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主 임금/주인 주 - 2

51. 숙주 (宿主) [숙쭈]

한자: 宿(잘 숙), 主(임금/주인 주)

「1」기생 생물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생물. 마지막 숙주를 최종 숙주, 발육의 도중에 기생하는 숙주를 중간 숙주라고 한다.
「2」조직편(組織片)이나 기관(器官)의 이식(移植)에서 그 이식체를 받는 쪽의 개체.
「3」연접된 쌍둥이에서 더 큰 쪽.

52. 시주 (施主) [시:주]

한자: 施(베풀 시:), 主(임금/주인 주)

자비심으로 조건 없이 절이나 승려에게 물건을 베풀어 주는 일. 또는 그런 일을 하는 사람.

용례:

  • 시주를 받다.
  • 시주를 청하다.
  • 시주가 보시를 하다.
  • 짙은 가지색의 비로드 치마저고리에 빨간 가죽 지갑을 옆구리에 끼고 연곡사에 들어온 그 여자는 첫눈에 봐도 예사 시주 신도가 아닌 듯싶었다.≪문순태, 피아골≫
  • 처음에는 시주 받으러 온 땡땡이중인 줄 알고 내쫓았고 다음은 서방님이 부재중이라 허행을 했습지요.≪박경리, 토지≫

53. 신주 (神主) [신주]

한자: 神(귀신 신), 主(임금/주인 주)

죽은 사람의 위패. 대개 밤나무로 만드는데, 길이는 여덟 치, 폭은 두 치가량이고, 위는 둥글고 아래는 모지게 생겼다.

용례:

  • 신주를 모시다.
  • 사사로이 사당을 모시어 신주를 평안히 받들고 조석으로 상식을 올리게 할 테니 경들의 생각엔 어떠하오.≪박종화, 금삼의 피≫
  • 백설기를 비롯한 몇 가지 제물로써 제격대로 차려진 신주마다의 진설 상들이 죽 늘어 놓이고….≪김정한, 수라도≫

54. 실소유주 (實所有主) [실쏘유주]

한자: 實(열매 실), 所(바 소:), 有(있을 유:), 主(임금/주인 주)

어떤 물건을 실지로 소유한 사람.

용례:

이 자동차를 내가 사용하고는 있지만 실소유주는 따로 있다.

55. 암주 (庵主) [암주]

한자: 庵(암자 암), 主(임금/주인 주)

암자의 주인이나 암자에 거처하는 승려.

용례:

단지 뚜껑에다 연분홍 물감을 풀어 놓고, 한 장 한 장 백지를 담가 흔들며 물을 들이고 있던 호성암 암주 스님 도환은, 인기척을 듣고 문득 고개를 돌린다.≪최명희, 혼불≫

56. 양공주 (洋公主) [양공주]

한자: 洋(큰바다 양), 公(공평할 공), 主(임금/주인 주)

예전에, 미군 병사를 상대로 몸을 파는 여자를 이르던 말.

용례:

  • 전 마담은 농업 학교가 미군 부대였을 적부터 단골인 양공주 출신의 포주다.≪박완서, 그 가을의 사흘 동안≫
  • 차림이나 행동거지로 보아 양공주 같지는 않았지만…무언가 부대 안에서 일하는 사람임에는 틀림없을 듯했다.≪이문열, 변경≫

57. 양주 (兩主) [양:주]

한자: 兩(두 량:), 主(임금/주인 주)

바깥주인과 안주인이라는 뜻으로, ‘부부02’를 이르는 말.

용례:

  • 저녁나절에는 싸리문 밖에 두 양주가 서서, 아들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것이 하루하루의 그들의 일이었습니다.≪김유정, 두포전≫
  • 안방에서는 늙은 양주도 잠이 깨었는지 이야기하는 소리가 두런두런한다.≪심훈, 상록수≫

58. 어장주 (漁場主) [어장주]

한자: 漁(고기잡을 어), 場(마당 장), 主(임금/주인 주)

어장의 소유권을 가진 사람.

