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구주 (家口主) [가구주]
한자: 家(집 가), 口(입 구(:)), 主(임금/주인 주)
한 가구를 이끄는 주가 되는 사람.
용례:
밑도 끝도 없이, 정체도 제대로 안 밝히고 가구주 성명을 적어 가고 도장까지 받아 가는 이 수상한 자들을 수상쩍게 본 사람은 아무도 없었던 것이다.≪이문구, 장한몽≫
2. 가주 (家主) [가주]
한자: 家(집 가), 主(임금/주인 주)
「1」한집안의 주인.
「2」집을 소유한 사람.
용례:
- 「1」거가대족 집안의 가주 종손이 상용 음식으로, 다른 것은 밀어 내어 마다하고 다만 죽을 찾을 뿐인지라,….≪최명희, 혼불≫
- 「2」해변을 매립하여 만든 시가지에는 많은 지주, 가주가 생겼다.
3. 가주 (假主) [가:주]
한자: 假(거짓 가:), 主(임금/주인 주)
「1」제사에서, 신주 대신 만들어 놓은 신위.
「2」국상(國喪) 때 쓰던 뽕나무로 만든 임시 신주.
용례:
「1」그 얼굴과 손은 다시 볼 수도 잡을 수도 없으며 목소리도 들을 수 없는데, 다만 흰 비단 가주 처연히 서 있으니, 저 쓸쓸한 헝겊 한 장으로 어찌 이 허망을 달랠 수 있으리오.≪최명희, 혼불≫
4. 객주 (客主) [객쭈]
한자: 客(손 객), 主(임금/주인 주)
조선 시대에, 다른 지역에서 온 상인들의 거처를 제공하며 물건을 맡아 팔거나 흥정을 붙여 주는 일을 하던 상인. 또는 그런 집.
용례:
객주에 묵다.
5. 건물주 (建物主) [건:물쭈]
한자: 建(세울 건:), 物(물건 물), 主(임금/주인 주)
상가나 빌라 따위의 건물을 소유한 사람.
용례:
임대료 걱정도, 쫓겨날 걱정도 없기 때문에 직접 창업에 뛰어드는 건물주가 늘고 있다.
6. 건축주 (建築主) [건:축쭈]
한자: 建(세울 건:), 築(쌓을 축), 主(임금/주인 주)
건축에 관한 공사를 청부 계약할 때 그 주문자. 또는 청부 계약을 하지 않고 스스로 공사를 하는 사람.
용례:
- 건축주가 직접 지은 집.
- 건축주는 건축가에게 짓고 싶은 집에 대해서 설명했다.
7. 경영주 (經營主) [경영주]
한자: 經(지날/글 경), 營(경영할 영), 主(임금/주인 주)
기업을 경영하는 주인.
용례:
그 회사는 경영난에 빠져 경영주까지 바뀌었다.
8. 고본주 (股本主) [고본주]
한자: 股(넓적다리 고), 本(근본 본), 主(임금/주인 주)
고본의 소유권을 가진 사람.
용례:
회사의 소유지와 고본주가 고본금으로 들인 토지와 회사에서 빌려 쓰는 토지를 경작하고 개량하여….≪대한매일신보≫
9. 고용주 (雇用主) [고용주]
한자: 雇(품팔 고), 用(쓸 용:), 主(임금/주인 주)
품삯을 주고 사람을 부리는 사람.
용례:
- 피고용인의 성실성은 고용주의 피고용인에 대한 신임을 낳게 했다.≪김용성, 도둑 일기≫
- 폐인같이 된 의사를 고용해서는 그 면허증으로 병원을 개업하고 그 자신은 의사의 조수며 동시에 의사의 고용주였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10. 공사주 (工事主) [공사주]
한자: 工(장인 공), 事(일 사:), 主(임금/주인 주)
공사를 조직하고 주관하며 책임지는 사람.
용례:
- 철도 공사주.
- 건물 공사주.
11. 공양주 (供養主) [공:양주]
한자: 供(이바지할 공:), 養(기를 양:), 主(임금/주인 주)
「1」절에 시주하는 사람.
「2」절에서 밥 짓는 일을 주로 하는 사람.
용례:
- 「1」생시 윤씨 부인의 신심을 생각 아니 할 수도 없고 우리 절을 떠받쳐 주시던 공양주였던 만큼 안부도 물을 겸 고인의 뜻을 이어 줍시사 하고 찾아왔더니만.≪박경리, 토지≫
- 「2」불목하니며 공양주 노릇으로 절간의 추녀 끝을 맴돌기만 하다가 부세의 인연을 끊을 길이 없어….≪김주영, 객주≫
12. 공장주 (工場主) [공장주]
한자: 工(장인 공), 場(마당 장), 主(임금/주인 주)
공장의 소유자.
