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推 밀 추

1. 고추 (考推) [고추]

한자: 考(생각할 고(:)), 推(밀 추)

사실에 맞는가 맞지 않는가를 비교하여 생각함.

2. 금추 (禁推) [금:추]

한자: 禁(금할 금:), 推(밀 추)

조선 시대에, 의금부에서 죄인을 신문하던 일.

3. 나추 (拿推) [나:추]

한자: 拿(잡을[拏同] 나:), 推(밀 추)

범인을 잡아다 죄를 문초함.

4. 동추 (同推) [동추]

한자: 同(한가지 동), 推(밀 추)

같이 심문함.

5. 미필추 (未畢推) [미:필추]

한자: 未(아닐 미(:)), 畢(마칠 필), 推(밀 추)

아직 죄과의 심리가 끝나지 않음.

6. 사추 (邪推) [사추]

한자: 邪(간사할 사), 推(밀 추)

못된 의심을 품고 추측함.

7. 시추 (時推) [시추]

한자: 時(때 시), 推(밀 추)

갇혀 있는 죄인을 신문함.

용례:

형조로 하여금 시추와 미완결을 물론하고 의심스러운 것을 깨끗하게 초록해 등대하여 품결하게 할 것이다.≪번역 영조실록≫

8. 유추 (類推) [유:추]

한자: 類(무리 류(:)), 推(밀 추)

「1」같은 종류의 것 또는 비슷한 것에 기초하여 다른 사물을 미루어 추측하는 일.
「2」두 개의 사물이 여러 면에서 비슷하다는 것을 근거로 다른 속성도 유사할 것이라고 추론하는 일. 서로 비슷한 점을 비교하여 하나의 사물에서 다른 사물로 추리한다.
「3」법률 해석 방법의 하나. 어떤 사항을 직접 규정한 법규가 없을 때 그와 비슷한 사항을 규정한 법규를 적용하는 방법이다. 형법에서는 원칙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4」어떤 단어나 어법(語法)이 의미적·형태적으로 비슷한 다른 단어나 문법 형식을 모델로 하여 형성되는 과정.

용례:

  • 「1」유추에 의하여 판단하다.
  • 「1」그것은 어디까지나 그 진실의 존재에 대한 심정적 유추의 단계에 불과할 뿐이었다.≪이청준, 춤추는 사제≫

9. 중추 (重推) [중:추]

한자: 重(무거울 중:), 推(밀 추)

벼슬아치의 죄과를 무겁고 가벼움에 따라 엄중하게 캐물어서 밝힘.(종추)

용례:

병조와 총부 입직 당상관들은 중추를 당하고 나처에 부치라는 엄한 분부까지 내렸다.≪박종화, 전야≫

10. 직추 (直推) [직추]

한자: 直(곧을 직), 推(밀 추)

사법 기관에서 임금에게 아뢰지 아니하고, 죄인을 불러들여 직접 신문하던 일.

11. 찰추 (察推) [찰추]

한자: 察(살필 찰), 推(밀 추)

죄상을 미리 조사하여 두고 그 내용을 본인에게 확인함.

12. 천추 (遷推) [천:추]

한자: 遷(옮길 천:), 推(밀 추)

미적미적 미루어 감.

13. 청추 (請推) [청추]

한자: 請(청할 청), 推(밀 추)

직무에 허물이 있는 벼슬아치를 추문(推問)할 것을 상부에 요청하던 일.

14. 퇴이추 (退而推) [퇴:이추]

한자: 退(물러날 퇴:), 而(말이을 이), 推(밀 추)

거문고를 연주할 때에, 소리를 낮게 끌어 내렸다가 줄을 밀어 높은 소리를 내는 연주법. 퇴성한 다음 추성하는 수법을 이른다.

15. 형추 (刑推) [형추]

한자: 刑(형벌 형), 推(밀 추)

죄인의 정강이를 때리며 캐묻던 일.

16. 회추 (會推) [회:추]

한자: 會(모일 회:), 推(밀 추)

조선 시대에, 명령을 받은 벼슬아치들이 함께 모여서 범죄인을 추문(推問)하던 일.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