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열조 (列朝) [열쪼]
한자: 列(벌릴 렬), 朝(아침 조)
여러 대(代)의 임금의 시대.
용례:
열조의 행장을 번역하다.
52. 오조 (吳朝) [오조]
한자: 吳(성(姓) 오), 朝(아침 조)
939년에 오권(吳權)이 오대십국의 하나인 남한(南漢)을 넘어뜨리고 고라(古螺)에 도읍하여 세운 베트남 왕조. 중국에서 독립한 최초의 왕조이다.
53. 왕조 (王朝) [왕조]
한자: 王(임금 왕), 朝(아침 조)
「1」같은 왕가에 속하는 통치자의 계열. 또는 그 왕가가 다스리는 시대.
「2」임금이 친히 다스리는 조정.
용례:
- 「1」조선 왕조 오백 년.
- 「1」왕조 실록.
- 「1」세습 왕조.
- 「1」새 왕조를 개창하다.
- 「1」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왕명을 빙자해서 잡으면 잡혀야 하고 죽이면 죽어야 하는 게 왕조의 통례였다.≪유주현, 대한 제국≫
54. 원조 (元朝) [원조]
한자: 元(으뜸 원), 朝(아침 조)
설날 아침.
55. 원조 (元朝) [원조]
한자: 元(으뜸 원), 朝(아침 조)
중국 원나라의 조정.
56. 위조 (僞朝) [위조]
한자: 僞(거짓 위), 朝(아침 조)
정통을 이어받지 않은 조정.
57. 육조 (六朝) [육쪼]
한자: 六(여섯 륙), 朝(아침 조)
「1」중국에서, 후한(後漢)이 멸망한 뒤 수나라가 통일할 때까지 양쯔강(揚子江) 남쪽에 있었던 여섯 왕조. 오(吳), 동진(東晉), 송(宋), 제(齊), 양(梁), 진(陳)을 이른다.
「2」중국의
육조 시대에 행하여지던 서체(書體).
58. 이조 (李朝) [이:조]
한자: 李(오얏/성(姓) 리:), 朝(아침 조)
‘이씨 조선’(이씨가 세운 조선이라는 뜻으로, ‘조선’을 낮추어 이르는 말.)을 줄여 이르는 말.
59. 이조 (李朝) [이:조]
한자: 李(오얏/성(姓) 리:), 朝(아침 조)
베트남의 왕조. 10세기 중엽 중국으로부터 독립한 뒤 세워졌으며, 1009년부터 1225년까지 존속하였다. 시조는 이공온(李公蘊), 수도는 승룡(昇龍), 곧 지금의 하노이이며, 베트남 최초의 지속적인 왕조로서 대월(大越)이라 이름하였다.
60. 이조 (異朝) [이:조]
한자: 異(다를 이:), 朝(아침 조)
「1」외국의 조정(朝廷).
「2」자기 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
61. 익조 (翌朝) [익쪼]
한자: 翌(다음날 익), 朝(아침 조)
다음 날 아침.
용례:
그 익조, 나는 술이 깨어 작일의 소행, 아니 만행을 생각하니 통회의 염을 누를 길이 없었다.≪변영로, 명정 40년≫
62. 일조 (一朝) [일쪼]
한자: 一(한 일), 朝(아침 조)
「1」갑작스러울 정도의 짧은 시간.
「2」만일의 경우.
용례:
- 「1」갑작스러운 남편의 죽음으로 그녀는 일조에 과부 신세가 되었다.
- 「1」그의 소망은 일조에 수포로 돌아가고 말았다.
- 「1」일조에 모친을 여의고 얼음같이 차디찬 현실에 부닥친 석림이는 어찌할 바를 모르고….≪이기영, 봄≫
- 「2」유능한 교사와 학생을 결속해서 학원 운영의 주도권을 내적으로 장악할 필요가 있다. 그래 놓고 일조 유사시에 학원의 세력을 몽땅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이병주, 지리산≫
63. 입조 (入朝) [입쪼]
한자: 入(들 입), 朝(아침 조)
「1」벼슬아치들이 조정의 조회에 들어가던 일.