용례:
공장 감독의 잘못으로 기계에 다쳐서 다리가 끊어졌습니다. 그리하여 일을 못하게 되니 공장주는 치료비도 아니 주고 당장 내쫓습디다그려.≪한용운, 흑풍≫
13. 공주 (公主) [공주]
한자: 公(공평할 공), 主(임금/주인 주)
「1」정실 왕비가 낳은 임금의 딸. 옛날 중국에서, 왕이 그 딸을 제후(諸侯)에게 시집보낼 때 삼공(三公)에게 그 일을 맡게 하였던 데서 유래한다.
「2」어린 여자아이를 귀엽게 이르는 말.
용례:
- 「1」적병들은 논개의 처절하도록 아름다운 자태와 화려한 의상을 바라보자 나라의 공주가 아니면 재상가의 젊은 귀부인으로 생각했다.≪박종화, 임진왜란≫
- 「2」우리 공주, 생일 선물로 뭐 갖고 싶은지 엄마한테 말해 줄래?
14. 광고주 (廣告主) [광:고주]
한자: 廣(넓을 광:), 告(고할 고:), 主(임금/주인 주)
광고를 내는 사람.
용례:
- 광고주가 이번에 제작한 광고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하여 새로 제작에 들어갔다.
- 광고 회사의 고객은 일반 소비자가 아니라 광고주, 곧 광고 제작을 맡기는 회사 사장이었다.
15. 교주 (校主) [교:주]
한자: 校(학교 교:), 主(임금/주인 주)
학교의 주인이라는 뜻으로, 사립 학교를 설립하였거나 경영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용례:
그러니까 최상길이 봉직했던 학교의 교주 부인이자 교장의 누이인 만큼 최대의 경의를 표하는 것은 무리가 아니다.≪박경리, 토지≫
16. 교주 (敎主) [교:주]
한자: 敎(가르칠 교:), 主(임금/주인 주)
「1」‘석가모니’를 높여 이르는 말.
「2」어떤 종교나 종파를 처음 세운 사람.
「3」한 종교 단체의 우두머리.
용례:
「3」예순여덟의 노령에도 건장한 모습으로 교주가 나타나자, 십만의 동학 군사들은 열광했다.≪유현종, 들불≫
17. 구단주 (球團主) [구단주]
한자: 球(공 구), 團(둥글 단), 主(임금/주인 주)
구단을 운영하는 사람.
용례:
감독은 구단주와 사이가 좋지 않아 해임될 것이라고 한다.
18. 구세주 (救世主) [구:세주]
한자: 救(구원할 구:), 世(인간 세:), 主(임금/주인 주)
「1」세상을 구제하는 이.
「2」어려움이나 고통에서 구해 주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인류를 죄악과 파멸의 상태에서 구원하는 하나님을 이르는 말.
「4」세상의 악이나
위험으로부터 인류를 구원하는 주인이라는 뜻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이르는 말.
「5」‘석가모니’의 다른 이름. 모든 중생을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 준다 하여 이렇게 이른다.
용례:
- 「1」말세론은 거기에 대처할 구세주의 존재로 인해 인간들의 보편적인 낙관론을 보여 주기도 합니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 「2」결혼 시기를 넘겨 버린 그에게는, 노처녀지만 미모의 이 여자야말로 감지덕지의 구세주였습니다.
- 「2」순임이가 경락이만이 구세주려니 믿고는 애원하며 매달렸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 「2」경비원 김가는 구타하는 무리 중에 종대를 발견하고 유일한 구세주를 발견했다는 듯 피가 밴 입으로 말했다.≪최인호, 지구인≫
- 「3」그들의 종말론이며 구세주 개념도 조국에서 듣던 것과는 다른 느낌으로 다가오면서 거듭되는 실망에도…. ≪이문열, 사람의 아들≫
- 「4」우리 구세주 예수님 앞으로 나오세요. 그래서 그분의 사랑에 의지하도록 하세요. ≪이청준, 벌레 이야기≫
- 「5」기원전 5세기에 구세주로 온 석가.
19. 구주 (救主) [구:주]
한자: 救(구원할 구:), 主(임금/주인 주)
「1」인류를 죄악과 파멸의 상태에서 구원하는 하나님을 이르는 말.
