸할 졸)
‘소졸하다’
(꼼꼼하지 못하고 서투르다.)의 어근.
11. 수졸 (守拙) [수졸]
한자: 守(지킬 수), 拙(졸할 졸)
「1」어리석음을 벗어나지 못하고 우직한 태도를 고집하여 본성을 고치지 않음.
「2」바둑에서, 기력(棋力)을 나타내는 말. 겨우 자기의 집이나 지킬 정도라는 뜻으로, 초단(初段)을 이른다.
12. 아졸 (雅拙) [아:졸]
한자: 雅(맑을 아(:)), 拙(졸할 졸)
‘아졸하다’
13. 어졸 (語拙) [어:졸]
한자: 語(말씀 어:), 拙(졸할 졸)
‘어졸하다’
(말솜씨가 없다.)의 어근.
14. 언졸 (言拙) [언졸]
한자: 言(말씀 언), 拙(졸할 졸)
‘언졸하다’
(말솜씨가 없다.)의 어근.
15. 옹졸 (壅拙) [옹:졸]
한자: 壅(막을 옹), 拙(졸할 졸)
‘옹졸하다’
(「1」성품이 너그럽지 못하고 생각이 좁다.
「2」옹색하고 변변치 아니하다.)의 어근.
16. 용졸 (庸拙) [용졸]
한자: 庸(떳떳할 용), 拙(졸할 졸)
‘용졸하다’
(용렬하고 졸렬하다.)의 어근.
17. 우졸 (愚拙) [우졸]
한자: 愚(어리석을 우), 拙(졸할 졸)
옹졸하고 못나며 어리석음.
용례:
국권 아닌 왕권의 연장을 위해 외세를 끌어들인 위정자의 우졸을 통렬히 비난했다.≪박경리, 토지≫
18. 잔졸 (孱拙) [잔졸]
한자: 孱(잔약할 잔), 拙(졸할 졸)
‘잔졸하다’
(몹시 약하고 옹졸하다.)의 어근.
19. 장졸 (藏拙) [장졸]
한자: 藏(감출 장:), 拙(졸할 졸)
자기의 변변하지 못한 점을 가려서 감춤.
20. 추졸 (醜拙) [추졸]
한자: 醜(추할 추), 拙(졸할 졸)
‘추졸하다’
(지저분하고 졸렬하다.)의 어근.
21. 치졸 (稚拙) [치졸]
한자: 稚(어릴 치), 拙(졸할 졸)
유치하고 졸렬함.
22. 하졸 (下拙) [하:졸]
한자: 下(아래 하:), 拙(졸할 졸)
‘하졸하다’
(질이 낮고 졸렬하다.)의 어근.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