「2」외국 사신이 조정의 회의에 참여하던 일.
64. 입조 (立朝) [입쪼]
한자: 立(설 립), 朝(아침 조)
벼슬에 오름.
65. 작조 (昨朝) [작쪼]
한자: 昨(어제 작), 朝(아침 조)
어제 아침.
66. 장조 (杖朝) [장:조]
한자: 杖(지팡이 장(:)), 朝(아침 조)
나이 여든 살을 이르는 말. 중국 주나라 때에, 여든 살이 되면 조정에서 지팡이를 짚는 것을 허락한 일에서 유래한다.
67. 재조 (在朝) [재:조]
한자: 在(있을 재:), 朝(아침 조)
조정에서 벼슬을 살고 있음.
68. 전여조 (前黎朝) [저녀조]
한자: 前(앞 전), 黎(검을 려), 朝(아침 조)
베트남이 중국의 지배에서 벗어난 뒤에 화려(華閭)를 도읍으로 하여 세운 단기 왕조. 980년부터 1009년까지 존속하였다.
69. 전조 (前朝) [전조]
한자: 前(앞 전), 朝(아침 조)
바로 전대의 왕조.
용례:
- 그의 전조에 대한 충의를 생각하고 나라 없는 현은 눈물이 날 지경으로 왕궈웨이의 인격을 우러러보았었다.≪이태준, 해방 전후≫
- 전조의, 우왕이 일으키려던 북벌의 대군도 역시 이 땅을 도로 찾아 보려 함이었다.≪김동인, 대수양≫
70. 정조 (正朝) [정조]
한자: 正(바를 정(:)), 朝(아침 조)
설날 아침.
71. 정조 (正朝) [정:조]
한자: 正(바를 정(:)), 朝(아침 조)
「1」후고구려에 둔, 문무관의 9품계 가운데 여섯째 품계. 904년 궁예(弓裔)가 광평성(廣評省) 따위의 관부(官府)를 설치할 때 둔 것으로, 좌윤(左尹)의 아래이다.
「2」고려 초기에, 후고구려의
관제를 본떠서 만든 문무관의 16위계(位階) 가운데 열두째 위계. 중국식 관제로 정육품에 해당한다.
「3」고려 시대에 둔 향직의 칠품 상(上)의 품계.
72. 조선조 (朝鮮朝) [조선조]
한자: 朝(아침 조), 鮮(고울 선), 朝(아침 조)
1392~1910년에 한반도를 지배하던 왕조. 태조 이성계부터 순종에 이르기까지 27명의 임금이 계승하였다.
73. 조조 (早朝) [조:조]
한자: 早(이를 조:), 朝(아침 조)
이른 아침.
용례:
뭣보다도 조조의 매력은 듬성듬성 앉아 있는 그 여유 있는 공간에 있을 것 같다.≪법정, 무소유≫
74. 조조 (朝朝) [조조]
한자: 朝(아침 조), 朝(아침 조)
매일 아침.
75. 종조 (終朝) [종조]
한자: 終(마칠 종), 朝(아침 조)
하루 아침이 마칠 동안.
76. 진조 (陳朝) [진조]
한자: 陳(베풀 진:/묵을 진), 朝(아침 조)
1225년에서 1413년까지 베트남을 지배하던 왕조. 진경(陳煚)이 세운 것으로, 몽고군에 항거하여 독립을 수호하고, 독자적인 문자를 만드는 등 민족 문화를 발전시키다가 15대에 중국 명나라에게 망하였다.
77. 참조 (參朝) [참조]
한자: 參(참여할 참), 朝(아침 조)
조정(朝廷)에 들어감.
78. 천조 (天朝) [천조]
한자: 天(하늘 천), 朝(아침 조)
천자(天子)의 조정(朝廷)을 제후의 나라에서 이르는 말.