「2」세상의 악이나 위험으로부터 인류를 구원하는 주인이라는 뜻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이르는 말.
용례:
「2」그러나 선생은 구주 예수를 믿으신 후에 거룩한 생활을 하시고 사랑의 생애를 보내셨으니….≪전영택, 생명의 봄≫
20. 국주 (國主) [국쭈]
한자: 國(나라 국), 主(임금/주인 주)
나라의 임금.
용례:
우리나라 이조의 세조 대왕이 대마도 국주에게 보낸 유지 가운데, “대마도는 경상도 계림에 소속되어 있어 본시 우리나라 땅이다.”≪박종화, 임진왜란≫
21. 군주 (君主) [군주]
한자: 君(임금 군), 主(임금/주인 주)
세습적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최고 지위에 있는 사람.
용례:
- 어이없이 승하한 정조는…선왕(영조)의 뜻을 이어 탕평책을 써서 당파의 싸움을 막으려 애썼던 군주였다.≪한무숙, 만남≫
- 행실이 아무리 훌륭해도 군주에게 쓸모가 없으면, 현명한 군주는 그들을 신하로 두지 않을 것이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22. 기업주 (企業主) [기업쭈]
한자: 企(꾀할 기), 業(업 업), 主(임금/주인 주)
기업을 소유한 사람.
용례:
기업은 망해도 기업주 망하는 법은 드무니 겁날 게 무엇이 있겠는가.≪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23. 기주 (祈主) [기주]
한자: 祈(빌 기), 主(임금/주인 주)
돈을 들여 굿을 하며 소원을 비는 주인.
용례:
무당은 병자에게 쓰인 요귀가 나가지 않자 남이 장군을 불러야 하겠다고 기주에게 말하였다.
24. 노주 (奴主) [노주]
한자: 奴(종 노), 主(임금/주인 주)
「1」종과 주인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종의 주인.
용례:
- 「1」노주 관계.
- 「2」나는 그 동리서 들은즉 자네 노주가 송도 사는 최치운의 돈냥을 받아먹고 그 빙옥 같은 그 아씨를 음행으로 몰아넣었다던데.≪김교제, 치악산≫
25. 농장주 (農場主) [농장주]
한자: 農(농사 농), 場(마당 장), 主(임금/주인 주)
농장의 주인.
용례:
가축 전염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농장주의 적극적인 관리와 노력이 필요합니다.
26. 당주 (當主) [당주]
한자: 當(마땅 당), 主(임금/주인 주)
지금의 주인.
용례:
농부들에게는 언덕 위에 높이 솟은 성곽과 같은 기와집, 그 속에서 많은 노비들을 거느리고 사는 그 집의 당주인 최치수는 누가 뭐라 하든 절대적인 권위의 상징이다.≪박경리, 토지≫
27. 대주 (大主) [대:주]
한자: 大(큰 대(:)), 主(임금/주인 주)
「1」무당이, 굿하는 집이나 단골로 다니는 집의 바깥주인을 이르는 말.
「2」여자가 자기 집의 바깥주인을 이르는 말.
「3」‘호주’(한집안의 주장이 되는 사람.)를 달리 이르는 말.
용례:
- 「1」천생 살풀이를 해야겠는데 살을 풀자면 얼마 동안 제가 대주 눈앞에 보이지 않아야 한다고 그러더라는군요.≪이무영, 농민≫
- 「2」그녀는 단 한 번도 밥때에 대주인 남편의 밥그릇을 비워 둔 일이 없었다.≪최명희, 혼불≫
- 「3」양친은 이미 다 없는 때요, 한덕문 그가 대주였으므로, 혼자서 일을 결단하여도 간섭을 받을 일은 없었다.≪채만식, 논 이야기≫
28. 대주 (貸主) [대:주]
한자: 貸(빌릴/뀔 대:), 主(임금/주인 주)
돈이나 물건을 빌려준 사람.
용례:
일단 저당한 이상 이를 반환받는 일은 도저히 생각할 수 없는 것이며 거의가 저당 유실이 되어 대주의 사복을 채우는 것이 상례이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29. 대주주 (大株主) [대:주주]
한자: 大(큰 대(:)), 株(그루 주), 主(임금/주인 주)
한 회사의 주식 가운데 많은 몫을 가지고 있는 주주.
용례:
- 대주주와 소액 주주.
- 회사의 경영권을 두고 대주주 간에 분쟁이 일어났다.
