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신장정 (新章程) [신장정]
한자: 新(새 신), 章(글 장), 程(한도/길[道] 정)
새로 제정한 장정.
42. 양정 (揚程) [양정]
한자: 揚(날릴 양), 程(한도/길[道] 정)
「1」밸브가 밀려 올려지는 높이.
「2」펌프에서 물을 퍼 올리는 높이.
43. 여정 (旅程) [여정]
한자: 旅(나그네 려), 程(한도/길[道] 정)
여행의 과정이나 일정.
용례:
- 여정을 기록하다.
- 1박 2일의 짧은 여정을 마치다.
- 직선거리로는 불과 150리 길을 다섯 배나 되는 7백 리나 누비고 올라왔으니, 너무도 고달픈 여정이었다.≪송기숙, 녹두 장군≫
44. 역정 (歷程) [역쩡]
한자: 歷(지날 력), 程(한도/길[道] 정)
지금까지 지나온 경로.
용례:
- 인생 역정.
- 역정의 세월.
- 쓰라린 역정을 견뎌 내다.
- 작가가 걸어온 역정을 살펴보면 그의 작품을 이해하기 쉽다.
- 해 도사와 지감은 복잡한 역정을 거쳐 왔지만 연학과 막동은 평범하고 자신들의 삶을 신중하게 살아온 그냥 백성이었다.≪박경리, 토지≫
45. 역정 (驛程) [역쩡]
한자: 驛(역 역), 程(한도/길[道] 정)
「1」역과 역 사이의 거리 또는 이수(里數).
「2」거쳐 지나가는 길이나 과정.
46. 염정 (炎程) [염정]
한자: 炎(불꽃 염), 程(한도/길[道] 정)
몹시 더운 여름날에 걸어가는 길.
47. 예정 (豫程) [예:정]
한자: 豫(미리 예:), 程(한도/길[道] 정)
미리 정한 갈 길이나 진행 과정.
48. 온음정 (온音程) [오:늠정]
한자: 音(소리 음), 程(한도/길[道] 정)
두 개의 반음정을 합한 음정.
49. 왕정 (王程) [왕정]
한자: 王(임금 왕), 程(한도/길[道] 정)
임금의 일로 다니는 여정.
50. 원정 (遠程) [원:정]
한자: 遠(멀 원:), 程(한도/길[道] 정)
먼 길.
용례:
- 수륙만리의 원정을 거쳐 이곳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 “원, 그런! 세상에 매정한 사내도 있구려, 킁킁. 천리 원정에 찾아온 아내를 어떡하면 만나 주지도 않는단 말이오.” 하고….≪현진건, 무영탑≫
51. 음정 (音程) [음정]
한자: 音(소리 음), 程(한도/길[道] 정)
「1」높이가 다른 두 음 사이의 간격. 서양 음악의 장음계를 기준으로 ‘도(度)’를 단위로 표시하며, 같은 수치의 도로 표시되는 음정도 완전·장·단·증·감에 의하여 크기를 구별한다.
「2」음
하나하나의 높고 낮은 정도.
용례:
- 「1」음정이 고르다.
- 「1」썰렁한 다방에 유행가가 단조로운 음정으로 들려오고 있었다.≪최인호, 미개인≫
- 「2」음정을 맞추다.
- 「2」그는 음정을 잡기 위해 여러 번 헛기침을 했다.
- 「2」아이는 정확한 음정으로 노래를 불렀다.
52. 의사일정 (議事日程) [의사일쩡]
한자: 議(의논할 의(:)), 事(일 사:), 日(날 일), 程(한도/길[道] 정)
회의에서 미리 의논할 사항을 정하여 놓은 차례.
용례:
- 의사일정을 정하다.
- 의사일정에 따라 회의를 진행했다.
53. 의정 (議程) [의정]
한자: 議(의논할 의(:)), 程(한도/길[道] 정)
회의에서 미리 의논할 사항을 정하여 놓은 차례.
54. 이정 (二程) [이:정]
한자: 二(두 이:), 程(한도/길[道] 정)
중국 북송의 정호와 정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55. 이정 (里程) [이:정]
한자: 里(마을 리:), 程(한도/길[道] 정)
어떤 곳으로부터 다른 곳까지 이르는 거리의 이수(里數).
용례:
용정과 회령 사이는 백삼십 리가 넘는 이정, 신흥평까지의 사십 리 남짓한 길은 비교적 넓고 평탄하여 달리기는 수월한 것이다.≪박경리, 토지≫
56. 일일정 (一日程) [이릴쩡]
한자: 一(한 일), 日(날 일), 程(한도/길[道] 정)
하루 걸리는 노정.
57. 일정 (日程) [일쩡]
한자: 日(날 일), 程(한도/길[道] 정)
「1」일정한 기간 동안 해야 할 일의 계획을 날짜별로 짜 놓은 것. 또는 그 계획.
「2」그날 해야 할 일. 또는 그것의 분량이나 순서.
「3」그날 하루에 가야 할 길. 또는 그 길의 분량이나
순서.
「4」회의 따위에서, 그날 심의할 의사(議事)나 순서.
용례:
- 「1」수학여행 일정.
- 「1」사업 추진 일정.
- 「1」일정을 앞당기다.
- 「1」일정이 지연되다.
- 「1」일정이 중단되다.
- 「1」일정에 쫓기다.
- 「1」일정을 짜다.
- 「1」순회공연 일정은 크리스마스 때나 되어야 끝날 예정이다.
- 「2」바쁜 일정.
- 「2」일정을 마치다.