용례:

부친이 마산서는 손꼽히는 어장주였다. 발동선만도 여섯 척이었고….≪김원일, 불의 제전≫

59. 업주 (業主) [업쭈]

한자: 業(업 업), 主(임금/주인 주)

영업에서 생기는 모든 권한과 책임을 가진 주인.

용례:

  • 심야 불법 영업을 하던 업주가 모두 구속되었다.
  • 예산이 초과되는 걸 환영할 업주가 있을 리 없고….≪이문구, 장한몽≫

60. 영업주 (營業主) [영업쭈]

한자: 營(경영할 영), 業(업 업), 主(임금/주인 주)

영업에서 생기는 모든 권한과 책임을 가진 주인.

용례:

청소년에게 술이나 담배를 판매하면 판매자뿐 아니라 해당 가게의 영업주도 처벌을 받는다.

61. 영주 (英主) [영주]

한자: 英(꽃부리 영), 主(임금/주인 주)

뛰어나게 훌륭한 임금.

용례:

왕위에 나가자 낙랑과 대방을 몰아내고 요동을 경략한 일세의 영주가 되었습니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62. 영주 (領主) [영주]

한자: 領(거느릴 령), 主(임금/주인 주)

「1」토지의 소유자.
「2」중세 유럽에서, 영지(領地)와 거기에 사는 사람들에게 영주권을 행사하던 사람. 농민과 수공업 장인들에게 부역과 공납을 과하고 재판권과 경찰권을 행사하며, 영지의 질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였다.

용례:

「2」그는 왕에게 영지를 하사받고 영주가 되었다.

63. 예금주 (預金主) [예:금주]

한자: 預(맡길/미리 예:), 金(쇠 금), 主(임금/주인 주)

금융 기관에 예금을 한 경우, 해당 예금 계좌의 주인이 되는 사람.

용례:

계좌 이체를 할 때에는 엉뚱한 계좌로 송금되지 않도록 예금주를 확인해야 한다.

64. 옹주 (翁主) [옹주]

한자: 翁(늙은이 옹), 主(임금/주인 주)

「1」고려 시대에, 내명부나 외명부에게 내리던 봉작. 충선왕 때 궁주(宮主)를 고친 것이다.
「2」조선 시대에, 후궁에게서 난 딸을 이르던 말.
「3」조선 중기 이전에, 세자빈이 아닌 임금의 며느리를 이르던 말.

용례:

「2」정궁에는 아들이 없는데 왕자 사 형제에 옹주 다섯을 둔 김 귀인의 의기는 자못 양양했다.≪박종화, 임진왜란≫

65. 와주 (窩主) [와주]

한자: 窩(움집 와), 主(임금/주인 주)

도둑이나 노름꾼 따위 소굴의 우두머리. 또는 그들의 뒤를 봐주는 사람.

용례:

  • 노름꾼의 와주.
  • 내 사람더러 도둑놈의 와주라니, 그게 곧 나더러 하는 말이지 무어야.≪홍명희, 임꺽정≫
  • 여편네 셋이 살림을 차려 줬다 시량을 대어 줬다 가진 소리를 다 불어서 입이 백이고 천이라도 와주 아니라고 발명할 도리가 없이 됐네.≪홍명희, 임꺽정≫

66. 위주 (爲主) [위주]

한자: 爲(하/할 위(:)), 主(임금/주인 주)

으뜸으로 삼음.

용례:

  • 남성 위주의 사회.
  • 흥미 위주의 기사.
  • 실력 위주로 사람을 뽑다.
  • 그는 뭐든지 자기 위주로 생각하고 행동했다.
  • 입시 위주의 학교 교육은 청소년들의 균형 잡힌 성장을 방해한다.
  • 왕실의 방 치장은 황금빛과 주홍이 위주였다.≪유주현, 대한 제국≫

67. 유주 (幼主) [유주]

한자: 幼(어릴 유), 主(임금/주인 주)

「1」나이가 어린 임금.
「2」나이 어린 주인.