30. 대지주 (大地主) [대:지주]
한자: 大(큰 대(:)), 地(따 지), 主(임금/주인 주)
지주 가운데서도 토지를 많이 소유한 사람.
용례:
- 대지주 집안 출신.
- 소출 3만 석의 대지주.
31. 맹주 (盟主) [맹주]
한자: 盟(맹세 맹), 主(임금/주인 주)
동맹을 맺은 개인이나 단체의 우두머리.
용례:
- 이날 공론에서는 먼저 그들을 통솔할 맹주를 뽑았는데 예상대로 대부분의 의병들이 나상집의 이름을 외쳤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이제 그 모든 나라의 맹주였던 소련과의 정상 회담을 앞두고 있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32. 몸주 (몸主) [몸주]
한자: 主(임금/주인 주)
무당의 몸에 처음으로 내린 신. 무당은 그 신을 주신(主神)으로 모신다.
용례:
전례에 없던 짓을 하면 그녀의 몸주인 선도산 여신령인 선왕마님이 노여워할지 모른다는 것이다.≪김동리, 을화≫
33. 무주 (無主) [무주]
한자: 無(없을 무), 主(임금/주인 주)
임자가 없음.
용례:
국가의 무주 부동산의 취득일은 해당 부동산이 국가의 소유로 등기된 날을 말한다.
34. 물주 (物主) [물쭈]
한자: 物(물건 물), 主(임금/주인 주)
「1」공사판이나 장사판에서 밑천을 대는 사람.
「2」노름판에서, 선을 잡고 아기패를 상대로 이기고 짐을 겨루는 사람.
용례:
- 「1」그는 사업을 하겠다고 나섰지만 물주를 못 만나 시작도 못 하고 있다.
- 「1」인색하기로 소문난 익삼 씨는 물주인 최 사장한테 물어도 안 보고 멋대로 값을 매겼다.≪윤흥길, 완장≫
- 「2」이번에는 응삼이가 물주를 잡았다. 그는 아기패로만 있는 것이 돈을 잃은 까닭이 아닌가 해서.≪이기영, 서화≫
35. 민주 (民主) [민주]
한자: 民(백성 민), 主(임금/주인 주)
「1」주권이 국민에게 있음.
「2」국민이 권력을 가지고 그 권력을 스스로 행사하는 제도. 또는 그런 정치를 지향하는 사상. 기본적 인권, 자유권, 평등권, 다수결의 원리, 법치주의 따위를 그 기본
원리로 한다.
36. 반민주 (反民主) [반:민주]
한자: 反(돌이킬/돌아올 반:), 民(백성 민), 主(임금/주인 주)
민주주의를 반대하는 것. 또는 민주주의에 어긋나는 것.
용례:
- 선거의 투명성을 훼손하는 반민주 세력에 단호히 맞서야 한다.
- 반민주 정권에 반대하는 시위가 벌어지다.
37. 백설공주 (白雪公主) [백썰공주]
한자: 白(흰 백), 雪(눈 설), 公(공평할 공), 主(임금/주인 주)
≪그림 동화≫에 실려 있는 독일의 전래 민화. 또는 그 이야기에 나오는 여자 주인공. 백설같이 살결이 흰 아름다운 공주가 못된 계모의 계교로 독약이 든 사과를 먹고 죽어 유리로 된 관 속에 들어갔으나, 왕자가 와서 공주를 되살리고 계모는 벌을 받는다는 내용이다.
38. 본주 (本主) [본주]
한자: 本(근본 본), 主(임금/주인 주)
어떤 것을 본디부터 자기의 것으로 가지고 있는 사람.
용례:
- 노비는 본주와 국가로부터 철저한 통제를 받았다.
- 누구든지 이 문권을 얻은 이가 있거든 본주 서 씨에게로 가지고 가면 중상을 받으려니와….≪독립신문≫
39. 빈주 (賓主) [빈주]
한자: 賓(손 빈), 主(임금/주인 주)
손님과 주인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고구려의 대신과 장성이 쭉 물러앉아 있다가 모두 일어나 빈주의 예로서 맞으며 마주 앉는다.≪홍효민, 신라 통일≫
40. 사업주 (事業主) [사:업쭈]
한자: 事(일 사:), 業(업 업), 主(임금/주인 주)
사업의 임자나 자본주.
용례:
종업원이 몇 명에 불과한 소규모 상점이나 공장 등에서는, 사업주가 모든 종업원에게 일을 지시할 수 있다.