용례:
이제 천조에서 대인이 오시니 소인은 삼가 대인을 만나 뵈옵고 싸우지 않고 화친을 의논하려 하옵니다.≪박종화, 임진왜란≫
79. 천조 (擅朝) [천:조]
한자: 擅(멋대로할 천:), 朝(아침 조)
조정의 권력을 홀로 차지하여 마음대로 부리던 일.
80. 철조 (撤朝) [철쪼]
한자: 撤(거둘 철), 朝(아침 조)
나라에 변고가 생기거나 국상(國喪)을 당하였을 때에 조회(朝會)를 멈추던 일.
81. 철조 (輟朝) [철쪼]
한자: 輟(그칠 철), 朝(아침 조)
임금이 조회를 폐함.
82. 청조 (淸朝) [청조]
한자: 淸(맑을 청), 朝(아침 조)
「1」중국 청나라의 왕조. 또는 그 조정.
「2」중국 청나라 때 창시된 해서체 가운데 붓으로 쓴 것과 비슷한 한문 활자 글자체.
「3」청조체의 활자. 명함이나 초대장과 같은 인쇄물에 많이
쓴다.
용례:
「1」청조의 녹을 먹은 신하.
83. 청조 (聽朝) [청조]
한자: 聽(들을 청), 朝(아침 조)
조정의 정사(政事)를 들음. 또는 정치를 함.
84. 친조 (親朝) [친조]
한자: 親(친할 친), 朝(아침 조)
임금이 몸소 나라를 다스림.
85. 퇴조 (退朝) [퇴:조]
한자: 退(물러날 퇴:), 朝(아침 조)
벼슬아치들이 조정의 조회에서 물러나던 일.
86. 파조 (罷朝) [파:조]
한자: 罷(마칠 파:), 朝(아침 조)
신하가 조정에 나아가 임금을 뵙는 일을 마침.
87. 폐조 (廢朝) [폐:조]
한자: 廢(폐할/버릴 폐:), 朝(아침 조)
「1」임금이 조회를 폐함.
「2」폐군(廢君)의 시대.
88. 하성조 (賀聖朝) [하:성조]
한자: 賀(하례할 하:), 聖(성인 성:), 朝(아침 조)
고려 시대에 들어온 당악(唐樂).
89. 한양조 (漢陽朝) [하:냥조]
한자: 漢(한수/한나라 한:), 陽(볕 양), 朝(아침 조)
1392~1910년에 한반도를 지배하던 왕조. 태조 이성계부터 순종에 이르기까지 27명의 임금이 계승하였다.
90. 한조 (漢朝) [한:조]
한자: 漢(한수/한나라 한:), 朝(아침 조)
「1」중국 한나라의 조정.
「2」중국 한나라 시대.
「3」‘중국’(中國)을 달리 이르는 말.
91. 현조 (顯朝) [현:조]
한자: 顯(나타날 현:), 朝(아침 조)
예전에, 당시의 조정(朝廷)을 높여 이르던 말.
92. 화조 (花朝) [화조]
한자: 花(꽃 화), 朝(아침 조)
「1」꽃 피는 아침.
「2」음력 2월 보름을 달리 이르는 말.
93. 황조 (皇朝) [황조]
한자: 皇(임금 황), 朝(아침 조)
황제의 조정(朝廷).
94. 후여조 (後黎朝) [후:여조]
한자: 後(뒤 후:), 黎(검을 려), 朝(아침 조)
1428년에 여리(黎利)가 중국 명나라의 세력을 몰아내고 베트남 하노이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1789년에 떠이선의 완씨(阮氏)에게 망하였다.
95. 힐조 (詰朝) [힐쪼]
한자: 詰(꾸짖을 힐), 朝(아침 조)
「1」이른 아침.
「2」이튿날의 이른 아침.
관련 글
[중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朝 아침 조 - 1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