용례:

「1」지금 국상이 어제의 일이고, 유주께옵서 당국(當國)하신 이때, 대신들도 아직 주상 전하께 익지 못하고….≪김동인, 대수양≫

68. 유주 (有主) [유:주]

한자: 有(있을 유:), 主(임금/주인 주)

임자가 있음.

용례:

만물은 유주라 잡수실 분이 따로 계시오. 괜히 생침 흘리지 마시고 이리 주시오.≪송기숙, 녹두 장군≫

69. 인주 (人主) [인주]

한자: 人(사람 인), 主(임금/주인 주)

군주 국가에서 나라를 다스리는 우두머리.

용례:

인주가 되어 방백 한 사람, 재신 한 사람을 파직하지 못한단 말이냐?≪번역 영조실록≫

70. 자본주 (資本主) [자본주]

한자: 資(재물 자), 本(근본 본), 主(임금/주인 주)

일정한 기업에 영리를 목적으로 자본을 대는 사람.

용례:

돈을 댈 자본주를 구하다.

71. 자주 (自主) [자주]

한자: 自(스스로 자), 主(임금/주인 주)

「1」남의 보호나 간섭을 받지 아니하고 자기 일을 스스로 처리함.
「2」자기주장대로 함.

용례:

  • 「1」자주 사상.
  • 「1」자주 민족의 긍지를 살리다.

72. 전주 (田主) [전주]

한자: 田(밭 전), 主(임금/주인 주)

논밭의 임자.

용례:

원래 진전을 관에 진고하여 기경한 자에게는 삼 년 동안 면세해 주고, 십 년간 경작권을 주며, 그사이에 전주가 나타나면 전주에게 소작료를 주도록 되어 있는데….≪문순태, 타오르는 강≫

73. 전주 (典主) [전:주]

한자: 典(법 전:), 主(임금/주인 주)

물건을 잡아 놓고 돈을 꾸어 주는 사람.

용례:

전당포 전주.

74. 전주 (錢主) [전:주]

한자: 錢(돈 전:), 主(임금/주인 주)

「1」사업 밑천을 대는 사람.
「2」빚을 준 사람.

용례:

  • 「1」수로 공사에 돈을 대었던 전주에게서는 아직 아무 연락이 없었다.≪한수산, 유민≫
  • 「1」확인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긴 했지만 아버지가 외지에서 전주를 끌어들였다는 얘기가 소문만일 수 없다는 것은 눈으로 보는 듯했다.≪한수산, 유민≫
  • 「2」강모가 입을 벌리기만 하면, 돌아서지도 않아서 주머니 돈을 빌려줄 전주만 해도 한두 사람이 아니었다.≪최명희, 혼불≫

75. 점주 (店主) [점:주]

한자: 店(가게 점:), 主(임금/주인 주)

가게의 주인.

용례:

  • 그 점주는 단골 고객 확보에 주력하였다.
  • 나는 종업원의 불친절을 따지려고 점주를 불렀다.

76. 정주 (亭主) [정주]

한자: 亭(정자 정), 主(임금/주인 주)

「1」한집안의 주인.
「2」대군(大君)이나 군(君) 이외의 종친에서 태어난 딸.

77. 제주 (祭主) [제:주]

한자: 祭(제사 제:), 主(임금/주인 주)

제사의 주장이 되는 상제.

용례:

  • 초하룻날이었다. 분열(芬烈)이가 처음으로 제주가 되어 조상에게 고축하는 차례는 엄숙하고도 경사스러웠다.≪박완서, 미망≫
  • 제주 없는 제사는 어떻게 모실 것이며….≪박경리, 토지≫

78. 조모주 (祖母主) [조모주]

한자: 祖(할아비 조), 母(어미 모:), 主(임금/주인 주)

주로 편지글에서, ‘할머니’를 이르는 말.