- 「2」일정을 잡다.
- 「2」일정대로 진행하다.
- 「2」나의 하루 일정은 여섯 시부터이다.
- 「2」오늘은 일정이 꽉 차 있으니 내일 만나자.
- 「3」오늘 일정은 가파른 산을 넘는 것이다.
- 「4」회의 일정을 정했다.
58. 장음정 (長音程) [장음정]
한자: 長(긴 장(:)), 音(소리 음), 程(한도/길[道] 정)
장조(長調)를 이루는 음정. 장조에서 4, 5, 8도(度)를 제외한 기타 음정을 말하며, 이것이 장조를 결정한다. 장이도(長二度)·장삼도(長三度) 따위로 부르며, 특히 장삼도는 장조에서 중요하다.
59. 장정 (長程) [장정]
한자: 長(긴 장(:)), 程(한도/길[道] 정)
매우 먼 길.
60. 장정 (章程) [장정]
한자: 章(글 장), 程(한도/길[道] 정)
여러 조목으로 나누어 마련한 규정.
용례:
그들은 유배지에 도착하자마자 불문곡직 옥에 갇혀 일 년 가까이 구류를 살고 있으니, 이것은 어느 장정에도 없는 월권이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61. 전음정 (全音程) [저늠정]
한자: 全(온전 전), 音(소리 음), 程(한도/길[道] 정)
두 개의 반음정을 합한 음정.
62. 전정 (前程) [전정]
한자: 前(앞 전), 程(한도/길[道] 정)
앞으로 가야 할 길.
용례:
- 젊은 사람의 전정을 위해서 이런 이야기를 한다는 뜻을 노인은 조심스럽게 설명했다.≪김소운, 일본의 두 얼굴≫
- 그때 분한 생각으로 고소를 해서 복수를 한 것이나 윤수를 다시 대하고 보니, 공연히 남의 전정을 막은 것 같아서 뉘우치는 생각이 없지 않았다.≪이기영, 신개지≫
63. 증음정 (增音程) [증음정]
한자: 增(더할 증), 音(소리 음), 程(한도/길[道] 정)
완전 어울림 음정 또는 장음정을 반음 넓힌 음정. 안어울림 음정이며, 증일도·증이도·증오도·증육도 따위가 있다.
64. 진정 (進程) [진:정]
한자: 進(나아갈 진:), 程(한도/길[道] 정)
진행하는 과정. 또는 진보의 정도.
65. 천로역정 (天路歷程) [철로역쩡]
한자: 天(하늘 천), 路(길 로:), 歷(지날 력(역)), 程(한도/길[道] 정)
영국의 작가 버니언이 지은 우화 소설. 신의 노여움을 두려워하는 한 기독교인이 갖은 고난을 겪고 천국에 이르는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신앙 형성 문제를 다룬 종교 소설이다. 제1부는 1678년에, 제2부는 1684년에 발표하였다.
66. 충정 (衝程) [충정]
한자: 衝(찌를 충), 程(한도/길[道] 정)
실린더 안에서 피스톤이 왕복하는 거리.
67. 측정 (測程) [측쩡]
한자: 測(헤아릴 측), 程(한도/길[道] 정)
차나 배 따위가 지나온 거리를 잼.
68. 탄정 (彈程) [탄:정]
한자: 彈(탄알 탄:), 程(한도/길[道] 정)
탄알, 포탄, 미사일 따위가 발사되어 도달할 수 있는 곳까지의 거리.
69. 표준어규정 (標準語規程) [표준어규정]
한자: 標(표할 표), 準(준할 준:), 語(말씀 어:), 規(법 규), 程(한도/길[道] 정)
표준어 사정의 원칙과 표준 발음법을 체계화한 규정. 1936년에 조선어 학회에서 사정하여 공표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을 크게 보완하고 합리화하여 1988년 1월에 문교부가 고시하였으며, 현행 규정은 2017년 3월에 문화 체육 관광부에서 고시한 것이다.
70. 품정 (品程) [품:정]
한자: 品(물건 품:), 程(한도/길[道] 정)
법이나 법칙.
71. 학정 (學程) [학쩡]
한자: 學(배울 학), 程(한도/길[道] 정)
학문의 정도. 또는 그 과정.
72. 항정 (航程) [항:정]
한자: 航(배 항:), 程(한도/길[道] 정)
배가 항행하는 거리.
73. 해정 (海程) [해:정]
한자: 海(바다 해:), 程(한도/길[道] 정)
바다의 뱃길.
74. 행정 (行程) [행정]
한자: 行(다닐 행(:)), 程(한도/길[道] 정)
「1」멀리 가는 길. 또는 그 길의 이수(里數).
「2」일이 진행되어 가는 과정.
「3」실린더 안에서 피스톤이 왕복하는 거리.
용례:
- 「1」80리 남짓한 행정.
- 「1」그의 농토는 매우 넓어서 모두 돌아보려면 행정이 고되다.
- 「1」수미·선암 나들이가 이수로는 불과 이십 리쯤 되지마는 길이 길이라 하루 행정이 된다고 하겠습니다.≪최남선, 금강 예찬≫
- 「2」통과해야 할 행정과 겪어야 할 고난은 회피하지 말고 빨리 경과하여 비약적인 단축을 과감히 시도해야지….≪조지훈, 돌의 미학≫
75. 회정 (回程) [회정]
한자: 回(돌아올 회), 程(한도/길[道] 정)
돌아오는 길에 오름. 또는 그런 길이나 과정.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程 한도/길[道] 정 - 1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