41. 사용주 (使用主) [사:용주]
한자: 使(하여금/부릴 사:), 用(쓸 용:), 主(임금/주인 주)
물건을 쓰거나 사람을 부릴 권리를 가진 사람.
용례:
- 자기 차에 대한 간단한 기본 지식을 갖추는 것은 사용주의 의무라고 할 수 있다.
- 기능공으로서의 제구실을 못할 경우 사용주에 대한 체면을 찾지 못하겠던 것이다.≪이문구, 장한몽≫
42. 사주 (社主) [사주]
한자: 社(모일 사), 主(임금/주인 주)
회사나 결사(結社)의 주인.
용례:
사주를 바꾼 회사는 이제 그 나름대로의 새 질서를 서서히 잡아 가고 있는 판이었다.≪이동하, 도시의 늪≫
43. 산주 (山主) [산주]
한자: 山(메 산), 主(임금/주인 주)
「1」산의 임자.
「2」재주를 넘거나 짓궂은 동작으로 사람을 웃기며 악기로 풍악을 울리는 광대들이 조직한 조합의 우두머리. 또는 산대탈을 보존하는 사람.
「3」하회 별신굿 탈놀이에서
제사(祭祀)를 주관하는 사람.
「4」무당들이 조직한 도를 닦는 곳의 직책의 하나.
용례:
「1」봇일도 좋지마는, 그 보하고는 아무 상관도 없는 산에서, 산주들한테 말 한마디도 없이 나무를 마음대로 베어 가다니 이럴 수가 있단 말이오?≪송기숙, 녹두 장군≫
44. 상주 (喪主) [상주]
한자: 喪(잃을 상(:)), 主(임금/주인 주)
주(主)가 되는 상제(喪制). 대개 장자(長子)가 된다.
용례:
관은 상여에 실렸다. 상여 앞에 놓인 제상에 제수를 차리고 상주는 제사를 지낸다.≪박경리, 토지≫
45. 선주 (船主) [선주]
한자: 船(배 선), 主(임금/주인 주)
배의 주인.
용례:
그는 수십 척의 어선을 가진 선주였다.
46. 성주 (城主) [성주]
한자: 城(재 성), 主(임금/주인 주)
「1」성의 우두머리.
「2」조상의 무덤이 있는 지방의 수령.
「3」삼국·통일 신라 시대에, 성(城)을 지키던 으뜸 장수. 신라 말기·고려 초기에는 지방의 반독립적인 세력으로 할거하였다.
용례:
「1」대야성의 성주가 자기 집에 온다는 것은 여간 영광이 아니다.≪홍효민, 신라 통일≫
47. 성주 (聖主) [성:주]
한자: 聖(성인 성:), 主(임금/주인 주)
어질고 덕이 뛰어난 임금.
용례:
신하들은 천하에 다시없는 성주를 모신 듯했다. 마음속으로 왕을 위하여 이마가 갈라지고 발꿈치가 닳더라도….≪박종화, 다정불심≫
48. 세대주 (世帶主) [세:대주]
한자: 世(인간 세:), 帶(띠 대(:)), 主(임금/주인 주)
한 가구를 이끄는 주가 되는 사람.
용례:
- 무주택 세대주.
- 배급이 끝나자, 촌장은 세대주 성명과 가족 수, 배급 내역을 기록한 서류를 그에게 건네주었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49. 소유주 (所有主) [소:유주]
한자: 所(바 소:), 有(있을 유:), 主(임금/주인 주)
소유권을 가진 자.
용례:
- 건물 소유주.
- 경섭은 거의 언제나 그 항아리의 옛 소유주로부터 자신이 그것을 입수하게 된 경위에서부터 자신의 자랑을 시작하곤 하였다.≪이청준, 불을 머금은 항아리≫
50. 소지주 (小地主) [소:지주]
한자: 小(작을 소:), 地(따 지), 主(임금/주인 주)
지주 가운데서 토지를 조금 가지고 있는 사람.
용례:
- 그의 아버지는 한 마지기 땅에서 농사를 시작해 지금은 논 삼십여 마지기를 가진 소지주가 되어 있었다.
- 이번 농지 개혁으로 토지를 내놓게 되는…오십 석 미만의 소지주는 쫄딱 망하고 말 겁니다.≪김원일, 불의 제전≫
- 지주도 소지주는 죽을 지경이고 대지주는 태평했다.≪안회남, 농민의 비애≫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主 임금/주인 주 - 2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