용례:

조모주 위독, 급히 하향 바람.

79. 조물주 (造物主) [조:물쭈]

한자: 造(지을 조:), 物(물건 물), 主(임금/주인 주)

우주의 만물을 만들고 다스리는 신.

용례:

  • 조물주가 만든 자연이란, 그 물건이 어디 놓여도 다 제 몫을 하지.≪김원일, 불의 제전≫
  • 회당 밖의 봄날은 아름다웠다. 조물주의 은혜처럼 신록의 나뭇가지는 창가에서 흔들리고 있었으며 자연과 생명은 더없이 사랑스럽고 충실한 것같이 보였다.≪박경리, 토지≫

80. 주주 (株主) [주주]

한자: 株(그루 주), 主(임금/주인 주)

주식을 가지고 직접 또는 간접으로 회사 경영에 참여하고 있는 개인이나 법인.

81. 지주 (地主) [지주]

한자: 地(따 지), 主(임금/주인 주)

「1」토지의 소유자.
「2」자신이 소유한 토지를 남에게 빌려주고 지대(地代)를 받는 사람.
「3」그 토지에서 사는 사람.

용례:

  • 「1」김 노인은 우리 마을 최대의 지주로 마을 논밭의 절반이 그의 땅이다.
  • 「1」사람이 원체 똑똑하면 그러는가, 그 사람 앞에서는 몇천 석 지주가 되레 저만치 아래로 보이더라고.≪송기숙, 암태도≫
  • 「2」지주에게 소작료를 지불하다.
  • 「2」지주는 땅을 가졌다는 그 특권만으로 농민이 피땀 흘려 지은 곡식을 반 이상이나 차지해 버린다.≪이병주, 지리산≫

82. 차주 (車主) [차주]

한자: 車(수레 차), 主(임금/주인 주)

차의 주인.

용례:

  • 빌려준 차가 사고가 나면 차주에게 책임이 있다.
  • 이런 곳에 주차하다니! 차주는 도대체 어딜 간 거야.

83. 창업주 (創業主) [창:업쭈]

한자: 創(비롯할 창:), 業(업 업), 主(임금/주인 주)

「1」한 나라를 처음으로 세우는 데에 주체가 되는 사람.
「2」회사 따위를 처음으로 세워 사업을 시작하는 데에 주체가 되는 사람.

용례:

  • 「1」왕조의 창업주는 건국 이념을 확립하고 체제의 기반을 공고히 해야 했다.
  • 「2」새 임원진은 창업주의 뜻을 계승하여 본래의 업종에 주력하기로 했다.
  • 「2」창업주가 턱에 찬 나이와 깊은 지병 때문에 경영의 제일선에서부터 한 걸음 뒤로 물러나 앉고….≪이동하, 도시의 늪≫

84. 창조주 (創造主) [창:조주]

한자: 創(비롯할 창:), 造(지을 조:), 主(임금/주인 주)

세상 만물을 창조한 분이라는 뜻으로, ‘하느님’을 달리 이르는 말.

용례:

아담 이래로 우리에게 주어졌다는 그 자유 의지를 믿으십니까? 우리의 모든 행위와 사고 중에서 창조주의 포괄적인 예정으로부터 자유로운 부분이 진실로 있다고 믿으십니까?≪이문열, 사람의 아들≫

85. 창주 (倉主) [창주]

한자: 倉(곳집 창(:)), 主(임금/주인 주)

창고의 주인.

용례:

  • 창주가 관리인을 겸하고 있다.
  • 이 창고의 창주는 창고업에 문외한이다.

86. 채주 (債主) [채:주]

한자: 債(빚 채:), 主(임금/주인 주)

남에게 돈을 빌려준 사람.

용례:

채주에게서 빚을 갚으라는 독촉을 받다.

