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訂 바로잡을 정

1. 개정 (改訂) [개:정]

한자: 改(고칠 개(:)), 訂(바로잡을 정)

글자나 글의 틀린 곳을 고쳐 바로잡음.

용례:

  • 개정 증보판.
  • 초판본을 개정 보완하다.

2. 경정 (更訂) [경정]

한자: 更(고칠 경), 訂(바로잡을 정)

책 따위의 내용을 고쳐서 바로잡음.

3. 고정 (考訂) [고정]

한자: 考(생각할 고(:)), 訂(바로잡을 정)

옛 서적의 진위와 이동(異同)을 조사하여 밝힘.

4. 교정 (校訂) [교:정]

한자: 校(학교 교:), 訂(바로잡을 정)

남의 문장 또는 출판물의 잘못된 글자나 글귀 따위를 바르게 고침.

5. 수정 (修訂) [수정]

한자: 修(닦을 수), 訂(바로잡을 정)

글이나 글자의 잘못된 점을 고침.

용례:

  • 대본 수정.
  • 초고 수정.

6. 신정 (新訂) [신정]

한자: 新(새 신), 訂(바로잡을 정)

새로 정정함.

용례:

  • 신정 국사 교과서.
  • 신정 증보판.

7. 장정 (裝訂) [장정]

한자: 裝(꾸밀 장), 訂(바로잡을 정)

책의 겉장이나 면지(面紙), 도안, 색채, 싸개 따위의 겉모양을 꾸밈. 또는 그런 꾸밈새.

용례:

  • 금박 장정.
  • 양피 장정.
  • 가죽 장정.
  • 책의 장정이 화려하다.
  • 준비한 보자기를 펴고 서가의 책들을 빼내기 시작했다. 책을 잘 알아서가 아니라 금박이나 장정을 중심으로 값나가리라고 판단되는 책들만 골라 빼내는 것이었다.≪이문열, 영웅시대≫

8. 재정 (再訂) [재:정]

한자: 再(두 재:), 訂(바로잡을 정)

두 번째로 고쳐서 바로잡음.

9. 중정 (重訂) [중:정]

한자: 重(무거울 중:), 訂(바로잡을 정)

책의 내용을 거듭 고침.

10. 증정 (增訂) [증정]

한자: 增(더할 증), 訂(바로잡을 정)

주로 책 따위의 내용을 더하거나 잘못된 곳을 고침.

용례:

그 책은 증정이 다 끝나고 벌써 재판에 들어갔다.


출처 정보

댓글 쓰기