87. 천주 (薦主) [천:주]

한자: 薦(천거할 천:), 主(임금/주인 주)

어떤 사람을 추천하여 준 사람.

용례:

  • 천주가 정선한 연후에야 천거받은 사람이 반드시 정밀할 것이니, 천주가 먼저 정밀하게 뽑아서 아뢰게 하라.≪번역 숙종실록≫
  • 천거한 바가 적당한 사람이 아닌 경우에 죄가 천주에게 미치는 것은 구법(舊法)입니다.≪번역 영조실록≫

88. 터주 (터主) [터주]

한자: 主(임금/주인 주)

집터를 지키는 지신(地神). 또는 그 자리. 가마니 같은 것 안에 베 석 자와 짚신 따위를 넣어서 달아 두고 위한다.

용례:

터주를 모시다.

89. 통주 (統主) [통:주]

한자: 統(거느릴 통:), 主(임금/주인 주)

조선 시대에 둔, 민호의 편제 단위인 통의 책임자. 뒤에 통수(統首)로 고쳤다.

용례:

오가작통법을 만들어 통주 지휘 아래 연대 책임을 지도록 조처했던 것이며….≪이문구, 오자룡≫

90. 포주 (抱主) [포:주]

한자: 抱(안을 포:), 主(임금/주인 주)

「1」기생이나 몸 파는 여자들의 영업을 돌보아 주면서 얻어먹고 지내는 사내.
「2」창녀를 두고 영업을 하는 사람.

용례:

「2」이즈음은 색시 있는 술집이 늘고, 공인된 위안소 외에도 창녀 몇 명씩을 거느린 포주들이 여럿 들어앉게 되었다.≪황순원, 나무들 비탈에 서다≫

91. 하주 (荷主) [하주]

한자: 荷(멜 하(:)), 主(임금/주인 주)

하물의 주인.

용례:

그 화물을 경찰이 주목하고 있는 게 틀림없다. 하주를 조사한 결과 그 이름이 나왔다.≪이병주, 지리산≫

92. 호주 (戶主) [호:주]

한자: 戶(집 호:), 主(임금/주인 주)

「1」한집안의 주장이 되는 사람.
「2」호적법에서, 한집안의 주인으로서 가족을 거느리며 부양하는 일에 대한 권리와 의무가 있는 사람을 이르던 말.

용례:

「2」그는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호주가 되었다.

93. 혼주 (婚主) [혼주]

한자: 婚(혼인할 혼), 主(임금/주인 주)

혼사를 주재하는 사람. 보통 신랑 신부의 부모가 맡는다.

용례:

  • 아버지도 안 계신데 혼주를 누가 맡아야 하나?
  • 먹빛도 선연하게 한 획 한 획 정성껏 써 내려간 그 혼서지는, 혼주인 신랑의 부친이 신부의 부친에게 보내는 서간으로….≪최명희, 혼불≫

94. 화주 (化主) [화:주]

한자: 化(될 화(:)), 主(임금/주인 주)

「1」‘부처’의 다른 이름. 중생을 교화하는 주인이라는 뜻이다.
「2」인가에 다니면서 사람들로 하여금 법연(法緣)을 맺게 하고, 시주를 받아 절의 양식을 대는 승려.
「3」자비심으로 조건 없이 절이나 승려에게 물건을 베풀어 주는 일. 또는 그런 일을 하는 사람.

용례:

「2」그로 하여금 화주를 삼아서 시주문을 주어 속계(俗界)로 내보내었는데….≪정비석, 비석과 금강산의 대화≫

95. 화주 (貨主) [화:주]

한자: 貨(재물 화:), 主(임금/주인 주)

화물의 임자.

용례:

짐을 진 지게꾼은 헝클어진 상투에 땀을 흘리며 가고 화주인 듯 땅딸보의 사내는 팔자걸음으로 따라간다.≪박경리, 토지≫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主 임금/주인 주 - 1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